•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修齋 李炳鯤의 삶과 한시 연구 (Study of the Life and Poetry of Toesujae(退修齋) Lee Byung-gon(李炳鯤))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8
35P 미리보기
退修齋 李炳鯤의 삶과 한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1호 / 77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재숙

    초록

    퇴수재 이병곤(1882-1948)은 서세동점에 따라 신문물이 넘쳐나고 일본이 틈을 타 국세가 날로 위태로운 때를 살아간 전통유학자이다. 본고는 심재 조긍섭에게 일찍이 문학성 성취를 인정받았던 퇴수재의 운문 작품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주제 양상과 그 특징을 포착하여 문학적 면모를 살펴보았다.
    첫째 퇴수재의 한시는 주희의 도학시 및 전통적인 유학자의 시풍을 계승하여 성현의 가르침에 침잠하고 경학의 심오한 의미를 일상에서 실천하려는 뜻을 담고 있다. 이에 음풍농월의 한시 창작에는 비교적 소극적이었고 특별한 계기가 있을 때 자신의 소회를 담아 자신을 돌이켜보고 학문에 정진하며 수양하는 도구로 삼았다.
    둘째, 퇴수재는 특히 우리나라 및 동아시아 역사에 관심이 많았고 이에 박학다식하였다. 주목할 수 있는 작품으로는 招魂辭의 형태로 지은 「招三學士魂」, 12편의 「竹枝詞」, 김지섭의 옥중시에 차운한 만시 등이 있다. 평소 역사와 詠史에 관심이 많았던 퇴수재로서 그의 한시에 나타나는 역사 회고와 절의 정신, 우국지사에 대한 충절의식의 표창은 당대 일제강점기 역사 현실 속에 퇴수재의 항일의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셋째, 퇴수재의 한시에 나타나는 퇴로리 전원에서의 침잠과 은거는 향촌 생활의 여가에 자족하는 삶을 표현하였고 정해진 분수에 처신하고 시대와 하늘의 운명에 순응하는 전형적인 전통유학자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 속에서 삶의 여유로움과 흥취를 노래하기보다는 전원에서의 담박한 생활과 농촌의 풍경 등에 대해 읊었고 산수의 경치를 노래하는 것도 玩物喪志를 경계하는 모습을 보인다.
    300여 수의 한시 작품에 내포된 한시 창작에 대한 열의, 한시에 대한 다양한 시체의 이해, 역대 시인들에 대한 박학한 지식, 영사시에 대한 애착 등은 구한말 한시사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시인임을 확인하게 해준다. 그의 한시를 통해 일제강점기 지방의 전통유학자로서 양심적이고 진솔하며 시국에 대한 견문과 예리한 시선을 볼 수 있으며, 전통 한시의 문학적 가치와 그 맥을 놓지 않으려 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영어초록

    Toesujae Lee Byung-gon (1882-1948) was a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who lived during a turbulent time when new cultural influences surged due to Western powers, and Japan took advantage of this vulnerability. This paper exam ines the literary aspect of Toesujae's poetry works, which were recognized early on for their literary achievements by Shim Jae Jo Geung-seop, by capturing the overall thematic patterns and their characteristics.
    Firstly, the poetry of Toesujae inherits the literary style of Zhu Xi's moral poetry and the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poetic tradition, delving into the teachings of sagehood and attempting to embody the profound meanings of Confucian classics in daily life. Accordingly, he was relatively passive in his creation of poetry appreciating leisurely moments, yet he used it as a tool to reflect on himself an his thoughts, and dedicate himself to scholarly pursuits and self-cultivation whenever there was a special occasion.
    Secondly, Toesujae had a keen interest in Korean and East Asian history and was well-versed in these subjects. Notable works include 「Invoking the Souls of Three Scholars」 (招三學士魂), written in the form of a invocation (招魂辭), 12 poems known as 「Zhu Zhi Ci」 (竹枝詞), and elegies like 「Man Shi」 (挽詩) borrowed from Kim Ji-seop's Prison Poems (獄中詩). Toesujae, who had a keen interest in history, exemplified reflections on history, the spirit of devotion to the nation, and a strong sense of loyalty and duty towards the country amidst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se aspects hold significant value as they provide insight into Toesujae's anti-Japanese consciousness during his time.
    Thirdly, in Toesujae's poetry, his retreat and contemplation in rural settings express a life of self-sufficiency and leisure in countryside living, adhering to established norms and conforming to the fate of the times and heaven as typical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However, within these contexts, rather than singing about the leisure and pleasures of life, he reflects on the rigorous rural life and landscapes, and takes a cautionary stance against indulging excessively in worldly pleasures even when singing about the scenic beauty of mountains and waters.
    His enthusiasm for the creation of poetry displayed in over 300 works, understanding various styles of poetry, profound knowledge of past poets, and affection for poems on history all confirm his status as poet who cannot be overlooked in the history of late Joseon. Through his poetry, we can see his conscientiousness and sincerity as a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in the provinc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well as his keen insight into current affairs. We can also glimpse his efforts to maintain the literary value and continuity of traditional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