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가창 활동 관련국악 제재곡 분석 및 개선 방향 -2007․2009․2015 개정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Korean Music Pieces Associate with Singing Activities in Music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focused on the 2007․2009․2015 revised music textbooks-)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2
56P 미리보기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가창 활동 관련국악 제재곡 분석 및 개선 방향 -2007․2009․2015 개정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5권 / 1호 / 139 ~ 194페이지
    · 저자명 : 정미영

    초록

    본 연구는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가창 활동 관련 국악 제재곡의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2007․2009․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창 활동 관련 내용’,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제7차 및 2007 개정 국정 음악 교과서의 수록곡’ 등을 검토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음악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악곡은 전래 동요, 민요, 국악 창작 동요, 시조, 판소리 등의 갈래가 수록되어 있었고 악곡으로는 쾌지나칭칭나네가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가창 제재곡 악보의 형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악보의 형태는 여전히 오선보가 주를 이루었으며 시조는 대부분 정간보와 가락선이 결합된 형태로 제시되었다. 악보의 내용에서는 출처와 관련하여 ‘편보’라는 말이 중의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고 장단 표기 또한 같은 곡이지만 다르게 표시된 곡들이 있었다. 민요의 지역권은 남도(전라도), 동부(경상도)의 순으로 많았으나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특정 지역권 집중 현상은 점차 해소되었다.
    셋째, 학습 활동은 주로 ‘시김새 살려 부르기’, ‘노랫말 바꾸어 부르기’,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등이 많았다. 2015 개정에 들어,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지만 여전히 정형화된 활동들에 집중되는 양상을 띠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다양한 갈래의 가창 제재곡 수록, 가창 활동에 적합한 악보의 구안, 갈래에 따른 학년 연계 학습 강화, 다양한 가창 학습 활동 제시, 정확하고 상세한 악보 정보 기입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음악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바라며 본 연구가 차기 교육과정의 교과서 집필 과정에 도움이 되기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pieces for class use associated with signing activities in music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it reviewed ‘the contents related to singing activities under the 2007․2009․2015 revis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standards for the compilation of curriculum books,’ and ‘music pieces in the 7th and 2007 revised national music textbook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usic pieces of the textbooks included several genres such a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folk songs, newly composed children's songs, sijo, and pansori. The most included music piece was Kwaejinachingchingnane.
    Secon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orms and the contents of musical scores for vocal pieces revealed that the staff notation was still mainly used for the form of musical scores. As for sijo, a combined form of jeongganbo and garakseonbo(melodic contour notation) was mostly presented. In the content of the scores, the word ‘pyeonbo(編譜)’ was used in a vague sense in relation to the source. In some cases, the jangdan sign was differently marked for the identical song. The regions of folk songs that received attention the most were in the order of Southern area(Jeolla-do) and Eastern area(Gyeongsang-do), but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the concentration of specific regions gradually resolved.
    Thirdly, learning activities mainly consisted of ‘singing with expressing sigimsae (musical ornaments)’, ‘singing with changing lyrics’, and ‘singing in call-and-response’.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egan,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a variety of ways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but they were still focused on standardized activities.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improvement plans, such as including vocal pieces of different genres as learning materials, creating music scores appropriate for singing activities, reinforcing learning through linkage across grades according to genres, and presenting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or singing, filling in accurate and detailed musical score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further studies on the contents of music textbooks continue to carry on and that this study is helpful in the process of writing textbooks for the next curricul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