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전통 성악곡 중 6박 계통 장단의 말붙임새와 교육 활용 방안 -도살풀이, 도드리, 엇중모리장단을 중심으로- (Lyrics Attached to the 6-beats Rhythmic Patterns Among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and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Focused on Dosalpuri, Dodri, and Eotjungmori Jangdan(rhythmic patter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8
29P 미리보기
한국 전통 성악곡 중 6박 계통 장단의 말붙임새와 교육 활용 방안 -도살풀이, 도드리, 엇중모리장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2권 / 2호 / 93 ~ 121페이지
    · 저자명 : 배인교

    초록

    이 글에서는 경기도당굿의 도살풀이장단과 정가나 잡가의 도드리장단, 그리고 판소리 엇중모리장단의 말붙임새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전통 성악곡 장르 중 6박 계통 악곡의 특성과 말붙임새의 친연성 및 특장점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초중등 음악교과서 교재 개발 및 가사 창작을 위한 활용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경기도당굿에서 사용하는 도살풀이장단은 6박계통의 장단 중 가장 지역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장단의 구조적 특징은 가사가 2소박2박을 단위로 붙되 마지막 두 박은 채우지 않으며, 노래에서 변화를 줄 경우에는 “2+2소박//2+2소박//2+2소박”의 구조를 도살풀이춤에서 혼용하는 “3+3소박//3+3소박”의 자진굿거리로 바꾸어 강세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노래에 집중하게 하거나 단조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도살풀이장단의 말붙임새를 유지하였다. 3소박6박의 도드리장단으로 부르는 12가사과 12잡가는 대체로 4․4조의 노래말을 2장단에 배치하되 1~6장단까지 다양하게 붙여 부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박을 늘려 붙여놓았다 하더라도 말붙임새는 3박+3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혹 3+3박의 말붙임새에서 벗어나 2+2+2박으로 변화를 준 경우도 있으나 박을 늘리는 것에 집중한 결과 말붙임새의 변화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엇중모리의 말붙임새는 기본적으로 3+3박이다. 그러나 살펴본 판소리 마무리 대목에서는 2+2+2박의 말붙임새가 많이 쓰였다. 그리고 3+3박의 말붙임새를 쓰는 경우에도 “2+2+2소박//2+2+2소박”이 아닌 “3+3소박//3+3소박”의 3소박4박자 형태가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박 위주의 국악 교육에서 나아가 6박 계통 장단 악곡의 이해를 통해 전통음악의 다양한 박자와 말붙임새를 이해하고 음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by examining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of the dosalpuri jangdan(rhythmic pattern), the dodri jangdan of the Jeongga and Japga, and the eotjungmori jangdan of the Pansori,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m, the characteristics of 6-bak(beat) rhydmic pattern song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genres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I proposed a plan to use it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 creation of lyrics.
    The dosalpuri jangdan used in Gyeonggi Dodanggut is said to have the strongest locality among the 6-beat rhythm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is rhythm is that the lyrics are added in units of 2 sobak(small beat) and 2 bak(beat), but the last two beats are not filled i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2+2+2+2+2+2” to the structure of “3+3+3+3”, the position of the stress was changed to focus on the song or reduce monotony.
    In the 12 Gasa and 12 Japga sung in Dodri-jangdan, 4 and 4 song words are usually arranged in 2 jangdans, but you can see that they are sung in various ways up to 6 jangdans. Also, there are cases where a change was made from 3+3 beats to 2+2+2 beats, but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on increasing the bea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a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phrasing.
    Eotjungmori used in pansori is basically 3+3 beats. However, in the closing part of the pansori we looked at, the lyrics were often used in the form of 2+2+2 beats. And even when using the 3+3 bak of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you can see that the 3 sobak 4 beat form of “3+3 sobak//3+3 sobak” is used instead of “2+2+2 sobak//2+2+2 sobak” This understanding of 6-beat rhythmic music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entered on 4-beat music. It will be important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various beats and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of Korean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