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靜齋 李聃命의 盛衰와 <思老親曲>12章에 나타난 復歸에 대한 念願 (Vicissitudes of Life of Lee Dam-myeong (Jeongjae) and a Desire for a Return in 12Pie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06
40P 미리보기
靜齋 李聃命의 盛衰와 &lt;思老親曲&gt;12章에 나타난 復歸에 대한 念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연구 / 73호 / 275 ~ 314페이지
    · 저자명 : 권현주

    초록

    이 연구는 숙종조 남인이었던 정재 이담명이 겪은 세 차례의 환국과 그것을 통한 정재의 성과 쇠에 대한 분석이며, 정재가 창작한 <사노친곡>12장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고찰이다. 숙종조에 있었던 세 차례의 환국 중 1680년에 있었던 경신환국은 남인 전체에 큰 피해와 정재에게는 부친의 죽음이라는 상처를 남겼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정재는 부친 이원정의 억울한 죽음을 항변하였으며, 자신은 주요 관직까지 오르게 되는 융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1694년 갑술환국으로 정재 본인이 유배형을 선고받게 되고, 정재는 유배지에서 <사노친곡>12장을 창작하게 된다. <사노친곡>12장은 창작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본고에서 『靜齋先生文集』과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정재가 유배된 지 연수(年數)로 4년째가 되는 1697년에 창작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사노친곡>12장은 내용상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구조가 조금 독특하다. 기승전결의 구조를 두 번 반복하며 정재는 복귀 즉 해배에 대한 의지와 경계를 나타내어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고 마지막 부분에서는 기와 결만으로 복귀에 대한 확신을 나타낸다. 즉, <사노친곡>12장은 노모에 대한 그리움을 기반으로 하여 정재의 복귀를 염원하는 노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Jeongjae was one of the Southerners who lived during King Sukjong’s reign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exiled to Changseong in 1694 and he wrote a sijo (short lyrical poem) called <Sanochingok (Yearning after Old Mother)> there.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Jeongjae was born in Chilgok, Gyeongsangbuk-do. Also, it also indicated that <Sanochingok>, a stanzaic sijo comprising twelve lines, is about him in exile yearning after his old mother. However, Jeongjae was born in Seongju, Gyeongsangbuk- do, and the reason he was exiled and when the poem was written are unknown although <Sanochingok> is the work created in exile. This study examined the rise and decline of Jeongjae’s life and reexamine when <Sanochingok> was created and its content. Southerners during King Sukjong’s reign were the group that experienced many ebbs and flows through political turmoils including Gyeongsin Hwanguk in 1680, Gisa Hwanguk in 1689, and Gapsul Hwanguk in 1694. Jeongjae faced the first declining period during the Gyeongsin Hwanguk in 1680 which put his father, Lee Won-jeong, to death. During Gisa Hwanbuk in 1689, however, he had a prosperous period and rose to a high post as the Southerners came into power and cleared his father’s name. Following Gapsul Hwanguk in 1694, Jeongjae was exiled to Changseong, which makes Gapsul Hwanguk the second declining period for him. Jeongjae wrote <Sanochingok> in the fourth year in exile, and this period is presumed to be 1697. <Sanochingo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in content, but its structure is a bit unique. The structure of the fore and aft decision is repeated twice, and Jeong-jae reflects his opinion by expressing his will and vigilance against the sea ship. <Sanochingok> appears to express his yearning after his old mother in exile, but in fact, it exposes his resentment and yearning for the release from exi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