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내방가사 <이씨회심곡(李氏懷心曲)>의 자기서사와 ‘부재(不在)’를 기억하는 방식 (Self-Narrative and the Meanings of Absence in Naebanggasa Work "Yissihoesimgok(李氏懷心曲)" in the Early 20 Centu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8.12
24P 미리보기
20세기 초 내방가사 &lt;이씨회심곡(李氏懷心曲)&gt;의 자기서사와 ‘부재(不在)’를 기억하는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26권 / 305 ~ 328페이지
    · 저자명 : 이은화, 김윤희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초반 이호 부인이 창작한 내방가사 <이씨회심곡>을 분석해 본 것이다. 이호 부인은 50대 초반에 자신의 지난 삶을 회고하며 이 작품을 지었는데 자기서사를 통한 치유와 위로의 기제가 확인되기에 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부인은 진성 이씨 가문의 명문가에서 성장한 후 17세에 문벌 가문인 북애일가(北厓一家)로 시집을 갔으나 이듬해 남편을 여의는 불행을 겪는다. 후사(後嗣)도 없이 홀로 된 이부인은 사랑을 받으며 자라난 친정에서의 삶을 회고하면서 결혼 이후의 삶은 고독으로 점철되었음을 형상화하고 있다. 자발적 선택이 아니었음에도 결혼 이후에 펼쳐진 불행한 운명을 감내하며 이부인은 여러 편의 가사를 짓고 소통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 자료들이 현재 ‘북애가사’로 규합(糾合)되어 전하고 있다.
    특히 <이씨회심곡>에는 가족들의 죽음에 대한 기억과 그리움이 연속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데 이는 이부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가족들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했음을 의미한다. 시부모님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정의 모친과 남편에 대한 기억과 그리움이 상당히 애절하게 형상화되어 있는데 이는 이들의 부재가 자신의 생에 있어 너무도 큰 결핍감을 주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어린 시절부터 경험한 친정 부친의 부재에 이은 남편의 요절, 그리고 모친과 시부모님의 죽음을 기억하고 연속적으로 형상화한 방식은 이 작품의 중심 축을 이루는 자기서사라 할 수 있다. 이는 이부인의 정체성이 자신이 영위해 온 생(生)에 대한 기억보다는 타자와 관련되어 형성될 수밖에 없었던 당시 사회의 한계를 보여주는 특징이기도 하다. 또한 <이씨회심곡>의 후반부를 보면 자손(子孫)들을 보며 위로를 받는 장면, 다음 생에는 남자로 태어나고 싶다는 바람, 후손들에게 제사를 부탁하는 내용 등이 보이는데 이는 불행하다고 간주한 자기서사를 봉합하고 치유하는 방식이며 여타 내방가사와 유사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 작품의 자기서사에 보이는 유년기의 자기애(自己愛), 결혼 후의 불편한 고독함에 대한 발견과 기억, 죽음으로 인한 부재의 문제에 대한 적극적 의미화 등은 20세기 초 내방가사로서 <이씨회심곡>이 지닌 의미있는 자질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의 전반에 관류하고 있는 탄식의 감정은 인간으로서 누구나 ‘행복’해지고 싶은, 삶에 대한 근원적 열망이 내재된 탄식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실천 행위가 가능했던 것은 이호 부인이 유년기부터 명문가에서 직․간접적으로 많은 지식을 습득하며 형성된 자의식 및 표현 욕망 나아가 문학 향유의 중요성,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 가부장제의 모순 속에서도 지나간 삶의 고통스러운 국면과 그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기억하고 자신의 언어로 재구성한 이러한 사례는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치유의 노력이 중요한, 오늘날 우리 사회에도 여전히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Yissihoesimgok," a work of naebanggasa (a genre of Korean traditional women's literature) created by a woman named Yi Ho in the early 20th century Joseon. The analysis focuses on a mechanism of healing and comforting through self-narrative found in this work, which Yi in her early 50s wrote looking back on her life. Yi was born into and brought up in the Jinseong Yi Clan, one of the most prominent families of the time. At the age of 17, she was married to a man of the Jeonju Choi Clan from the Bugae Residence in Haepyeong, Gyeongsangbuk-do, which was a noble family that had produced high-rank government officials for generations. But the next year, she suffered a misfortune of being left a widow. With no child, she became totally alone. Yi recollected the memories of her younger years filled with love and affection from her original family and represented her post-marriage life full of loneliness in the work. Enduring misery imposed on her after marriage, which was not her own choice, she created many poems as a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In particular, "Yissihoesimgok" represents a series of her memories of the death of her family members and longing for them, which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with her family was very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Yi's identity. Especially, her longing for her mother and her husband is quite intensely illustrated in the work, seemingly because their absence gave her a great sense of loss.
    As such, the absence of her father that she had experienced since childhood and the subsequent loss of her husband, her memories of the death of her mother and her parents-in-law and the continuous representation of these constitute the axis of Yi's self-narrative. This shows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time under which she developed her identity mainly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Particularly, the self-love during childhood, the discovery of lonely emotions after marriage, and the facing of the memories of absence caused by death and the attachment of meanings to them found in the self-narrative of this work forms the significant qualities of "Yissihoesimgok" as a naebanggasa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