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속기악 감상곡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Folk Instrumental Appreciation Through the Use of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4.08
22P 미리보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속기악 감상곡 내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8권 / 2호 / 5 ~ 26페이지
    · 저자명 : 김정림

    초록

    본고에서는 2009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그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할 부분에 대한 향후의 수정 방향을 제시하여 교과서 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09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7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히 민속기악곡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나위 및 산조, 그리고 춤과 음악의 관계에서 나타난 음악에 대한 내용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나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시나위가 남도무속에서 유래되었고, 악기의 기본 편성이 삼현육각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시나위는 남도시나위와 경기시나위의 양 갈래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남도 무속만을 언급하는 것은 부정확한 설명이며, 악기의 기본편성 또한 현재의 무대음악으로 발전하면서 기악합주 형태로 변화하였다는 부가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등의 장단표기가 설명 부분과 다르게 수록된 경우가 있는데 중모리는 시나위에서 사용되는 장단이 아니므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산조 부분에서는 서양식 박자표기를 따름으로 인한 혼돈이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장단과 박자가 서로 통일되지 않게 표기되거나, 산조를 한배에 따른 악곡으로 설명하는 부분의 예시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한 산조가 모든 악기에서 나타나는 독주곡 형태임에도, 분석대상 교과서 17개 출판사 중 12개 출판사에서 가야금산조가 수록되어 있는데 너무 한 가지 악기로 편중된 점에서 국악의 다양성이 표현되지 못하였다.
    한편 춤과 음악의 관계를 파악하며 감상하는 단원에서는, 춤에 대한 설명에서 반주음악에 대한 설명이 너무 간략하게 기재되거나, 혹은 전혀 수록되어 있지 않은 점이 보인다. 춤은 반주 없이 단독으로 연행되는 것이 아니라 반주를 필수적으로 동반하므로 음악에 대한 설명이 부가되어야 그 춤을 온전히 이해하고 감상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승무와 봉산탈춤 반주 음악이 삼현육각 편성으로 표기된 부분이 보이는데 대풍류 음악의 일부인 염불, 타령, 굿거리가 반주 음악으로 사용된다는 보충설명이 더해진다면 반주음악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make contribution to the composition of textbook by suggesting the way of revision in the course of surveying the contents of 2009 revised music textbook of middle school.
    17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In particular, their instrumental folk music was analyzed. The findings suggest that deficiencies exist in 3 areas-Sinawi, Sanjo and the music born between dance and music.
    As for Sinawi, most textbooks explain that Sinawi originates from Namdo shamanism and that the basic organization for the musical instrument is Samyeongyukgak. However, it is an incorrect explanation if only Namdo shamanism is mentioned since Sinawi is divided into Namdo Sinawi and Gyeongdi Sinawi. The basic instrumental organization requires an additional explanation in the form of the instrumental ensemble since it evolves into stage music. As for rhythm, Jungmori, Jungjungmori and Gutgeori are included but with different explanations needed. However, Jungmori is not used in Sinawi, which thus requires modification.
    As for Sanjo, confusion occurs due to its signature western style beat; the rhythm and beats are not unified and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example used to explain Sanjo which is subject to Hanbae is unclear. Even though Sanjo is portrayed as a solo in all instruments, 11 of 17 textbooks include GayageumSanjo but do not include Ajengsanjo. Thus, more importance is given to one instrument, and thus the diver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ot expressed properly.
    As for the music appreciation section, which i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music, the explanation of accompanying music is too brief in the explanation of dance or is not existent at all. Since dance requires the accompaniment of music, the explanation of this type of music is required in order to enable dance to be understood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usic appreciation. Furthermore, the accompanying music of Seungmu and Bongsantalchum is expressed through the organization of Samhyeongyukgak. If an explanation that a part of Daepungryu music such as Yeombul, Taryeong and Gutgeori, is used to represent accompanying music, this will help increase its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