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본기분으로서 “설움”과 “절망”의 변주곡 ―하이데거 관점으로 본 김수영의 시세계 (The variation of grief and despair as a fundament sentiment(Grundstimmung) ―Kimsooyoung’s poetic world in the Heidegger’s standpoin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8.02
30P 미리보기
근본기분으로서 “설움”과 “절망”의 변주곡 ―하이데거 관점으로 본 김수영의 시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한인문학연구 / 21호 / 107 ~ 136페이지
    · 저자명 : 임동확

    초록

    <국문요약> 김수영 시인에게 시인이란 존재는 단지 자신이 겪거나 추체험한 체험이나 감정을 시를 통해 표출하는 자가 아니다. 인류의 문제나 고민을 자신의 일처럼 생각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인론(詩人論) 에 서 있었던 그의 주요 시적 정서의 하나가 ‘설움’이었다는 것은 다소 의외다. 민족이나 국가의 경계 안에서 벌어진 문제들을 범인류적인 휴머니즘 차원에서 보려했던 시인에게 주관적 정서의 하나인 ‘설움’은 크게 어울려 보이지 않는다. 솔직히 영웅적이며 과장적으로 보이기까지 한 그의 발언과 달리, 특히 그의 ‘설음’이 역사나 사회 등 타자에 대한 관심과 성찰보다는 한낱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인식이나 정서를 드러내는 그쳤다는 평가는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설움’의 정서는 단지 그의 개인적 처지나 일의 형편이 원통하고 슬픔 상황과 맞물려 있는 감정만이 아니다. ‘그의 ‘설음’의 정서는 그의 세계 전체를 자체로 조율하고 규정하는 기본기분의 일종이다. 가장 내밀한 느낌이라고 할 수 있는 그의 ‘설음’은 자신과 세계를 근본적으로 다르게 드러내는 일종의 움직이는 비애이자 결의하고 변혁하는 비애에 해당한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절망’의 감정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의 ‘절망’은 ‘바로 보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거나 ‘바라는 것’ 때문에 발생했던 최소한의 ‘설움’마저 사라져버린 암흑의 시대와 맞물려 있다. 하지만 그의 ‘절망’은 단지 모든 것이 무의미의 심연에 빠지는 몰락과 파괴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의 ‘절망’ 속엔 전혀 기대하지 않는 영적 도약이나 구원이 들어 있다. 때로 기괴하고 괴물스럽지만, 더욱 젊고 신선한 의미의 무진장함과 무궁함을 숨기고 있는 것이 근본기분의 하나로서 그의 절망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사랑’의 정서는 여기에서 비롯된다. 단적으로 그의 ‘사랑’의 감정은 스스로에게 주어진 ‘절망’과 ‘설음’들을 견디고 보존하는 가운데서 온다. 모든 ‘설음’과 ‘절망’마저 끌어안으려는 노력이 ‘사랑’의 언어를 출현시킨다. 어쩌면 혹독한 ‘설움’과 ‘절망’ 속에서 미처 예비하지 않았기에 여태껏 받아들일 수 없었던 구원과 희망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 그가 말하는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의 최후작인 「풀」은 근본기분으로서 ‘설음’과 ‘절망’의 연자선상에 있는 ‘사랑’의 관점에서 사물이나 대상을 아무런 여과장치나 욕망 없이 사태 그 자체로 ‘바로 보려’는 노력에서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oet Kim Sooyoung has thought that poet is not man only to express his problem and troubles being faced and presumptive experienced by poems. He think that poet considers his problem as human being’s matter and troubles. But it is very exceptional for such a his poetic position that one of his main poetic emotion ‘grief’.
    But his ‘grief’ is not connected with the emotion of his sad personal circumstances or resentful conditions of life. Contrary, his ‘grief’ is connected with a sort of fundamental emotion that compromise and regulate his poem’s world totally. The best inner feeling ‘grief’ is a sort of moving sorrow, and resolving reforming pathos to reveal himself and world very differently.
    His ‘despair’s feeling is not exceptional. It is connected with dark period because of ‘seeing rightly’ and ‘expecting’ is impassible any more disappearing the minimum ‘sorrow’.
    But his ‘despair’ don’t signify collapse and destrution, everything falling abyss of meaningless. On the contrary, in his ‘despair’ there are spiritual leap and salvation unexpected. Sometimes grotesque and mysterious, but in his ‘despair’ there are hidden the more young and fresh limitless and eternity.
    His ‘love’s affection comes in here. Directly his ‘love’s feeling happens to endure and reserve his own ‘sorrow’and ‘despairs’. Endeavoring to embrace all his ‘sorrow’and ‘despair’ could appear the language of ‘love’. Maybe in his ‘love’ concept there are embedded with salvation and hope unaccepting because of not preparing yet.
    Eventually, his last poem ‘the grass’ is born to endeavor ‘rightly seeing’ the thing and objects without a filter device or desire, in a point of view ‘love’ within a serial ‘sorrow’ and ‘despa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