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국악교육 제재곡을 활용한 창작 활동 중심의 수업지도 방안 연구 (The Study on Creative Activities in Primary School Music Educ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6
25P 미리보기
초등 국악교육 제재곡을 활용한 창작 활동 중심의 수업지도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33권 / 33호 / 101 ~ 125페이지
    · 저자명 : 변계원

    초록

    초등학교 국악교육에서 제시되는 창작교육은 가사를 일부 바꾸어 부르거나 메기는 소리를 만들어 새로 지어 부르는 활동, 가사의 붙임새를 바꾸어 불러 보는 활동, 리듬과 관련된 장단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만들어보기, 가락의 흐름을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만들어 보기, 노래의 가사내용이나, 리듬 또는 선율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하게 몸동작을 만들고 이를 신체로 표현해 보는 것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창작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가져보도록 유도하면서 능동적으로 표현하고 음악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도록 지도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필자는 이러한 창작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세 곡의 국악 제재곡을 발굴하여 다각도의 방면에서 창작 활동을 선보이는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전래동요인 ‘별 헤는 소리’, 전래 민요인 ‘자진아라리’, 창작국악동요인 ‘다듬이질 소리’를 통하여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우리 문화의 가치를 바로 알아가는 교육뿐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창작 활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성, 상상력 계발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전통음악의 본질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창작 활동은 초등 음악교육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교육 활동이다. 초등 국악교육에서도 다양한 제재곡을 창작 활동과 접목하여 교육을 진행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지만, 좀 더 많은 제재곡 발굴과 거기에 적합한 창의성 계발 교육 방법의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초등 국악교육에서의 창작 영역의 확산과 이에 대한 올바른 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Whilst there is a strong commitment to developing creative musical skills within the current curriculum for music in Korea, there is evidence that in practice there ar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with this aspect of music teaching. It is especially obviou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in Korea.
    Creative tasks are under-used in classroom situations, and this might be at least partly the result of some teachers’ concerns about the most effective ways in which to teach something as difficult to define as creativity.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d a variety teaching methods to encourage musical creativity activities based on three songs related traditional Korean music or it’s musical idioms. All of these three songs are not only good examples to teach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 music but also excellent sources to develop students’ musical creativity activities in the primary music education.
    Although research has begun to focus on both the process and outcomes of children’s creative endeavours in classroom situations, investigating factors which affect creative music making remains one of the least studied aspects of music education. I think that since so much of the work on creative music which children and indeed adults engage in takes place in a social context, more resear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ature and effect of this context on the creative process and outcomes. I hope such ideas related musical creativity in the field of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can be further elaborated and developed by several scholars, including my collegues and m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