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남산 長倉谷 출토 석조미륵불의 좌상과 禪觀 수행 (The Maitreya Buddha Statue from Jangchang’gok at Mt. Namsan in Gyeongju and dhyana Practi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03
30P 미리보기
경주 남산 長倉谷 출토 석조미륵불의 좌상과 禪觀 수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9권 / 289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배재호

    초록

    장창곡 출토 석조미륵불의좌상은 지금까지 『三國遺事』의 기록과 불의좌상의 형식을 통하여 『彌勒下生成佛經』의 彌勒下生信仰과 관련되는 三花嶺 彌勒世尊으로 인식되어 왔다.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미륵보살의 성격을 지닌 반가사유상이 유행하던 신라 7세기 중반에 불의좌상으로 조성된 유일한 예라는 점과 그것이 신라 석굴의 초기 유형이라 볼 수 있는 횡혈식 석실분 형태의 석굴 속에 봉안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석굴 속에 불의좌상을 봉안한 것은 신라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으나, 중국에서는 그것이 禪觀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 초기의 선관 수행자들은 彌勒佛이 龍華樹 아래에서 설법하는 것을 듣고 깨달음을 이루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그러나 그 경전적인 배경은 『彌勒下生成佛經』이 아니라 『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이었다. 이 경전은 미륵상생신앙과 미륵하생신앙을 모두 포함하는 선관 수행과 관련되는 것으로, 7세기 중반 신라에서 미륵 신앙이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석조미륵불의좌상도 장창곡 석굴 속에서 이 불상을 觀하면서 미륵불의 설법을 듣고 깨달음을 이루고자 했던 신라 승려와 관련된다.
    석조미륵불의좌상이 선관 수행과 관련될 가능성은 이곳에서 멀지 않은 佛谷 감실마애조상과 塔谷 마애조상에 보이는 禪定印을 한 승려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습은 신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곳만의 특징이다. 석조미륵불의좌상과 함께 7세기 중반에 조성된 경주 남산의 초기 불교 존상들이 당나라 長安 양식의 영향을 받았듯이 이들 존상에 보이는 선관 수행의 모습도 중국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석조미륵불의좌상은 이러한 형식의 불상을 많이 봤던 경험이 있고, 이만한 수준의 불상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갖춘 7세기 전반 당나라에 유학한 신라의 선관 수행승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출가 전에 이미 枯骨觀[白骨觀]을 닦고, 그 이론인 攝大乘論을 배우기 위하여 당의 장안에 유학했던 慈藏은 이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선관 수행자이다. 설령 자장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경험을 가진 승려가 『선비요법경』과 『섭대승론』의 不淨觀과 白骨觀 등 선관 이론과 『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을 통하여 용화수 아래에서 설법하는 미륵불을 觀하고자 장창곡 석실 속에 미륵불상을 조성했던 것이다.
    한편 『삼국유사』에 기록된 삼화령 미륵세존이 석조미륵불의좌상이 맞다면, 승려 生義의 불교 신앙이 불상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그의 행적을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설령 자장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와 비슷한 경험을 가진 신라 승려가 선관 수행을 목적으로 석조미륵불의좌상을 조성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조미륵불의좌상은 지금까지 『삼국유사』의 삼화령 미륵세존이라는 관념적인 틀 속에서 花郞과 미륵신앙이라는 설화적인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불상이 언제부터 설화의 주인공이 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불상 조성의 원래 목적은 선관 수행과 관련된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stone statue unearthed from Jangchang’gok valley has been regarded as the Maitreya image of Samhwaryeong Pass, which i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It has also been linked to the belief of Maitreya’s descent as foretold in Mile xiasheng chengfo jing(彌勒下生成佛經). The image is unique in two aspects. First, it is the only known example of a seated Buddha statue with two legs pendant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mid-seventh century Silla, when pensive bodhisattva images were prevalent as the image representing Maitreya. Second, the statue was enshrined in a stone chamber which resembled a tomb with a horizontal access. The stone chamber is also generally regarded as the prototypical example of cave temples in Silla.
    Although a seated Buddha image with two legs pendant enshrined in a cave temple is rare in Silla, it was related to dhyana practice in contemporary China. The ultimate aim of those practicing dhyana early in China was to hear Maitreya preaching under a Dragon Flower Tree. The scriptural background to this, however, was not the Mile xiasheng chengfo jing but Guan Mile pusa shangsheng doushuaitian jing (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This text is closely related to dhyana practice which includes the beliefs in both the ascent of Maitreya’s Tushita heaven and the deity’s descent to this world. I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Maitreya cult in Silla during the mid-seventh century. I believe that the Jangchang’gok Buddha image would have been related to Silla Buddhist monks who wished to listen to the preaching of Maitreya and achieve enlightenment by contemplating the image in the cave at Jangchang’gok.
    The possibility of a link between the Jangchang’gok Buddha and dhyana practice is also demonstrated by the monk images in meditation pose in nearby Bulgok and Tapgok valleys. Such images are unique to this particular region and have not been found elsewhere in Silla territory. Just as the mid-seventh century Buddhist carvings at Mt. Namsan including the Jangchang’gok image were under stylistic influence of Buddhist art in Chang'an of Tang Chin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features of dhyana practice found in Bulgok and Tapgok images bear some connection to China.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Jangchang’gok image was associated with a Silla dhyana monk who had been to study in Tang China during the mid-seventh century and seen there Buddha images of a similar type. One dhyana practitioner who fits this profile is the monk Jajang, who practiced kugu guan(枯骨觀, also known as baigu guan 白骨觀) before ordained and went to Chang'an to study She Dasheng lun(攝大乘論). Even if it was not Jajang, I believe that a monk with similar experience must have created the Maitreya statue in the cave at Jangchang’gok in order to contemplate Maitreya preaching under the Dragon Flower Tree, motivated by the dhyana practice stemming from bujing guan(不淨觀) and baigu guan, which are expounded in scriptures such as Chanmi yaofa jing(禪秘要法經), She Dasheng lun, and Guan Mile pusa shangsheng doushuaitian jing.
    Meanwhile, if the Jangchang’gok statue is the Maitreya image of Samhwaryeong Pass recorded in the Samguk yusa, monk Saeng’ui’s belief holds the ke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tatue’s nature. However, we know nothing about Saeng’ui. Thus, I assume that a Silla monk who possessed similar experience with Jajang created the Jangchang’gok image for the purpose of practicing dhyana.
    The Jangchanggok stone Buddha have been so far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warang and the Maitreya cult, withi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holds the work to be the Maitreya statue of Samhwaryeong Pas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We have no way of knowing when the statue became the subject of this tale, and I posit that its original purpose was to be used in the practice of dhya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