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입상의한국 불교조각사적 의의 (Unveiling Sacred Significance: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Yeoramgok Standing Rock-Carved Buddha Statue at Mount Namsan in Gyeongju)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8
38P 미리보기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입상의한국 불교조각사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44호 / 255 ~ 292페이지
    · 저자명 : 하정민

    초록

    경주 남산 列岩谷 磨崖佛立像은 2007년 5월 22일 말 그대로 ‘우연히’ 발견되었다. 불입상은 외부의 힘에 의해 암괴가 전도된 후 약 35도 산의 경사면에 불상이 새겨진 면이 바닥면을 향한 채 엎어져 고꾸라진 모습으로 오랜 세월을 견뎠다.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발견 이후, 우리나라 불교미술사 학계에서는 주로 이 불상의 특이한 손의 모양, 즉 手印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한 손을 가슴 위에 올리고 다른 한 손은 내려서 몸에 붙인 이러한 수인은 물론 특기할 만하지만, 이 불상의 또 다른 형식적 특징인 착의 형식, 즉 왼쪽 어깨에만 법의를 걸치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偏袒右肩 착의법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편단우견식 착의법에 주목함으로써 현재 학계의 통일신라 불교미술의 흐름을 새롭게 서술해야 할 필요를 인식하게 되었다. 열암곡 마애불입상은 통일신라시대의 편단우견 불입상의 성행을 웅변하는 중요한 상으로 당시 통일신라에서 성행한 여러 불교조각의 시각적 특징들을 창의적으로 조합해가며 완성되었다. 열암곡 마애불입상과 조각 양식 및 신체 모델링이 가장 유사한 조각 예로 입실리사지 동탑 서면 불입상을 제시하였고, 이 상과의 비교를 통해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제작 시기를 9세기 전반으로 보았다.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가능한 존명으로는 석가모니불, 미륵불과 함께 입실리사지 석탑 및 탑신 사면불들과의 비교를 통해 아미타불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Discovered unexpectedly on May 22, 2007, the Yeoramgok Standing Rock-carved Buddha statue at Mount Namsan in Gyeongju holds profound historical significance. Displaced by external forces, the statue reclines at a 35-degree angle on the mountain slope, with its carved side facing downward and inverted. Subsequent to its unearthing, the Korean Buddhist art history community has actively engaged in scholarly discourse, centering on the statue's distinctive mudrā-an expressive hand gesture marked by one hand raised to the chest and the other lowered to the abdomen.
    This paper further highlights another visually conspicuous feature of the Buddha: the exposed right shoulder, which contrasts the robe draped exclusively over the left shoulder. Contrary to prior assumptions that the exposure of the right shoulder in Buddha sculptures was confined to the seventh century Silla period within the context of the Three Kingdoms era, the Yeoramgok Rock-carved Standing Buddha from the Unified Silla epoch stands as compelling counter-evidence. This particular statue plays a pivotal role, effectively illustrating the prevalence of the robe-wearing configuration observed in Buddha sculptur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rough meticulous examination of its sculptural forms and stylistic trai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Yeoramgok Rock-carved Buddha likely originated in the early ninth century. It also proposes that the Yeoramgok Standing Buddha potentially represents either Maitreya Buddha or Amitābha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