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谷 金壽恒의 家系와 政治的 活動 (Moon-gok, Kim Suhang's Genealogy and Political Activit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08
55P 미리보기
文谷 金壽恒의 家系와 政治的 活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32권 / 221 ~ 275페이지
    · 저자명 : 지두환

    초록

    文谷 金壽恒(1629~1689)은 인조 7년에 태어나 병자호란을 겪고, 효종 현종 숙종대 정치를 주도하였던 인물이다. 이때는 栗谷 李珥(1536~1584)가 저술한 『성학집요』로 대표되는 조선성리학이 완성되던 시기로, 조선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이상사회를 이루려는 사림들이 인조반정을 일으켜 예치를 추구하고 있었다.
    당시 정치적으로는 산림을 경연관으로 삼는 경연정치가 발달하였고, 경제적으로는 이앙법 시비법의 발달로 식량이 스스로 충당되고 전국에 면화재배가 확산되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종법사상에 입각하여 종가집을 기반으로 하는 농업공동체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사림들이 서원을 세워 학문을 연구하며 농업공동체를 주도하였고, 문화적으로는 조선중화주의를 바탕으로 동국진체 동국진경 청화백자 국문소설 판소리 한복 한식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 고유 문화가 창출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가운데, 조선성리학 이념에 충실하였던 尤庵 宋時烈(1607~1689)과 함께 대동법 시행, 양반호포제, 노비종모종양법, 궁방전 개혁, 환곡을 비롯한 구휼정책 등 자주적인 개혁을 주도하였던 정치사상가가 문곡 김수항이었다.
    문곡은 척화파의 종장인 淸陰 金尙憲(1570~1652)의 손자이다. 김수항의 從祖父는 金尙容이다. 김상용의 외손녀가 孝宗妃 仁宣王后이다. 따라서 현종의 어머니 인선왕후는 김수항에게 실질적으로 內從 6寸이 되는 관계이다.
    문곡은 효종대에 급제하여 이조정랑과 홍문관 부교리 수찬 승정원 승지 등 요직을 거치며 효종대를 주도해갔다. 그는 한당인 金堉(1580~1658) 등과 대립하면서 송시열 宋浚吉(1606∼1672) 등 산당 세력을 초빙하고 유계를 사면 복권시켜 당시 개혁을 주도하게 하였다.
    현종대에는 승지 도승지를 역임하면서 34세에 대제학을 역임하며 예조판서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현종 13년에는 우의정에 발탁되었다.
    문곡은 기해예송과 갑인예송에서 우암 송시열과 입장을 같이하여 許穆(1595∼1682) 尹鑴(1617∼1680) 尹善道(1587∼1671)와 대립하였으며, 송시열 송준길 등과 함께 세자 보양관을 지내고 세자 사부가 되었다. 영릉 천장 문제가 발생될 때에는 송시열 등과 거취를 같이하며 남인 등 반대세력에 대항하였다.
    숙종대에는 갑인예송으로 서인이 실각하고 남인이 득세하자 송시열을 옹호하고 윤휴 許積(1610∼1680)과 대립하다가 유배를 갔다.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득세하자 영의정으로 정국을 주도하였다. 노론 소론이 갈리고 회니시비가 일어나자 尹拯(1629∼1714)을 비판하면서 송시열을 적극 옹호하고 탕평을 추구하다가 기사환국으로 유배가 죽게 된다.
    갑술환국 이후 문곡이 신원됨에 따라, 그 아들들이 숙종대 정국을 주도하게 된다.

    영어초록

    Moon-gok, Kim Suhang(1629-1689), born in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suffered the second Manchu invasion and served in government service in the reigns of three successive kings: Hyojong, Hyeonjong and Sukjong. The period saw the completion of Joseon Neo-Confucianism according to 《SeongHakJipYo》 written by Yulgok, Yi I(1536-1584), when Confucian scholars strove to realize the ideal Neo-Confucian society ruled by Li(禮) after Injo's Restoration(Injo Banjeong).
    During the time, the Royal Lecture developed as a forum for political debate and the lecturer was appointed from Confucian scholars; in economy, the methods of rice transplantation and fertilizer application enabled the country to produce sufficient food, and cotton cultivation spread all over the country; socially, agricultural communities were formed based on the main family(Jong-ga) and clan rules and Confucian scholars established Confucian academies(Seowon)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also controled communities; in culture, Joseon seemed to become a more civilized nation than China, which led many independent innovations in painting(Jin-gyeong), calligraphy, blue and white porcelain, Korean literature, music(Pansori), dress(Hanbok) and food.
    In such a background, Kim Suhang, as a politician and philosopher, led reforms with U-ma Song Siyeol(1607-1689) who paid fealty to Joseon Neo-confucianism: enacting the Uniform Land Tax Law(Daedongbeob) and the military tax added to aristocrats(Hopoje), designing Relief Policies including Grain Loan(Hwan-gok), carrying out the rule which allowed the offspring from the low-born father follow the maternal status as the ordinary people, and reforming the land-grant system awarded to royal family members.
    Moon-gok was a grandson of Cheong-eum Kim Sangheon(1570~1652) who kept the hard-line policy toward Qing dynasty, and his granduncle was Kim Sangyong whose granddaughter became Queen Inseon, King Hyojong's primary wife and King Hyeonjong's mother. Accordingly, Queen Inseon was his second cousin on the paternal line.
    He passed a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reign of King Hyojong and started dominating politics as holding the important offices. And he invited Song Siyeol and Song Jun-gil and granted an amnesty to Yu Gye to restore him; they led the reforms of the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Kim had consecutively held various government posts, and was finally promoted to the high ranking officer, UUiJeong.
    Moon-gok sided with U-am in the two disputes about the Dowager Queen's mourning duties(Gihae Yesong, Gabin Yesong) and about the affairs of moving the site of King Hyojong's tomb(Yeongneung). On the other hand, he was against the Southern faction(Nam-in): Heo Mok(1595-1682), Yun Hue(1617-1680) and Yun Seondo(1587-1671). Moon-gok was in charge of the education for the crown prince with Song Siyeol and Song Jun-gil.
    Kim, however, was exiled when opposing the Southern faction after the Western faction(Seo-in) failed in the dispute(Gabin Yesong) and the Southern faction took power. He dominated politics again as a prime minister after a bloody dispute(Gyeongsin Daechulcheok). As the Western faction later split between the Old Learning(Noron) and the Young Learning(Soron), Kim sought the policy of Tangpyeong(favoring no faction over another). He, however, disagreed with Soron's opinion about Nothern Campaigns; Noron supported war against Qing dynasty and Soron opposed it. Kim supported Song Siyeol, a member of Noron and criticized Yun Jeung who belonged to Soron. His life ended when he was exiled and ordered to drink poison after a bloody dispute(Gisa Hwanguk).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is sons led politics after redressing the grievance of Moon-g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