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곡 예론(霞谷禮論)의 변화 양상 (The Changing Aspects of Hagok’s Theory of Ritu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하곡 예론(霞谷禮論)의 변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8권 / 135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남옥

    초록

    정제두(鄭齊斗, 1649~1736)가 생존했던 17~18세기 조선(朝鮮)은 예교화(禮敎化)되는 과정 속에서 예학(禮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변례(變禮)를 해결하기 위한 논쟁이 빈번이 이루어졌다. 그는 당시 『주자가례(朱子家禮)』 중심의 노론 예론(老論禮論)과 고례(古禮) 중심의 남인 예론(南人禮論)과는 다른 시제(時制) 중심의 예론을 주장하였다. 이 논문은 정제두의 시제 중심적 예론이 정립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제두는 초기에는 『주자가례』 중심적 예론을 펼쳤으나, 박세채(朴世采, 1631~1695)에게 가르침을 받고, 민이승(閔以升, 1649~1698)・최석정(崔錫鼎, 1646~1715) 등과 논의를 거쳐 숙종 대 중반 이후 이러한 경향에서 탈피하였다. 『의례(儀禮)』 「상복소기(喪服小記)」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거나 『의례문해(儀禮問解)』와 같은 조선의 예설을 참고하기 시작한 것이다. 숙종 대 후반부터는 국가 전례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기해예송(己亥禮訟)과 갑인예송(甲寅禮訟)의 결과를 시제로 계승하며, 『경국대전(經國大典)』과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국제(國制)로 존숭해야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국제 존숭 역시 두 차례의 예송에서 근거한 바이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정제두의 예론은 시제 우위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e 17-18th century of Joseon (朝鮮) when Jeong Je-du (鄭齊斗, 1649~1736) lived, the study of rituals (禮學) was carried out as it was taught and there were frequent controversing to solve the problem of unfixed rituals (變禮). At that time, Noron (老論) reveres the Zhuzi Jiali (朱子家禮, A book written by Zhuzi about family rituals) and Namin (南人) adheres to Gorye (古禮, Rituals of the old such as Liji) as theory of rituals. However Jeong Je-du, insisted on the timely institutions (時制), makes a different argument than fashion of the time. This study is written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argument.
    In the beginning, he reveres the Zhuzi Jiali like Noron, but after the mid-Sukjong period, he escaped this tendency. At that time, he learned from Park Se-chae (朴世采) and discussed with Min I-seung (閔以升) and Choi Seok-jeong (崔錫鼎). Since then, he interpreted the Yili (儀禮) actively and began to refer to Joseon’s rituals such as the Uirye munhae (儀禮問解).
    On the other hand, from the late Sukjong period, having intervened actively in the national ritual problems, he succeeded the results of the 1659 controversy over propriety (己亥禮訟) and of the 1674 controversy over propriety (甲寅禮訟) as belonging to timely institutions (時制) and revered the Gyeongguk daejeon (經國大典, Grand Code for Statecraft) and Gukjo oryeui (國朝五禮儀, Manual of the Five Rites of State) as national institutions (國制). His reverence toward the national institutions is also based on two controversies over propriety, so his theory of rituals can be said the characteristics of timely institu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