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歌)·요(謠)·곡(曲)의 해부학 1 — 근대 조선과 일본에서 대중음악의 용어들에 대한 고찰 — (song (歌), ballad (謠), tune (曲), ditty (唄), popular music, early modern Korea, early modern Japa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6
44P 미리보기
가(歌)·요(謠)·곡(曲)의 해부학 1 — 근대 조선과 일본에서 대중음악의 용어들에 대한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33호 / 195 ~ 238페이지
    · 저자명 : 신현준

    초록

    대중가요(大衆歌謠)는 일상의 용어 및 학문적 개념으로 정착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 용어 및 개념은 1945년 이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2000년대 이후에는 사용 빈도가 감소하고 있다. 또한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일본과 중국·대만·홍콩에서 대중가요라는 용어 및 개념은 이제까지 사용된 적이 없어서 국제적 비교 연구에 곤란이 있다.
    이 글은 먼저 노래를 칭하는 한 글자의 한자(漢字) 단어인 가(歌), 요(謠), 곡(曲), 패(唄) 에 대한 어원학(etymology)을 수행한다. 그 뒤 근대가 도래한 이후 현대로 이행하기전까지, 즉, 대략 20세기 전반기에 한국(조선)과 일본에서 노래 형식을 지칭하는 여러용어들이 발생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특히 가요(歌謠), 가곡(歌曲), 유행가(流行歌), 가요곡(歌謠曲) 등 후대에 자연화된 명칭들이 겪은 의미의 변화 과정들을 검토 한다. 또한 이들과 인접한 용어들이지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용어들을 소개한 뒤 평 주하고, 각 용어들의 의미가 어떻게 전성(轉成)되었는지를 해부한다. 이를 통해 근대 이전에 존재했던 가, 요, 곡의 구분과 위계가 근대를 거치면서 한편으로는 해체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즉, 이 글은 1990년대 이래 대중가요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당시 실제로 사용된 용어와 현재 지배적인 용어를 구분하지 않으면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혼돈에 대한 문제 제기다. 현재의 용어법이 비(非)역사 적이고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런 지적은 불가피하다. 그렇지만 이는 용어법의 혼돈으로부터 올바른 질서를 복원해야 한다고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그 혼돈에서 돌연변이적 창의성이 탄생하기를 기대한다고 제언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South Korea, the term ‘popular song (TaeJung kayo: 大衆歌謠)’ has become widely recognized, both in everyday language and in academic discourse.
    However, its usage was rare before 1945 and has significantly declined in recent times. Furthermore, this term has not been widely adopted beyond the Korean Peninsula, neither in Japan (including Okinawa), nor in China (including Taiwan and Hong Kong). This paper begins with an etymological exploration of the terms ‘song (歌),’ ‘ballad (謠),’ ‘tune (曲),’ and ‘ditty (唄),’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various genre names applied to distinct song forms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mid-20th centuries. Considerable attention is devoted to the evolution of terms such as kayo/kayō, kagok/kakyoku, yuhaengga/ ryukōka, kayogok/kayōkyoku, tracing their semantic formation until 1945. Also considered are various other related terms which arose, but then fell out of use.
    This study examines how rigid and complex hierarchies between song, ballad, tune, and ditty in the pre-modern age were transformed in complicated ways in the conditions of uneven modernities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From these analyses, it is clear that recent studies on popular music from this period have often struggled with chaotic terminology. Researchers tend to conflate historically established terms with ones they coin themselves at the time of writing. The use of such arbitrary terminology is ahistorical, and often treats terms as if they were fixed entities. The critique presented in this paper is not meant to add to the problem with yet more layers of ‘correct’ terminology, but is instead intended to prompt a creative reconsideration, in hopes of dispelling the cha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념과 소통”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