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A Study on Ha Beom-Woon's the Creation Backgrounds of Samsangugoksi and Significance of Deoksangugok Poem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4.06
34P 미리보기
河範運의 三山九曲詩 창작배경과 德山九曲詩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42호 / 163 ~ 196페이지
    · 저자명 : 최석기

    초록

    이 글은 19세기 전반 경상우도 지역에서 활동한 河範運이 三山九曲詩를 창작한 것에 주목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하범운은 河溍의 6대손으로 19세기 전반 진주에서 활동한 남인계 학자이다. 그는 남명학과 퇴계학을 겸취하여 극도로 침체된 지역의 학풍과 기강을 부지하기 위해 노력한 인물이다. 그의 학문성향은 讀書明理와 閑邪謹獨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의리를 종자로 삼고 그 의리를 일상에서 실천하는 삶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점은 「自省箴」과 「山中懷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상우도 지역은 경상좌도 지역에 비해 구곡문화가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지형적으로 화강암 지대가 적어 구곡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 지역 학자들이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 인근은 지형적으로 구곡을 설정한 만한데도 덕산구곡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다 19세기 전반 하범운이 처음으로 덕산구곡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덕산구곡시를 창작하였다.
    하범운은 1823년 안동으로 李野淳을 방문하였을 때, 이야순이 陶山九曲詩와 玉山九曲詩를 보여주며 차운을 청하여, 집으로 돌아와 차운시를 지어 보내면서 덕산구곡시를 추가하였다. 그리하여 晦齋·退溪·南冥을 제향하는 서원이 있는 곳을 ‘三山’으로 칭하고, 이 삼산에 구곡이 있는 것은 도학의 원류가 영남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여 ‘三山九曲詩’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安德文이 세 선생을 추숭하여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것과 같은 맥락에 있다. 이 점이 그가 삼산구곡시를 지어 덕산구곡을 도산구곡·옥산구곡과 나란히 드러내려 한 창작 배경이다.
    하범운이 지은 삼산구곡시의 덕산구곡시는 앞 시대 鄭栻이 덕천서원 뒤 산골짜기에 경영한 武夷九曲에 나아가 제목을 德山九曲으로 개정하고 曲名을 일부 바꾸어 노래한 것이다. 그런데 하범운의 덕산구곡시와 정식의 무이구곡시를 비교해 보면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식은 주자의 「무이도가」의 정신을 그대로 본받으려 한 반면, 하범운은 남명의 精神과 氣節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하범운의 덕산구곡시는 남명의 학문과 정신을 회고하고 추앙하며 자기 시대의 쇠미해진 도를 탄식하는 내용이다.
    하범운이 삼산구곡시의 하나로 덕산구곡시를 추가한 것은, 安德文이 三山書院의 명칭과 위상을 정립한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의 덕산을 옥산·도산과 하나로 합해 도학의 연원과 학문의 본질이 같다는 점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여기에 그가 지은 삼산구곡시의 의미가 있다.
    하범운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덕천서원이 있는 덕산에는 남명의 유적을 중심으로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하였다. 그것은 조선 후기 이 지역 인사들의 구곡문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퇴계 후손들이 도산구곡을 적극적으로 설정한 것처럼 남명 후손들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데 적극적이지 못하였던 것이 덕산구곡이 설정되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Focusing on the fact that Ha Beom-woon, who was active in the Gyeongsangwoo Province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reated Samsangugoksi,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Deoksan- gugok, the creative background of Samsangugoksi, and Deoksangugoksi.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Ha Beom-woon was a sixth generation descendent of Ha Jin and Namin line scholar active in Jinju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Combining Nammyeonghak with Toigyehak, he worked hard to support and maintain the academic tradition and discipline of the extremely stagnated region. His academic inclinations can be summarized into Dokseomyeongri and Hansageundok. He sought after life of finding a seed in faithfulness and practicing faithfulness in daily life, which is confirmed in Jaseongjam and Sanjunghoigo.
    Gyeongsangwoo Province had less developed Gugok culture than Gyeongsangjwa Province because its geographical features prevented Gugok from being formed and because its scholar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As a result, Deoksangugok was not set even near Deokcheon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Nammyeong. It was in the form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t Ha Beom-woon named it Deoksangugok for the first time.
    When he visited Lee Ya-sun in Andong in 1823, Lee showed him Dosangugoksi and Oksangugoksi and asked him to write a poem by borrowing rhymes from them. After returning home, he created a rhyme-borrowing poem and sent it to him along with Deoksangugoksi. He thus called the auditorium that held a religious service for Hoijae, Toigye and Nammyeong "Samsan" and designated a title of "Samsangugoksi" to indicate that Gugok in Samsan showed that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lied in Yeongnam. It was in the same line of Ahn Deok-mun admiring the three scholars and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which was the creative background behind Ham writing Samsangugoksi and displaying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In the Deoksangugok of Samsangugoksi by him, Ha partially changed the name and title of Muigugok administered in the mountainous valley behind Deokcheon Auditorium by Jeong Shik before his time. Comparison between Deoksangugoksi by Ha and Muigugoksi by Jeong reveals obvious differences in content between them. While Jeong tried to inherit the "Muidoga" spirit of Zhu Xi as it was, Ha focused on exhibiting the spirit and integrity of Nammyeong. That is, the content of his Deoksangugoksi was all about recalling and worshiping the science and spirit of Nammyeong and lamenting over the decayed morality of his times.
    He added Deoksangugoksi as one of Samsangugoksi to inherit Ahn's spirit of establishing the title and status of Samsan Auditorium and show that Deoksan of Nammyeong had the same academic nature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combining it with Oksan and Dosan into one, which holds the significance of his Samsangugoksi.
    In spite of such efforts made by Ha, however, Deoksangugok was not set around the relics of Nammyeong in Deoksan where Deokcheon Auditorium was located because the local figures lacked the perception of Gugok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biggest reason for failing to set Deoksangugok was that the descendents of Nammyeong were not active with setting it unlike those of Toigye that were active with setting Dosangug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