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토야 유키코(本谷有希子)의 『이류혼인담(異類婚姻譚)』―전업주부, 공식(共食), 이류신랑의 정체― (Motoya Yukiko’s “Heterogeneous-Marriage Story” ─Housewife, Peed on Each Other, Identity of Non-human Husband─)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5
20P 미리보기
모토야 유키코(本谷有希子)의  『이류혼인담(異類婚姻譚)』―전업주부, 공식(共食), 이류신랑의 정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72권 / 127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난주

    초록

    본고는 모토야 유키코의 소설 「이류혼인담(異類婚姻譚)」 속 부부의 모습을 통해 현대 일본 사회의 결혼관과 변화하는 성 역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소설의 주인공은 결혼 4년차 전업주부이다. 결혼 초부터 남편은 집에서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고 선언했다. 아이도 없는데다 대부분의 집안일을 가전제품이 대신해 준다고 생각하는 주인공은 주부로서의 자신의 삶이 너무 편하다고 느낀다. 본고에서는 전업주부에 대한 이러한 서술 태도가 같은 시기 한국에서 나온 『82년생 김지영』과 크게 대비되는 점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이것이 전업주부에 대한 남편의 동경과 그로 인한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소설은 쌍둥이처럼 닮아가는 부부의 이야기를 통해 결혼이라는 제도 속에서 개인의 주체성을 어떻게 지킬 수 있을지를 묻는다. 전업주부가 되려는 남편의 모습은 아내와 맹목적으로 동화되려는 욕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치열한 경쟁과 불안한 고용으로 상처입고 방황하는 현대 남성들의 처지와 오버랩된다. 직장인도 전업주부도 될 수 없었던 남편은 결국 작약이 되어 산으로 갔다. 그에 반해 남편이 만든 안락한 세계에서 점점 자신을 잃어가던 아내는, 혼자가 된 후 자신의 몸이 자신만의 것이 되었음을 실감한다. 소설의 결말은 자신을 잃고 상대에게 맞추기만 하는 결혼생활은 지속될 수 없음을 말해준다. 한편 이 소설은 ‘동물신랑’이라는 이류신랑담의 전통을 깨고 식물신랑의 탄생을 보여주었다. 이 식물신랑 이미지에는 21세기 일본의 신(新) 남성상으로 대두된 ‘초식남(草食男)’ 현상이 투영되어 있다. 「이류혼인담」은 변화하는 성 역할과 결혼관 속에서 진정한 결혼의 의미, 가사와 일의 양립 문제, 이를 통한 결혼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ortrayal of marital relationships in Motoya Yukiko’s novel “Heterogeneous-Marriage Story” to explore the attitudes towards marital views and changing gender roles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has been married for four years and is a housewife. From the beginning of their marriage, her husband declared that he didn’t want to do anything at home. She felt that her life as a housewife was too comfortable because she thought household appliances took care of most household chores, and she didn’t have any children. In this paper, while highlighting how such descriptive attitudes towards housewives sharply contrast with those depicted in 『Kim Jiyoung, Born 1982』, a novel from the same period in Korea, it is pointed out that this leads to conflicts stemming from husbands’ admiration for housewives. The novel questions how individual autonomy can be preserved within the institution of marriage through the story of a husband and wife who gradually come to resemble each other like twins. The sight of the husband aspiring to become a full-time househusband can be interpreted as a desire to blindly assimilate with his wife. Furthermore, the desire for full-time househusband overlaps with the plight of modern men who are scarred and adrift in fierce competition and precarious employment. The husband, unable to be either a breadwinner or a full-time househusband, ultimately becomes a peony and heads to the mountains. In contrast, the wife, who gradually lost herself in the comfortable world created by her husband, realizes after being alone that her body belongs only to herself. The ending of the novel suggests that a marriage where one loses oneself and merely conforms to the other cannot be sustained. On the other hand, this novel breaks the tradition of “animal husband” in the stories of non-human husbands, and introduces the concept of a “plant bhusband” The imagery of the “plant husband” reflects the phenomenon of the “herbivore man” that has emerged as a new masculinity in 21st-century Japan. “Heterogeneous-Marriage Story” raises questions about the true meaning of marriage within the changing gender roles and marital views, the issue of balancing household and work responsibilities, and the sustainability of marriage through these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