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官人 自撰年譜의 편찬 배경과 서술 의식 - 『壺谷漫筆』과 『病後漫錄』을 중심으로 - (Social Background and Purpose of Scholar Officials’ Writing Autobiographic Annals – Ho-gok-man-pil(壺谷漫筆) and Byeong-hu-man-rok(病後漫錄))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8
50P 미리보기
官人 自撰年譜의 편찬 배경과 서술 의식 - 『壺谷漫筆』과 『病後漫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4권 / 139 ~ 188페이지
    · 저자명 : 최혜미

    초록

    자찬연보는 연보의 화법으로 본인의 삶을 기록하는 글쓰기이다. 현전하는 자찬연보는 관인, 특히 판서 이상의 고위직 관료가 작성한 것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들은 자신의 명예에 많은 관심이 있었다. 고위 관료에게 명예로운 행위란 정치적 정당성, 주요하게는 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불명예스러운 상황에 처하여 자찬연보를 작성한 남용익과 최규서의 사례를 통하여 그들이 어떠한 서술 방식을 통해 본인의 불명예[不忠]를 해소하고자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남용익의 『호곡만필』에서는 서술의 초점이 임금과 자신의 직접적인 관계에 있었다. 그는 자신의 능력이나 잘못을 임금이 직접 인정하거나 용서하였다는 점을 부각함으로써 현재 그가 처한 상황은 본인의 잘못이나 임금의 의지가 아님을 명확히 하였다. 최규서의 『병후만록』은, 저자가 본인의 의지로 조정을 떠난 인물인 만큼 무엇보다 忠君과 廉義 사이의 모순을 해소해야 했다. 이는 숙종대에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영조가 그의 의지를 허락함으로써 완성되었다. 여기서 이들의 명예 회복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임금의 인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임금의 직접적인 인정이 자찬연보에 결정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까닭은 자찬연보가 대개 본인에 대한 명예로운 평가가 완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성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가능한 한 임금과 본인의 관계에 착목하여 임금의 인정을 부각하는 자찬연보의 서술 방식은, 사적인 저술을 통해 공적인 권위를 확보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Autobiographic annals, or auto chronology, is a style of autographical writing in the form of annals where author selectively organize major events of one’s life to defend his/her honor. Most of existing autobiographic annals were written by scholar officials, especially who served high ranking positions above minister [判書]. For those high ranking official-politicians, what consists honorable behavior was political legitimacy guaranteed by their Confucian loyalty to king [忠]. By reviewing two autobiographic annals by Nam Yong-ik(南龍翼) and Choi Gyu-seo(崔奎瑞), this thesis shows how they tried to vindicate their honor by clearing charge of disloyalty [不忠].
    In his annals, Nam’s main narrative focuses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mself. By emphasizing the king’s appreciation of his capability or mercy on him, Nam clearly suggests his political plight was not caused by his wrongdoings or king’s purpose. Meanwhile, Choi had to explain the dillema of his disloyalty and humility because he refused the king’s offer and left the court by his own will, and the act hadn’t been approved in King Sukjong[肅宗]’s reign but till King Yeongjo[英祖]’s. In both cases, the kings’ approval was the key element of restoring their honor.
    Since the purpose of the writers of self writing annlas was to clear their suspicions, they tend to show their close and often personal relationship with kings to borrow loyal authority to justify themselves in their private recor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