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志·意(念·慮·思)에 관한 율곡(栗谷)의 공부론(工夫論) 연구 (The study of Yulgok(栗谷)'s self-cultivation Theory(工夫論) about Ji(志)·Eui(意)[Yeom(念)·Ryeo(慮)·Sa(思)])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志·意(念·慮·思)에 관한 율곡(栗谷)의 공부론(工夫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2권 / 57 ~ 86페이지
    · 저자명 : 정연수

    초록

    본고에서는 지(志)와 의(意)(염(念)·려(慮)·사(思))에 관한 개념을 율곡이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성(誠)과 경(敬)을 통해 선(善)에 뜻을 확고히 정립하는 입지(立志)공부와 선악(善惡)을 성찰하여 선을 추향함으로써 도심(道心)으로 나아가게 하는 성의(誠意)공부를 비롯하여 부념(浮念)을 다스리는 정심(正心)공부에 이르기까지 내성(內聖)을 회복하는 율곡의 공부론을 고찰하였다.
    지(志)는 사유의 방향이 한 곳으로 정해진 의식을 의미하며, 입지(立志)는 의식의 방향을 선(善)으로 확정하고 이를 돈독하게 다지는 공부이다. 입지공부는 선악을 성찰하여 선일변의 지(志)를 성(誠)으로 확고하게 정립하고 경(敬)으로 전일하게 함양함으로써 불신(不信)과 부지(不智)와 불용(不勇)의 세 가지 병통을 극복하여 내성 공부의 초석을 다지는 데 요지가 있다.
    의(意)는 경중(輕重)의 차이에 따라 염(念)·려(慮)·사(思)로 나뉘며 사유의 방향이 한 곳으로 정해지지 않고 전변(轉變)하는 의식이다. 이러한 의(意)가 형기(形氣)의 사사로움을 따르게 되면 인심(人心)이 되고 성명(性命)의 바름을 따르게 되면 도심(道心)이 된다. 성의공부는 의(意)에서 악을 제거하고 선을 추향하는 공부이다. 성의공부는 비록 형기의 사사로움에 의해 의(意)가 인심으로 나아간다고 할지라도 선악을 성찰하여 인심이 인욕을 유발시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정리(正理)에 위배되지 않게 하고, 의(意)가 성명의 바름을 추향하게 함으로써 인심을 도심으로 전환시키는 데 요지가 있다.
    부념은 선과 악으로 판별하기도 어렵고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멸(生滅)을 반복하는 은미(隱微)한 의식이다. 부념을 다스리는 공부는 선의지를 가지고 선을 추향하는 성의공부만으로 이루기 어렵고 정심공부로 나아가야 이룰 수 있다.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가 악념을 다스리는 성의공부보다 난해한 이유는 부념이 도래했음을 자각하기조차 어렵고 부념을 제거하려는 마음 자체가 또 다른 부념을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쉽기 때문이다. 경(敬)으로 수렴하여 마음을 지극히 평온한 상태로 이끌어야 비로소 부념이 도래했다는 것을 성찰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부념을 성찰하자마자 부념을 자각한 의식조차 그 즉시 놓아버려야 한다. 이에 율곡은 ‘경경방퇴(輕輕放退)’하고 ‘경경조관(輕輕照管)’하여 부념을 다스릴 것을 당부하는데, 이는 ‘경경조고(輕輕照顧)’하여 미발심을 회복하는 공부와도 직결된다.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는 부념을 제거하려는 일념조차 용납하지 않고 전일하게 경(敬)으로 함양하는 데 요지가 있다.
    위와 같은 율곡의 공부론은 송시열과 권상하를 거쳐 호론과 낙론의 공부론이 형성되는 토대가 되는데, 본 논문을 기반으로 추후에 율곡의 공부론이 후대에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concepts of Ji(志) and Eui(意)(Yeom念·Ryeo慮·Sa思) defined by Yulgok were examined, and Yulgok's theory of study to recover Naeseong(內聖) including the study of Ipji(立志) which makes up one's mind to pursue Seon(善) through Seong(誠) and Gyeong(敬), the study of Seongeui(誠意) that introspects on Seongak(善惡), seeks goodness and makes progress toward Dosim(道心), and the study of Jeongsim(正心) which controls Bunyeom(浮念).
    Ji(志) means the consciousness whose reasoning has been determined to one direction, and Ipji(立志) is the study that fixes the direction of consciousness toward Seon(善) and strengthens it firmly. The essence of Ipji study is overcoming three troubles of Bulsin(不信), Buji(不智) and Bulyong(不勇) and strengthening the basis of Naeseong study by reflecting on right and wrong, resolutely defining Ji(志) of Seonilbyeon as Seong(誠) and developing it into Gyeong(敬) with the whole mind.
    Eui(意) is classified into Yeom(念), Ryeo(慮) and Sa(思)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has both the adverse effect that its reasoning is not determined as one-direction of consciousness, and results in evil by being ordered by personal Hyeonggi(形氣), and the right function to follow the rightness of Seongmyeng(性命) and make a person pursue goodness. Seongeui study is the study to get rid of evil thoughts and seek goodness. Its point lies in reflecting on right and wrong and preventing Insim from cause selfish interests and desires so that Jeongri(正理) cannot be violated, and in helping Eui(意) to seek rightness of Seongmyeong(性命) so that Insim(人心) can be changed into Dosim(도심) even if Eui(意) develops into Insim due to personal nature of Hyeonggi(形氣).
    Bunyeom(浮念) is the Eunmi(隱微) consciousness which cannot be distinguished by right and wrong, and repeats Saengmyeol(生滅) in spite of oneself. The study to control Bunyeom cannot be easily accomplished through Seongeui study to pursue goodness with good will, but can be achieved only when it advances into Jeongsim study.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is more difficult than Seongeui study to control Aknyeom because it's hard to realize that Bunyeom has come and the mind itself trying to eliminate Bunyeom can easily bring about the outcome of generating another Bunyeom. Only when it becomes convergent into Gyeong(敬) and leads the mind to a very calm state, the introspection that Bunyeom has come becomes possible. Above all, as soon as Bunyeom is self-examined, even the consciousness that has realized Bunyeom must be let go immediately. Accordingly, Yulgok requested that one should control Bunyeom through ‘Gyeonggyeongbangtoi(輕輕放退)’ and ‘Gyeonggyeongjogwan(輕輕照管)’,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tudy to recover not-aroused mind through ‘Gyeonggyeongjogo(輕輕照顧)’. The gist of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is that even the determination to remove is not approved and developed into Gyeong(敬) all equally. As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Yulgok's theory of study was developed in the generations to come, the prospect of studying theory of Yulgok school is to be expa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