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내관적(內觀的) 신체관과 그 의의 (Hagok[霞谷] Jeong Je-doo[鄭齊斗]'s introspective views of human body and its significa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2.02
32P 미리보기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내관적(內觀的) 신체관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2호 / 69 ~ 100페이지
    · 저자명 : 정진욱

    초록

    우리가 신체를 살피는 방법은 외형을 관찰하는 외관적 방법과 내적으로 느끼는 내관적 방법이 있다. 특히 내적으로 반성되는 신체에서 감정이나 사유와 같은 것들을 추상해 내어 마음이라고 부른다. 조선시대의 양명학자인 하곡 정제두의 사상에는 신체를 마음과의 관계에서 내관적으로 사유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그의 신체관을 내관적 시선에서 정립해 볼 수 있다.
    내관적 시선에서 몸과 마음은 의식적으로 현상된 것이다. 하곡의 리기론은 마음으로 현상하는 것을 바탕으로 성립되었으며, 리기불리(理氣不離)적 사유를 강조한다. 그는 의식하는 전체를 기로 보면서, 다시 그 가운데 충실하게 현상하는 질적인 것과 영통하는 본질로서 신적인 것을 구분하여 기와 리로 부르고 있으며, 인간의 마음에 있는 생리가 물리를 통섭하여 전체적인 주체가 된다고 보았다.
    하곡의 리기론을 신체에 적용시킨다면 신체의 형기는 전체적인 기로서 하나의 생명이며, 이러한 생명은 생명의 본체와 생명의 바탕이 있어서 각각 리와 기에 대응된다. 신체에 있어서 혈기와 형질은 충실하고 질적인 것이라면, 생리는 영통하는 신적인 것이며, 이들은 일체적인 관계에 있다. 하곡은 신체에 있어서 감각의 소통을 바탕으로 마음이 양지로서 드러나고 확충되어 대상세계로 실천된다고 하였다. 그는 신체가 ‘스스로를 이롭게 하는 리[自私之理]’를 갖지만, 생동하는 생리를 따르는 가운데 진리를 판단하여 도덕적으로 수양해 나감으로써 호연지기를 기르고 호연한 본체를 이룰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곡의 내관적 신체관은 신체를 단지 외형이나 바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본질을 지닌 것으로 봄으로써 양명학의 학설을 신체 차원에서 설명하고, 천지만물이 모두 내적인 본질에서 하나로 통하여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ways to examine our body: an external way to observe the outer appearance and an introspective way to feel inside. In particular, in the body that is internally reflected, we abstract things such as emotions and thoughts and calls it the mind. The thought of Hagok Jeong Je-doo, a scholar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n the Joseon Dynasty, is characterized by introspective thinking of the body in relation to the mind. Therefore, his view of the body can be established from an introspective perspective.
    From an introspective perspective, the body and mind are consciously appeared. Hagok's theory of Li[理] and Qi[氣]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appearing with the mind, and emphasizes thinking that Li and Qi are not seperated. He sees the whole being conscious as Qi, and also calls the part of it that is qualitative and fully appears Qi, and calls the part of it that is essential and communicates with the divine things Li.
    If this theory of Li and Qi is applied to the body, the ‘qi of the shape[形氣]’ is a life as the whole qi. Such life has the essence of life and the basis of life, and they corresponds to Li and Qi, respectively. In the body, the ‘qi of blood[血氣]’ and the ‘quality of shape[形質]’ that are full and qualitative are in an integral relationship with ‘living Li[生理]’. According to Hagok, the mind as ‘Yang-ji[良知]’ is revealed and expanded in the body and practiced at an object world on the communication of the senses in the body. He is saying that although the body has ‘selfish li[自私之理]’,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great qi of spirit[浩然之氣]’ and achieve a honorable body by judging the truth and cultivating morally while following the dynamic living Li.
    In Hagok's introspective view of the body, he not only sees the body as having an inner essence, not just an outward appearance, but also explain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t the body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