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긍익 소작 <죽창곡(竹牕曲)>의 특징과 연군의 문맥 고찰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nd the context of Yeongun Appearing in Lee Geung-ik's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06
30P 미리보기
이긍익 소작 &lt;죽창곡(竹牕曲)&gt;의 특징과 연군의 문맥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79호 / 37 ~ 66페이지
    · 저자명 : 남정희

    초록

    이 글에서는 이긍익이 창작한 <죽창곡>을 대상으로 하여 창작의 상황을 재구성하고 작품 내부의 구조적인 특징과 연군의식의 문맥을 고찰해 보았다. 작자가 이 작품을 생산한 맥락을 추론해 보면 일반적인 유배가사와는 다른 지점이 있는데, 그것은 그가 배행자로서 유배를 경험했다는 것이다. 친부인 이광사는 이미 고인이 된 백부 이진유가 다시 역률에 추시되자 연좌되어서 1755년부터 임종 시인 1777년까지 유배형을 치러야 했다. <죽창곡>은 이긍익이 아버지의 유배를 배행했던 1763년 무렵의 신지도 유배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여성의 목소리로 발화하며 님과의 인연을 운명으로 서술하고 있다. 서사에서는 님과의 인연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본사에서는 님의 은혜에 대한 간구가 연속되었다. 서술의 과정에서 이 간은(干恩)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의미적인 틀은 화자의시련과 그것을 극복하게 하는 님의 은혜이다. 화자의 탄식은 결론적으로는 성덕을 베푼 님의 행위에 의해서 충족감으로 바뀐다. 배행자로서이긍익이 마주 한 현실은 냉혹하고 스스로 입신양명의 사회적 출세가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불온한 가문이라는 실존적인 조건 속에서 작자는연좌된 친부의 처지를 옹호하거나 그것을 통해서 세상을 향한 비판의목소리를 드러내지 않았다. 그보다는 오히려 아비가 영위하는 유배생활의 소박한 삶이 성군(聖君)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하면서 왕의 덕이 자신과 친부에게 차별없이 베풀어지는 세상을 소망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of creation for <Jukchanggok> that Lee Geung-ik wrote, and examine the inne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the context of Yeongun consciousness. Infer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writer produced this work, there is a different point from the usual exile Gasa, and that is, he experienced exile as an accompanying person, not as an exile person. His father Lee Gwang-sa was implicated when his elder uncle Lee Jin-yu, who was already deceased, was again involved in the issue of punishing treason, and had to be exiled from 1755 to 1777 when he (Lee Gwang-sa) died. <Jukchanggok> is based on the Shinjidoisland exile around 1763, when Lee Geung-ik accompanied his father's exile.
    In the work, the speaker speaks with the voice of a woman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with Nim as fate. In the prologue, he pointed out that the relationship with Nim had not been made, and went into the main discourse, and the earnest desire for Nim's indebtedness continued. And the main semantic framework that creates the structure of this yearning for royal favor (干恩) in the course of the narrative is the trial of the speaker and Nim's indebtedness to overcome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poetic sentiment, the sigh of the speaker, which was caused by failing to meet Nim, ultimately turns into satisfaction by Nim's act of giving king's virtue. The reality faced by Lee Geung-ik as an exile accompanying person was relentless and impossible to make a rise socially in the world. Under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such a clumsy clan, the author did not defend the position of his own father, or through it, did not reveal the voice of criticism toward the world. Rather, he emphasized that the simple life of his father's exile life was due to the indebtedness of the wise king, and he hoped for a world in which the virtues of the king would be given to him and his father without discri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