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구지역 九曲과 한강 정구 (Study on Gugok(九曲) of Daegu Region and Jeong G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02
32P 미리보기
대구지역 九曲과 한강 정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58호 / 201 ~ 232페이지
    · 저자명 : 백운용

    초록

    대구지역에는 聾淵九曲, 雲林九曲, 守南九曲, 臥龍山九曲 등 4곳의 구곡이 있다. 이 가운데 농연구곡은 정구의 제자인 최동집과 관련이 있으며, 운림구곡과 와룡산구곡은 각각 정구의 강학처였던 泗陽書堂과 사수동을 원두로 삼고 있어 대구지역 구곡은 정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운림구곡을 노래한 우성규의 <用武夷棹歌韻賦雲林九曲>은 정구의 정신을 되살리는 것이 자신의 학문적 자세를 가다듬고 동시에 당면한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어 정구와 대구지역 구곡의 관련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작품이다.
    우성규는 제1곡 ‘龍山’에서 나루를 물음[問津]으로써 학문의 자세를 가다듬는 일과 당시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어 안개와 노을이 자욱하다고 하여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제2곡 ‘魚臺’에서 옅은 구름이 걷히고 봄빛이 드리운다고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본다. 이어 제3곡 ‘松亭’에서 덤불 속에 우뚝이 서 있는 소나무를 노래하며 추위에도 시들지 않는 굳건한 기상을 본받겠다고 다짐한다. 제1곡~제3곡의 여정을 통해 우성규는 제시한 문제를 마음가짐을 확고히 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다. 이는 개인적 차원의 해결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연대를 통해 제시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우성규는 제4곡과 제5곡에서 사회적 연대를 통한 해결을 모색한다. 제4곡 ‘梧谷’의 외로운 오동나무는 고립된 개인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오동나무는 詩想이 거문고로 이어지고 거문고는 다시 ‘知己’로 연결되면서 道伴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어 우성규는 물길을 따라 올라 제5곡 ‘江亭’에 이르러 수많은 선비들이 영욕에 매이지 않고 고매한 삶을 지향함을 보았다. 이들은 우성규와 뜻을 함께하는 知友들이며, 이들과 연대하여 함께 고민하고 실천한다면 앞서의 문제는 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5곡을 지나면서 제1곡에서 제기된 문제는 다시 한 번 극복되고 해결의 가능성은 더욱 커져간다.
    제6곡에서 제9곡까지의 여정은 문제 해결의 구심이 정구라는 점을 노래한 것이다. 제6곡 ‘淵齋’는 ‘伊洛書堂’을 가리킨다. ‘이락’이 가리키는 바는 서사원과 정구이며, 또 주자학이라는 도도한 흐름이기도 하다. 이 두 가지는 사회적 연대의 구심과 매개의 역할을 하는데, 서사원과 정구는 연대의 구심이 되고, 주자학은 연대의 매개가 된다. 주자학을 매개로 한 연대는 제7곡 ‘仙槎’에서 서사원이라는 구심을 만나고, 이는 더욱 첨예화화여 제8곡 ‘鳳巖’에서 정구의 형상을 그려내며 마침내 제9곡 ‘泗陽書堂’에서 頂點인 정구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우성규에게 운림구곡은 학문의 자세를 가다듬고 학문의 본령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이었고, 또 서구열강이 각축하던 당시 도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었다. 그리고 정구는 그 과정의 도달점이자 문제의 해결책이었다.

    영어초록

    Daegu․Gyeongbuk region has Gugok wonlim and Gugok-si the most in the nation, which can be called the cradle of Gugok culture, also, in Daegu, Nongyeon gugok(聾淵九曲), Woonlim gugok(雲林九曲), Sunam gugok(守南九曲), and Waryongsan gugok(臥龍山九曲), etc. are existed. Nongyeon gugok is related to Choi, dong-jib, a disciple of Jeong Gu, and Woonmun gugok and Waryongsan gugok are based on Sayang seodang(泗陽書堂) and Sasudong, Jeong Gu's discipline place, accordingly, Daegu gugok can be said to be closely related to Jeong Gu.
    Amont them, Woo, seong-gyu's <Yongmuyidogawoonbuwoonlimgu(用武夷棹歌韻賦雲林九曲)> is based on Jeong Gu with its origin, contextually, it emphasizes that reviving his spirit is a ke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eriod,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the work that most emphasizes the relation between Jeong Gu and Daegu gugok.
    When analyzing Woo, seong-gyu’s gugok poem, song no.1, no.2, and no. 3 expressed the perception on the problem situation of early 20th century, crisis of study and revolution of time, intending to solve them in personal level. Song no.1, ‘Yongsan(龍山)’, suggested the problem situation of that period regarding asking naru [Munjin(問津)], fog and sunset are thick, song no.2, ‘Eodae(魚臺)’, felt spring view, and song no.3, ‘Songjeong(松亭)’, sang the spirit of pine. This can be said the resolution to strive for study by emulating the firm spirit which does not wither even in the intense cold, which is the metaphor of the problem situation.
    Song no.4 and no.5 emphasized overcome of crisis through social solidarity beyond individual level. In song no.4, a lonely paulownia of ‘Ogok (梧谷)’ was connected with geomungo, again, with ‘Jigi(知己)’, importance of ‘Doban(道伴)’ was cognized. Also, many scholars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relevant period stood lofty in song no.5, ‘Gangjeong(江亭)’. Woo, seong-gyu viewed possibility of problem solving through solidarity with classical scholars, and in advance doubt goes forward to a bigger confidence by being overcome again.
    The journey from song no.6 to song no.9 continues to the confidence that the center of problem solving is in Hangang Jeong Gu. In song no.6, in the name ‘Yirak(伊洛)’ of ‘Yeonjae(淵齋)’, it met Seo, sa-won and Jeong Gu, also, the lofty stream of neo-Confucianis. This met Seo, sa-won in song no.7 ‘Seonsa(仙槎)’ by being concretely realized, eventually met Hangang Jeong Gu as the central part of problem solving in song no.9 ‘Sayangseodang(泗陽書堂)’ via song no.8 ‘Bong-am(鳳巖)’. For Woo, seong-gyu, Woonlim gugok was a process to straighten the attitude of study and reconfirm the essence of study in the backwater of life as well as a process to search the method to solve social problems, where Jeong Gu was the answer of the problem.
    Meeting with Jeong Gu via waterway was not limited only to Woo, seong-gyu. Human cannot but face problem situation even as time goes by, and the method to solve this should be learned from the sages of the past. Besides, humane value of gugok is infinite. It could be appli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insight of life, enhancement of social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ancestors' cultural assets, etc. Accordingly, today it should not be abandoned, but be restored by devising various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