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원의 영화평론 세계론: 시와 회화의 장 그리고 영화사적 탐구의 영화 비평담론 (A Study on Jongwon Kim's Film Critical essa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7.11
26P 미리보기
김종원의 영화평론 세계론: 시와 회화의 장 그리고 영화사적 탐구의 영화 비평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1호 / 7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수남

    초록

    한국영화비평계의 비평적 탐색들이 한 시대 현실의 진지한 투영보다 관객의 취향에 부합하여 현란하고 무의미한 유채색 글들로 채색되고 있음을 주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혼미한 한국영화비평계에서 세계영화계의 동향에 귀를 기울이면서 우리의 저울대로 한국영화를 평가해 온 아나로그세대의 영화평론가들의 존재는 그나마 위안이 된다. 영화평론가이며 영화사학자인 김종원은 한국영화평론사에서 기억되어야 할 1순위 인물로 한국영화평단의 거산(巨山)으로 칭할만하다. 1950년대 후반 이후 한국영화평론계의 중심에서 활동해 왔던 김종원은 한국영화비평의 지평을 여는 큰 재목이었고 영화평론을 통해 ‘좋은영화 보기운동’ 등 건전한 영화문화운동에 앞장 서 왔다. 대쪽같은 양심의 소리로 무장된 그의 글들은 우리영화가 제기하는 한국영화미학 그리고 한국영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제도적인 제 문제에 대해 신랄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초창기 주요한 한국영화사 정리와 영화사적 관점에서 한국영화의 기틀을 재정립하고자 하는 그의 공로는 크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김종원은 1937년 제주도 제주시에서 태어났다. 서예가인 김규형과 안창후 사이에서 6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제주제일중학교 3학년 봄에 “비탈길”이라는 시로 제주신문에 게재되면서 어린 시절 한 때 관심을 끌었던 영화인보다 시인의 꿈을 키우기 시작한다. 오현고등학교를 졸업한 김종원은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초급대)에 입학하여 당대 기라성같은 문인들인 김동리, 서정주, 박목월 등의 강의를 들으며 21세 때 <문학예술> 5월호에 시 두편이 추천되어 정식으로 문단에서 활동을 시작한다. 촬영하러 제주도에 내려온 안종화 감독과 만나 영화계와 가까이할 기회를 갖게 된 그는 <자유공론> 11월호에 영화평론 “한국영화평론의 위기와 과제”를 발표하여 영화비평활동을 시작하였다. 1969년부터 <주간조선>문화담당 기자로 활동한 그는 1975년 유신말기 <자유언론수호를 위한 조선일보 언론자유투쟁위원회>에 참여하다가 파면당한 불운한 시대의 양심있는 지성인이었다. 시대의 아픔을 가슴에 새기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회장, <국제영화비평가연맹>한국본부 회장으로 선임되었던 그는 영화평론가로서 <공연윤리위원회> 영화심의위원, <문화공보부>의 자문위원, 한국연극영화TV예술상, 대종상, 청룡상 등의 영화심사위원으로 참여하여 건전한 한국영화를 지키는 한 몫을 당차게 수행하였다.
    김종원의 영화비평정신은 바로 주체적인 한국영화문화에 대한 외침이며 한국영화의 뿌리를 잊지않고 영화사적 관점으로 한국영화의 정체성을 세계에 내세울 것을 추구해 온 한국영화비평계의 진정한 논객이었다. 영화비평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반평생 동안 솔선수범하여 온 그의 평문은 영화작품을 보다 잘 이해하고 반응하는 방법으로서 올바른 정보와 통찰력 있는 관찰에 근거하여 탁월한 언어의 구사력으로 타자와의 차별화를 보인다. 김종원은 영화가 볼만한 가치가 있는가? 하는 문제에 답하는 일종의 소비자 옹호역할을 하는 대중언론 비평의식을 기본으로 한국영화의 총체적이며 역사적 통찰력이 요구되는 비평을 추구하였다. 또한 비평의 기능을 확대하는 비평 형식의 다양하고 질적인 면을 모색한 그의 영화평론은 질 높은 영화문화의 창달을 위한 건전한 문명적 사회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김종원의 주체성있는 영화작가의 부활과 한국영화문화 지킴이로서 비평역할은 영화작품평으로서만 가늠할 수 없다. 긴 논문성격의 시사평문 속에 서술된 그의 글들은 변함없이 건전한 한국영화문화와 영화미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국내외 영화계 현실을 검증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김종원이 반평생동안 추구해 온 리얼리즘의 화두는 시대정신이요 그 소임을 다하는 영화작가정신의 부활이었다. 한국영화사적 관점에서 한국영화를 바라보고 꾸준히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결적인 대안을 주장한 김종원은 영화사를 통한 교훈의 실천과 미래 한국영화의 모습을 예언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A film critic, Jongwon Kim is a poet and filmhistorian and the last analoggeneration’ s film critic. Also he is the first Korean film critic memorized byKorean film audience and a Great Mountain in the world of Korean film critic. He has actived in the center of Korean film critic world after 1959. His strong declaration of conscience to Korean film world has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film. His film critical essays insisted that Korean film maker and audience keep the healthy Korean film culture. Especially his unique viewpoint of Korean film history has tried to establish the origin form of Korean film. He was born in Jaeju iland. He is interesting in poem in middle school andhigh school. After graduated high school he entered in the depapartment of literature class at Serabal Art College and he was debut as a poet but he has began to active as a film critic after he met a director An, Jonghwa. As a film critic Kim, Jongwon actived a jou rnalist in weekly Chosunilbo but he was dismissed because of meeting a member of group fighting law enacted to control press activities. After this accident he has been active various part such as a president in‘ association of Korean film critic’ and‘ Federation ofInternational film critic’ and also a member in various kind of commiteecontact with film policy or film festival. Jongwon KIm’ s spirit of film critic has pursuited for establishing the identyof Korean film and wealty Korean film culture. He shows different style of film critic by taking various kind of knowledge compare to the other film critic. He has insisted on the ideology of social civilization culture for acompolishing the high quality film culture. He also expect that a special film director with subjectivity will appear. Jongwon Kim who has watched Korean film for long time finally he pursues the spirit of times by viewpoint of Korean film history and restoring film director's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