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살 곳 찾기 현상의 동인과 다층성-십승지와 『택리지』 그리고 그 주변- (The motive and multi-layeredness of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en shelters, Taengniji, and its surrounding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2.04
35P 미리보기
조선후기 살 곳 찾기 현상의 동인과 다층성-십승지와 『택리지』 그리고 그 주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84호 / 127 ~ 161페이지
    · 저자명 : 양승목

    초록

    이 글은 ‘살 곳 찾기’라 명명한 조선후기 유력한 문화현상을 추동한 배경 및 그 성격과 양태를 탐구해본 것이다. 살 곳 찾기 현상은 17세기 전란 직후 소위 십승지로 대표되는 當亂保身의 땅을 찾는 움직임으로부터 태동한 것으로, 조선후기를 관통하여 20세기 초반까지도 상존하였다. 먼저 이러한 지속과 만연에 대해 인민이 마주한 재난이라는 관점에서 그 실질적인 동인을 고찰해보았다. 군사행동이 동반된 역모, 이상기후에 따른 천변재이와 그로 인한 기근과 역병, 세금의 부과와 징수에 있어서 만연했던 비위 등 국가적 차원의 전란이 종국된 뒤로도 개인으로서 극복하기 어려운 위난의 상황은 끊임없이 박도하였으며, 이러한 자연적/사회적 재난 요소 및 이에 대한 경험과 기억이야말로 살(아남을) 수 있는 땅을 희구하게 한 동력이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어 살 곳 찾기 현상이 가진 다층적 면모에 대해 상론하였다. 이는 크게 두 가지 논제에 대한 검토로 구성하였다. 하나는 십승지와 『택리지』의 긴밀하고도 상호적인 관계를 고구한 것이다. 재난을 피해 살 수 있는 곳을 찾던 움직임은 사대부로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만한 고장을 물색하는 계기와 문법을 제공하였으며, 이로부터 탄생한 고품질의 결과물은 다시 피란ㆍ보신의 공간을 찾는 관심과 시선이 진화되는 양분이 되었다는 것, 따라서 살 곳 찾기 현상은 기층의 可生處 찾기와 상층의 可居處 찾기라는 복수의 구도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기해야 한다는 것이 요지이다. 또 하나는 이러한 살 곳 찾기 현상에 대한 반류, 즉 대척점에 있었던 주장과 사유를 살펴본 것이다. 자신의 거처를 버리고 ‘살 곳’을 찾아 떠나는 세태에 대한 비판은 실로 다양한 자료에서 확인되는데, 이러한 비판의식은 결국 樂土在心, 곧 진정 살기 좋은 곳이란 자신의 태도와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는 유가의 전통적인 福地論으로 수렴됨을 짚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재난과 십승지, 십승지와 『택리지』, 이로부터 큰 조류를 형성했던 살 곳 찾기 현상, 그리고 그 반류에 이르기까지 각각이 긴밀하고도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이를 하나의 입체적인 문화현상으로서 보아야 함을 논구하였다. 이는 재난과 십승지 그리고 『택리지』를 맥락화하여 이해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조선후기 다양한 형태의 공간탐색에 대한 비상한 관심과 동향을 조망하는 시좌와 논리를 마련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번 논의에서 수립한 살 곳 찾기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선후기 문화사와 문학사의 연동 또 역동을 드러내는 것을 차후의 과제로 삼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nature, and aspect of driving the influential cultural phenomena of the late Joseon Dynasty, named Finding a Place to Live.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was born immediately after the war in the 17th century from the movement to find the land of Tenshelters, so-called Tenshelters, which existed through the late Joseon Dynasty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First, the reason why it could last and be prevalent for such a long time was found in terms of disasters faced by the people. Rebellions accompanied by military actions, natural disasters caused by abnormal climates, famine and plague, and misconduct in tax collection continued to be difficult to overcome as an individual even after the national war ended. These natural and social disaster factors and their experiences and memories were the actual driving force behind finding a land that could survive.
    It then discussed the multi-layered aspect of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It was largely composed of a review of two topics. One is to examine the close and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enshelters and Taengniji. The movement to find a place to avoid disasters provided an opportunity and grammar to find a place to live a happy life as a nobleman, and the high-quality results resulting from this became an evolution of interest and attention to finding a space for refuge. In short,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consists of two layers: ‘finding a place to survive’ on the base and ‘finding a place to live in’ on the upper floor. Another is the argument that opposed this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Indeed, criticism of the situation of abandoning one's residence and leaving to find a good place to live is confirmed in various data. In the end, he pointed out that this sense of criticism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thinking system that it depends on one's attitude and mindset that it is a truly good place to liv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disasters, Tenshelters, Tenshelters, and Taengniji,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which formed a large current, and its counterflow are closely related. This proves that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was a three- dimensional cultural phenomenon. This is primarily to understand disasters, Tenshelters, and Taengniji organically. At the same time, this is to prepare a view and logic to view the extraordinary interest and trends in various forms of spatial explo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finding a place to live established in this discussion, revealing the linkage and dynamics of cultural and literary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ll be a next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