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화와 자막, 그리고 커브컷(curb-cut) - 1990년대 한국 텔레비전 외화의 접근(access) 문제 (Globalization, Subtitling, and the Curb-cut - The Problem of Access to Foreign Films on Korean Television in the 1990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2
30P 미리보기
세계화와 자막, 그리고 커브컷(curb-cut) - 1990년대 한국 텔레비전 외화의 접근(access)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30권 / 1호 / 213 ~ 242페이지
    · 저자명 : 이화진

    초록

    이 글은 1994년 한국 텔레비전의 외화 자막 방송을 둘러싼 논란을 통해 텔레비전에 대한 접근(access)의 문제가 방송의 공공성과 연관해 논의되었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1994년에 문화방송(MBC)이 주말 외화 시리즈 <베벌리힐스 아이들(Beverly Hills 90210)>과 <주말의 명화>(월1회)를 성우의 더빙 없이 자막으로 방영한 것을 계기로 첨예해진 ‘자막 대 더빙’ 논란은 1980년대 후반 이후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방송의 개방화, 그리고 신자유주의 시대 세계화의 이슈가 맞물린 사건이었다. 외화의 자막 방송에 대한 찬반론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문화의 창’으로서 텔레비전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의 장이 열렸을 뿐 아니라, ‘보편적인 시청자’의 개념에 균열이 발생했으며 접근(access)에 대한 문제가 가시화되었다. 다양한 계층과 연령, 문해력, 장애가 미디어 접근성과 어떻게 관계되는지에 대한 논의는 한국의 영상 문화에서는 이때에야 비로소 담론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자막 대 더빙 논란을 통해 담론화된 텔레비전에 대한 접근 문제는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더 많은 모두를 포용할 수 있는 커브컷(curb-cut) 효과의 아이디어를 ‘납치’하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어떤 방식의 접근도 ‘모두’를 공평하게 미디어와 매개할 수는 없음을 확인시켰다. 접근의 문제는 완료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실천 과정으로서 시간과 에너지, 자원을 투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subtitling of foreign films on Korean television in 1994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issue of access to television has be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ublic nature of broadcasting.
    The ‘subtitling vs. dubbing’ controversy that erupted in 1994 when Munhwa Broadcasting Coporation (MBC) aired the weekend series Beverly Hills 90210 and Weekend Masterpiece (once a month) in subtitles without dubbing the korean voice actors, was an event that brought together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ince the late 1980s, the opening up of broadcasting, and the issues of globalization in the neoliberal era. The debate over the subtitling of foreign films not only opened up a discussion on the social function of television as a ‘window to culture’, but also cracked the notion of a ‘universal audience’ and made the issue of access visible. Discussions about how different classes, ages, literacy levels, and disabilities relate to media accessibility were only just beginning to be discursed in Korean visual culture.
    The problem of access to television, as discursed through the subtitling vs. dubbing debate, may have ‘hijacked’ the idea of a curb-cut effect that could be more inclusive of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ut it also confirmed that no form of access can equitably mediate media for ‘all’. Recognizing that the problem of access is never complete, it is an ongoing process of practice that requires the commitment of time, energy, and re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