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거 관련 장전장후 고문서 연구 (A Study on some Paleographic Documents related with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4.06
48P 미리보기
과거 관련 장전장후 고문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0권 / 40호 / 43 ~ 9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석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의 소과와 문과, 그리고 소과‧문과의 한 단계에 가름하는 각종 시험과 관련된 몇 가지 고문서를 고문서학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과거시험의 실상과 과거 문화의 면면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과거 관련 고문서로는 官文書는 물론 私文書도 많이 작성되었을 터이지만, 오늘날 傳存되어 접할 수 있는 실물은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문서는 대개 실물이 있거나, 문헌상에 문서식이 실려 있는 것에 한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고문서는 다음과 같다. 과장 입장 전의 문서로는 設科知委帖, 照訖帖, 四祖單子, 錄名單子, 改名證憑 立旨, 陳試狀 등이고, 과장 퇴장 후의 문서로는 白牌‧紅牌, 六行單子, 別給文記 등이다. 과장 중의 문서로는 試券, 講紙 등이 있으나, 이는 필자가 학위논문에서 이미 다룬 바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고찰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비록 많은 문서를 고찰하지는 못했지만, 그러나 본 논문에서 고찰한 소수의 문서를 통해서도 과거시험의 세부적인 절차 진행을 파악할 수 있었고, 과거 문화의 몇몇 단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고문서들은 과거제도와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렇게 할 경우 과거시험의 세부적인 진상을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전하는 과거 관련 고문서의 수량이 극소수여서 연구에 한계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scrutinize actual circumstances and cultur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by examining several paleographic documents related to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with the archive science perspective.
    While both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were written as ancient documents related to the State Examination, only a few of them are descended in these days. Reviewed documents in this study are, therefore, defined in substantial ones or documents with specific patterns.
    Ancient documen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Paper for public notice by county officer (Seol-Gwa-Ji-Wi Cheob; 設科知委帖),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some exam (Jo-Heul Cheob; 照訖帖), Record of the applicant’s identity and his four ancestors’ title and name (Sa-Jo Dan-Ja; 四祖單子), List of Sa-Jo Dan-Ja (Nok-Myeong Dan-Ja; 錄名單子), Certificate for confirmation of examinee’s renaming (Gae-Myeong-Jeung-Bing Lib-Ji; 改名證憑 立旨), Justification Letter for applicant’s absence from some exam (Jin-Si-Jang; 陳試狀) etc. as documents before entering the examination site; and Certificate for passing the primary level exam for Confucian classics or Chinese classic literature (Baek-Pae; 白牌), Certificate for passing the higher level exam for recruiting government officials (Hong-Pae; 紅牌), Greeting letter of the successful applicant to the King (Yuk-Hang Dan-Ja; 六行單子), Certificate for property donation to the successful applicant (Byeol-Geub Mun-Gi; 別給文記) etc. as document after leaving the examination site. Documents written in the middle of the examination site are the State Examination papers (Si-Gwon; 試券), Expounding test paper (Gang-Ji; 講紙) etc., but those documents are excluded in this study since the author already dealt with them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Even though this paper examines only a small number of document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specific processes and some cultural aspects of the State Examination through the paleographic documents in this study.
    Such paleographic documents should be studied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ystem of the State Examination, and in this way it is helpful to stud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There are, however, a very small number of extant documents about the State Examination, so the study in this area has its limi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