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Mt. Kunlun, Mt. Sumeru, and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0.06
24P 미리보기
곤륜산, 수미산, 그리고 삼단팔각 연화대좌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4호 / 11 ~ 34페이지
    · 저자명 : 임영애

    초록

    상중하의 3단으로 구성되고 중대가 팔각인 삼단팔각 연화대좌는 간다라나 인도 본토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삼단팔각 연화대좌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중국이며, 성립 시기는 대략 6세기경으로 짐작된다. 물론 5세기 전반부터 중대가 잘록한 삼단의대좌가 등장하며, 이는 6세기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전단계이다. 이 글에서 해결하려하는 문제는 바로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연원이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하는 것이다. 중국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담긴 상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삼단팔각 연화대좌보다 앞서 등장한 삼단대좌의 ‘삼단’은 어디서 연유한 것이며,그 의미는 무엇인가? 왜 인도본토 및 간다라에서는 보이지 않던 삼단의 대좌가 등장하게 되었는가? 둘째, 삼단대좌를 기본으로보다 진전된 형식인 삼단팔각 연화대좌에 관한 것이다. 이 때 ‘팔각’은 또 어떤 이유로 대좌에 쓰이게 된 것이며, 어떤 상징성을 지니는가가 바로 필자의 두 번째 관심사이다. 우선, 5세기 전반, 불좌상 대좌가 삼단의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연유가 무엇인가? 그 해답을 위해 필자는 서왕모의 곤륜산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서왕모가 머무른다는 곤륜산은 삼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다가 중간단의 폭이 좁고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쉽게 오르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쉽게 오를 수 없지만 그곳에 도달하기를염원했던 고대 중국인들은 오르기 힘든 구조를 한 곤륜산 이미지를 화상석에 새겨 넣었다. 이 후 널리 알려진 곤륜산의 이미지는 불교가 유입되면서 불교의 수미산 이미지에 투영되었다. 고대 중국인들에게는 곤륜산도 수미산도 모두 ‘우주의 축’이며, 세상의 중심이라는 공통관념이 보편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왕모가 위치해야할 장소에 불상의 이미지를 대체한 후한대의 수많은 예들은 곤륜산과 수미산을 동일한 관념으로 이해하였다는 추정을 뒷받침해준다. ‘삼단대좌’가 이후 ‘삼단팔각 연화대좌’로 발전하는 과정에 등장하는 ‘팔각’도 곤륜산 이미지를 비롯한 중국 고대의 보편적 상징체계가 반영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앞서 이야기한대로 팔각은 네모에서 원으로, 원에서 네모로 가는 선상에서 항상 거쳐야 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하늘과땅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상징화된다. 이런 이유로 곤륜산이 여덟 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관념은 여덟 개의 기둥이 承天 즉 ‘하늘과 땅을 잇는다’는 고대인들의 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곤륜산에 대한 인식 역시 불교 수미산 이미지에반영되었고, 그 결과물이 초기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중대에 여덟 개의 隅柱가 세워지는 흥미로운 대좌 형식이 아닌가 생각한다.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성립에 곤륜산 이미지 만이 반영되었다는 단선적인 시각으로 보는 것은 물론 아니다. 다만 ‘삼단팔각연화대좌’ 형식의 성립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던 관념과 이미지가 바로 곤륜산 이미지가 투영된 수미산 이미지였을 것으로이해하였다. 필자는 지금껏 불교미술과 전통미술의 어떠한 교호관계를 지니는지 눈여겨 보아왔다. 다시 말해 전통미술이 불교미술에 어떻게 투영되었으며, 또 그 반대의 흐름은 어떠했는지가 중요한 관심사였다. 중국과 통일신라 불상의 대좌로 가장 애용되었던 삼단팔각 연화대좌는 바로 중국 고대인들의 사고체계와 관념이 불교미술에 반영된 주목할 만한 또 하나의 예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which have three steps, high, middle and low and the middle step of which is octagonal, are not found in Gandhara or in India. It is China that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began to appear in around the 6th century. Of course,there had been three‐step pedestals with a slim middle step from the early 5th century, and they were the prototype of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in the 6th century. The question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is “What are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that emerged first in Chin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ymbolism of Chinese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we focused largely on two issues. First, what is the reason that pedestals for seated Buddhist statues came to have three steps from the early 5th century?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the image of Xiwangmu’s Mt. Kunlun. Mt.
    Kunlun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the middle stage has a narrow and vertical structure that is hardly climbable. Ancient Chinese, who yearned to reach the mountain although not easy to climb, engraved the image of hardly climbable Mt. Kunlun in the Han Pictorial Stone Relief.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he image of Mt. Kunlun, which became known widely later, was reflected in the image of Mt. Sumeru in Buddhism. To ancient Chinese, it was common sense that both Mt. Kunlun and Mt. Sumeru were ‘the axes of the universe’ and the center of the world. ‘Octagonal shape,’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that ‘three‐step pedestals’ developed into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 is also believed to reflect universal symbolic systems of ancient China including the image of Mt. Kunlun. As mentioned above, octagon is in the middle of development from square to circle or from circle to square. Therefore,it is symbolized as a mediator between heaven and earth. For this reason, the idea that Mt. Kunlun consists of eight pillars is closely related with ancient people’s belief that heaven and eart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eight pillars. This perception of Mt.
    Kunlun was reflected in the image of Mt. Sumeru in Buddhism, and this might result in the interesting pedestal style with eight pillars in the middle step of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Of course, we do not say that only the image of Mt. Kunlun was reflected in the style of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Our understanding is that the factor playing the bigges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orm of ‘octagonal three‐step lotus pedestals’ was the image of Mt. Sumeru on which the image of Mt. Kunlun was projected. The author has been observing carefully what interactive relation exists between Buddhist arts and traditional arts. In other words, the author’s main interest is how traditional arts were projected on Buddhist arts and how the influe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was. Octagonal three ‐step lotus pedestals, which were the most favorite style of Buddhist statues in China and the Unified Shilla Dynasty, are considered another remarkable example demonstrating that ancient Chinese’ thinking systems and ideas were reflected in Buddhist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