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잔류, 낙인 그리고 환대를 위하여 - 전후 재한 일본인 처의 삶과 재현을 중심으로 (Remaining, Stigmatization and For the Hospitality - Focusing on the Life and Representation of Japanese Wives in South Korea after World War II)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10
42P 미리보기
잔류, 낙인 그리고 환대를 위하여 - 전후 재한 일본인 처의 삶과 재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81호 / 7 ~ 48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이 글은 식민지 조선 청년과의 연애 및 결혼으로 가정을 이룬 일본인 처들이 패전(1945) 이후 한국에서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그녀들이 어떠한 인식과 시선(frame)의 정치 아래 재현되되어 왔는지 다양한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 잔류하게 된 이른바 ‘재한 일본인 처’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첫째, 식민지 시기 이래, 남편·자녀와 함께 계속 거주한 경우, 둘째, 일본의 패전 즈음, 남편을 따라 조선으로 새롭게 이동해 온 유형을 들 수 있다. 패전과 함께 일본 국적이 박탈된 조선인 남편과 마찬가지로, 일본 국적에서 이탈된 그녀들은 남편이 한국전쟁으로 사망하거나 결혼 생활이 파탄에 이르게 된 이후에도 전후 일본의 탈식민 정책에서 의도적으로 누락되어 모국 귀환이 구조적으로 봉쇄된 이들이다. 이 글에서는 재한 일본인 처의 삶과 재현과 관련, 시기적으로는 기존 논의의 대략적 하한선이었던 1960년대 이후부터 탈냉전 시기까지를 통시적으로 다루었으며, 일본인 처를 다룬 문학, 수기, 기사 등 다양한 재현의 영역들을 발굴하였다. 한일국교 정상화나 탈냉전 등 한일 간의 결정적 관계 재배치의 국면들에서, 일본인 처의 존재는 양국의 국가적 이해관계나 반공의 정세에 맞추어 편의적으로 전유되었으며 대체로 한일 어느 쪽에서도 환대받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제국-식민이라는 전전 역사의 피해자, 곧이어 들이닥친 냉전의 수난자로서 그녀들의 삶 이외에도, 그녀들이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한 지난한 인정투쟁의 과정과 사회적 연대(solidarity)를 수행한 환대의 방식에도 주목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lives of Japanese wives who formed families through romantic love or marriages with Korean youth during the colonial era in Korea, and explores the manner in which they have been represented within the political context post-defeat in 1945. In particular, so-called “Japanese wives in Sou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firstly, those who continued to reside with their husbands and children since the colonial period, and secondly, those who newly relocated to Korea alongside their husbands around the time of Japan’s defeat. Much like their Korean husbands who had their Japanese nationality stripped away shortly after Japan’s defeat, these women found themselves intentionally excluded from post-colonial policies in Japan, even after their husbands had either died in the Korean War or their marital lives had broken up. Their return to their homeland was structurally obstructed.
    This article encompasses the lives and representations of Japanese wiv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chronology, extends from the approximately demarcated lower limit of existing discussions, from the 1960s onwards, up to the post-Cold War era. It delves into various realms of representation, such as literature, personal narratives, and articles that depict the lives of Japanese wives in South Korea. Amid pivotal developments in the Japan-Korea relationship, such as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or the post-Cold War realignment of their ties, the presence of Japanese wives has largely been instrumentalized to fit the respective national interests and anti-communist agendas of both countries. However, this article goes beyond their roles as victims of imperial-colonial history and subsequent sufferers of the Cold War, shedding light on the struggles these women endured to integrate into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ir endeavors in the recognition struggle, and the modes of social solidarity they engaged in for their surviv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