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계, 근대적 공간, 그리고 그 너머 -로컬리티 연구에서 로컬리티-기반의 이해와 관련하여- (Border, Modern Space, and the Beyond - Relating to Locality-Based Understandings in Locality Studie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9
33P 미리보기
경계, 근대적 공간, 그리고 그 너머 -로컬리티 연구에서 로컬리티-기반의 이해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4호 / 437 ~ 469페이지
    · 저자명 : 배윤기

    초록

    이글은, 로컬리티 연구가 글로벌화라는 환경에서 지역의 상품화에 편승하거나 단순히 저항하는 로컬리즘(localism) 뿐만 아니라 학문적 혹은 이데올로기적 유행에 따라서 로컬리티를 본질적으로 가치화하려는 엘리트적 시선 또한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로컬리티-기반의 이해라는 접근을 통해 이런 흐름들에 비판적인 하나의 결을 제시해보기 위한 예비적 시도이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적 공간의 생산과 밀어내기의 폭력적 메커니즘의 형성과 전개의 역사적 과정을 근대적 언어의 생산과 연관 속에서 살펴본다. 근대적 개념들로 구성되는 경계와 공간이 그것들에 ‘정합하는’ 새로운 언어적 체계 수립을 통하여 법적․제도적으로 일반화됨에 따라 땅(노동․관계․생활문화)과 인간을 분리시키는 과정에 주목한다. 다음으로, 그런 분리와 밀려남에서 기인하는 ‘그 너머’의 장소들(위치)과 목소리(시선)의 역설적인 힘 혹은 강함을 탐색해본다. 이는 근대적 공간 권력에 의해 포섭/배제, 침입/강탈되는 사이 혹은 틈새 공간의 곤경과 더불어 저력을 확인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런 부분들을 어떻게 접근하고 이해할 것인가 하는 연구(자)의 성찰적 문제와 연관시켜서 로컬리티-기반의 이해의 (불)가능성을 논의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uld be a preliminary trial to suggest an approach of critical locality studies through locality-Based understanding. Established regional studies and current locality studies have often tended to incline not only to the commodification of regions or anti-globalization localism but also to the elitist perspectives making locality itself an essential value. I assume a critical position toward those currents in and out of the academy.
    First, the historical processes, that the production of modern space and the mechanism of violent expulsion had formed and developed mainly in England, are presented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modern language during the period of enclosure movements. I keep an eye on the processes that borders and spaces constructed by modern concepts had separated people from land(labor․relations․culture). Modern concepts squarely defined the meanings of words dumping the complexity, ambiguity, and cultural foundations of the meanings of traditional words generated on the land and dynamics of people's relations. Second, I try to illuminate the potential of the beyond places(positions) and voices(perspectives) divided by separations and expulsions in modern societies. This exploration means that it ascertains the predicament and potential of in-between or interstitial spaces subsumed/excluded and invaded/looted mentally and materially by the power of modern space. Finally, the (im)possibility of locality-Based understanding will be discussed relating to the self-reflection of modern research(er) in the processes of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the places and voices from th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