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주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장례예식에 대한 고찰, 그리고 사목적 모색 (The understanding on death and funeral ceremony in Catholic Church and pastoral considerations on the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3.12
38P 미리보기
천주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장례예식에 대한 고찰, 그리고 사목적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23호 / 103 ~ 140페이지
    · 저자명 : 윤종식

    초록

    현대 한국사회는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었고 경제적으로는 풍요로 누리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가치들은 빠르게 사라지고새로운 가치체계는 아직도 구체적으로 자리 잡지 못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에 사람들은 웰빙(Well-being), 힐링(Healing), 월 다잉(Well-dying)과같이 삶과 죽음에 대한 육체적, 정신적, 문화적 가치를 찾으려는 노력들을하고 있다. 반면에 한국은 자살률이 OECD 국가들 중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서 삶의 희망을 읽고 사회적, 가정적 소외감으로 스스로 삶을 마감하는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삶과 죽음에 대한 인간의 본능적인 질문에 길을제시할 수 있는 곳은 바로 종교이다.
    그리스도교는 성서를 근거로 죽음에 대한 관점을 시작한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으며 피해갈 수 없는 불가피성을지니고 있다. 죽음의 현상에 대해서는 육신과 영혼의 분리로 설명하며 영혼은 하느님을 만나 영광스럽게 된 그 육신과 다시 결합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모든 인간이 피하고자 하는 죽음은 왜 세상에 들어왔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원조의 죄로 인해 죽음이 세상에 들어왔다고 답한다.
    이 죽음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인해서 극복할 수 있는 실재가 되었다. 그리스도를 믿는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 덕분에 죽음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곧 그리스도의 강생, 죽음, 부활이라는 파스카신비를 통해 죽음은 하나의 통과 의식이며, 부활을 위한 전초적인 단계로자리하게 되었다.
    천주교는 히브리와 로마의 장례관습을 차용하였고 그것들을 부활신앙의관점에서 그리스도교화 하였다. 슬픔의 표명에서 부활에 대한 희망으로 전환을 했고, 시신을 매장한 다음에 음식을 나누는 음복을 성찬례 거행으로서서히 바꾸어나갔다. 그러나 이러한 파스카적 관점은 중세에 들어와서 죽음 이후에 맞이할 심판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으로 속죄와 탄원으로 가려졌다. 장례의 색은 흰색에서 검은 색으로 바뀌고 하느님의 분노와 죽은 이의 죄에 대한 사함을 중심으로 예식들이 전개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장례식이 죽음의 파스카 성격을 되찾고 각 지역의 환경과 전통에 부응하도록 개혁을 지시하였다. 이런 전례개혁의 관점에서 출간된 새 예식서는초상 직후부터 무덤에서의 하관 예식까지 장례 절차를 3사지 유형의 예식으로 제시하여 지역 교회가 각국의 관습에 맞는 예식을 채택할 수 있도록하였다. 파스카 요소를 담고 있는 기도들과 성서 말씀들을 사용하도록 제시하였고 어린이 장례 미사를 세례 받은 어린이와 세례 받지 않은 어린이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이러한 장례에서의 파스카 성격의 회복과 더불어 한국이라는 상황에서장례에 대해서 몇가지 사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먼저, 장례예식의 토착화와 적용이라는 측면에서「상장예식」과「한국천주교 가정제례예식」은 매우 긍정적인 결과이지만「장례예식서」는 아직도 라틴어원문을 번역한 수준에 머물러있다. 앞의 두 가지를 포함하고 파스카 신학이 포함되고 토착화된「장례예식서」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는 죽은 이와 유가족에 대한 사목적 노력이 더욱 절실하다. 사목자들이 죽은 이와 유가족에게 본당 공동체 전체가 함께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할 수 있다면 묘지까지도 동반하겠다는 의식이 요청된다. 그리고 유가족에게 장례절차에 대한 안내를 할 수 있는 통일된 안내서가 한국교회나 교구차원에서 필요하다. 셋째는 열심한 사목적 배려라고 하는 것 중에 신학적인 위험을 지닌것들이 있다. 그중에 하나가 설이나 한가위 미사 때 제대 앞에 제사상을차려놓은 것이다. 주님께 드리는 유일한 희생제사와 조상에게 드리는 효행의 제사를 동일시 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불교에서 유래한 49재를지키는 것은 그리스도교에서는 옳지 않다. 오히려 성령이 강림한 50일을기준으로 기일 미사를 드리는 것이 좋다. 넷째는 서양의 장례풍습에서 유래한 검은 색을 상복의 색으로 사용하는 것은 그리스도교에게나 한민족에게나 그리 달갑지 않다. 왜냐하면 한민족의 상복은 흰색이고 그리스도교의 부활을 상징하는 색도 흰색이기 때문이다. 상복을 흰색으로 다시 돌려놓을필요가 있다. 다섯째는 국토의 효율적 활용을 목적으로 화장을 장려하는상황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그리스도교는 공동선과 생태환경을 고려하는 장묘문화를 모색하고 구체적으로 실행해나가고 있다. 여러 본당에서 봉안당(납골당)을 설치했으나 지역주민과의 소통이 원할 하지 않아서어려움을 겪는 곳이 많다. 주민들의 의식전환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봉안당과 천주교 묘원들이 죽음의 파스카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자비로운 하느님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고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교 장례는 죽음을 넘어선 부활의 희망을 고백하는 마당이다.
    한국이라는 상황과 문화에서 이런 그리스도교 장례의 의미를 실현하려는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Modern Korea has becom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is enjoying her economic affluence. Traditional values, on the other hand, are not properly situated in new value system and thus are rapidly disappearing these days. In this circumstance, Koreans tend to look for new values such as well-being, healing and well-dying, which represent their eagerness to find the physical, spiritual and cultural values on life and death. In spite of all these, among the OECD countries highly ranked in the suicide rate is South Korea, where people are losing the hope on life and terminating their lives by suicide, in the state of being alienated from their family and society. Religions can give an answer on the instinctive questions on life and death raised by human beings in general.
    Christian point of view on death starts from the Bible. Death, in itself, has two aspects: one is universality, which means that death comes to everyone, and the other is unavoidability, which means that no one can escape from death. In the light of Christian understanding, death can be explained as the separation of the body and the soul: more specifically speaking, it is said that the soul will be united with the body glorified by the encounter with God the Father. If the soul will be united with the body in the end, why did death come into the world even though everyone wants to avoid it? Christian faith answers that death came into the world because of the original sin, which was committed by the first man. This death, brought by the sin of the first man, has been overcome by the Passion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 and finally became the reality for all. Through the Passion and the Resurrection of the Lord did we be able to find the positive meaning of death: in other words, the Paschal mystery of the Incarnation, the Passion and the Resurrection of Christ did bring death the true meaning, that is, death is the rite of passage, which precedes the Resurrection.
    Roman Catholic Church has utilized the funeral customs of Israel and Roman Empire, christianizing them in the light of belief in the Resurrection. This christianization has led the Christians to hope for the resurrection instead of expressing their grief. It also led them to celebrate the Eucharist instead of sharing the ritual meals. Yet this Paschal viewpoint of death began to be changed into penance and petition, which was derived from fear and anxiety of the judgment after death. The color of the funeral was also changed from white to black, and the rites were celebrated focusing on God’s fury and the sins of the deceased. Vatican II ordered the Universal Church to reform the funeral rite so that it would show again the Paschal aspect of death and satisfy local customs. New funeral ritual, in this reformed point, provides the three different rites that local churches can adopt according to their own customs and traditions. It also delivers prayers and biblical passages which show the Paschal aspect,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s the funeral Mass for the Christian child and for the non-Christian child respectively.
    With these in mind, it is time to find out what kind of pastoral effort for the funeral should be made in Korea. First of all, even though Sang-jang-ye-sik(funeral rites) and Ga-jeong-je-rye-ye-sik(ritual for family memorial service) are good exemplar of how the funeral rite was successfully applied in Korea, the Funeral Ritual is a mere translation from Lat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digenous Funeral Ritual which may embrace the two mentioned above.
    Secondly, the pastoral care for the deceased and their family is more required than ever. That is, pastors need to make the bereaved feel that the parochial community is with them, and more importantly, if possible and necessary, pastors are willing to accompany them even to the cemetery. In addition to these, unified instructions on the funeral must be published so that the family of the deceased would not be confused. Thirdly, it is indispensable to discern what kind of theological errors occur out of the so-called pastoral cares. One of these is to present the ceremonial table in front of the altar at the Masses for Korean New Year and Korean Thanksgiving. What matters here is the fact that there may be a possibility for the faithful to confuse the unique sacrificial rite to the Lord with the filial duty-bound rite.
    Another is to celebrate the Mass on the 49th day after death, which comes from Buddhism: rather, it is a lot better to celebrate the Mass on the 50th day, which reminds us of the Pentecost. Fourthly, the bereaved are usually in black according to the Western cultures, yet it is not proper for either Christians or Koreans because the color of whit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mourning in Korea and also symbolized the Resurrection in Christian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be in white at the funeral. Lastly, the cremation is widely carried out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land these days. In this circumstance, Christianity is searching for the way how to develop the funere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common good and the environment. Nevertheless, some parishes where the charnel houses(cineraria) are situated find them in trouble with the neighborhood. It is necessary to lead the neighborhood to change their mind, and at the same time, the mentioned parishes should find the way for their charnel house to reveal both the Paschal character of death and the abounding mercy of God.
    In Christianity, death and the funeral are the place to confess the hope for the resurrection, which transcends death. Therefore, the effort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Christian funeral within Korean circumstances an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