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문소설의 영화적 변용연구 - 정비석의 자유부인 그리고 한형모의 자유부인 (The study of the change in the movie of Novels serialized in Newspaper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8.10
28P 미리보기
신문소설의 영화적 변용연구 - 정비석의 자유부인 그리고 한형모의 자유부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1권 / 1호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숙

    초록

    정비석의 신문소설 『자유부인』이 흥행하던 1950년대는 신문소설이 상당히 두터운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었던 때이다. 『자유부인』은 애초에 150회의 연재계약이 215회로 연장될 정도로 독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고 이러한 관심은 단행본과 영화의 성공으로 이어진다. 당시 이 작품은 계, 댄스, 사치라는 부정적 사회상의 단면을 보여주며 세태를 꼬집었다는 긍정적 평과 춤바람으로 표출된 가정주부의 일탈과 불륜을 자극적으로 묘사했다하여 저질 통속소설이라는 부정적 평을 함께 들으며 큰 논란이 되었다.
    이 글은 정비석의 신문소설 『자유부인』이 한형모 연출의 《자유부인》으로 변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서사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본 것이다. 소설 『자유부인』과 영화 《자유부인》은 동일한 스토리를 공유하고 있으나 인쇄매체와 영상매체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에 의해 표현되는 양상이 다르다. 『자유부인』은 신문소설의 특성상 독자의 반응에 민감하였다. 독자의 반응이 서사구조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으며 독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판소리의 창자와 같은 독특한 서사방법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또 소설 『자유부인』의 영화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표현 양상의 차이에는 매체변이에 따른 이유뿐 아니라 당시 크게 이슈화 되었던 사건 사고도 매우 중요한 작용을 했다고 본다. 소설 『자유부인』이 연재되던 1954년에는 53년부터 시작된 한글간소화 문제가 문교부 장관까지 자진 사임하는 등 사회적으로 크게 공론화되었다. 이 문제는 단순히 정치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그 시대 최고지성종합지 『사상계』가 특집으로 다룰 만큼 당시 지식인을 비롯한 전 국민의 주요 관심사로 번졌다. 『자유부인』 장태연의 직업을 국문학 교수로 한 설정이나 한글 간소화 문제를 소설의 시작과 끝의 소재로 사용한 서사구조는 당시 이러한 사회적 이슈를 충분히 고려한 작가의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전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희대의 난봉꾼 ‘박인수 사건’(1955) 역시 소설 『자유부인』에서 영화 《자유부인》(1956)에로 변용되는 서사구조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 일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신문소설과 영화라는 매체 변이에 따른 『자유부인』의 서사구조의 변이양상에 초점을 두면서도 당시의 사회적 이슈가 두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그때의 사회상을 살피면서 좀 더 구체적인 분석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영어초록

    The 1950s, when the newspaper novel『Madame Freedom』written by Bi-Seok Jeong was popular, was a time when newspaper novels had a very wide readership.『Madame Freedom』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the readers to the extent that 150 contracts in the first place were extended to 215, which led to the success of the book and the film.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occurred after the 『Madame Freedom』 of Bi-Seok Jeong was re-made by Hyung-mo Han’s. At that time, this work earned positive reviews that it had revealed negative social aspects such as “Gye”(traditional Korean private fund), a social dance party, and rampant extravagance.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criticized for provocative describing of the aberration and affair of a housewife. The novel 『Madame Freedom』 and the movie 『Madame Freedom』share the same narratives.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s used in print media and visual media makes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However, although the differences in expression in the movie-making process of the novel 『Madame Freedom』 are large, the social issues at that time played a much more important role.

    In 1954, when the novel 『Madame Freedom』 was in vogue, Korean language Simplification was of interest to intellectuals and the whole nation at the time, so the 『Sasangkye』 contained special feature related to Korean language Simplification. Because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that fully considered social issues of the time, Korean language simplification was used as material and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appeared in the novel. Also, before the movie 『Madame Freedom』 was released, the "In-soo Park incident" (1955) that caused the nation to stir g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movie's epic structure. Therefore, while focusing on the variations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Madame Freedom』 based on media differences between newspaper novels and movies, I want to do more specific analysis on how social issues of the time were reflected in the two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