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의 죽음- 김남천의 「미담(美談)」을 중심으로 (The Colonial Korean, Native Diaspora, and his Death - A study of Kim Nam-Cheon’s “A Beautiful Story(美談)”)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7.05
31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의 죽음- 김남천의 「미담(美談)」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3권 / 2호 / 53 ~ 83페이지
    · 저자명 : 이진형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디아스포라’ 개념을 통해 김남천의 단편소설 「미담(美談)」에 접근함으로써 식민지 조선 농촌의 변화와 그에 대한 토착민의 대응, 그리고 제국주의의 내적 균열을 살펴 보는 데 있다.
    김남천의 「미담」은 식민지 조선 농민의 디아스포라화와 죽음을 다룬 작품이다. 주인공 박왈수는 소작인임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근면함으로 마을에서 ‘미담’의 주인공이 된 인물이지만, 일제의 농촌개발정책과 산금정책으로 인해 농촌의 산업과 공간이 재편되면서 임금 노동자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근대화=식민화된 세계에서 이 선택은 착실의 윤리에 의한 디아스포라적 감정의 잠재화를 유도하는 한편, 디아스포라적 감정에 의해 조건지어진 토착민의 과잉된 행동(정체성 협상 실패의 표시)과 그에 수반한 죽음을 유발했다. 이는 박왈수의 과잉된 행동과 죽음을 일제에 의한 식민 지배의 폭력성을 증명하는 사례로 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근대화=식민화된 세계에 대한 이중의 ‘디아스포라적 개입’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박왈수의 과잉된 행동은 상상적인 방식으로나마 상실된 고향(공동체)을 복원하려는 시도였고, 그의 죽음은 임금 노동자의 자기 파괴임과 동시에 그를 동력으로 작동하는 근대화=식민화된 세계의 내파였다.
    디아스포라 개념과 그 감정에 주목하는 것은 근대적 식민 주체의 존재 상태(탈구 위치)를 포착하게 해주는 한편, 그 존재 상태를 조건 짓는 제국주의 체제의 균열 가능성 또한 사유하게 해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어쩌면 민족 대립이나 지배/저항의 문제틀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제국주의의 추문일지도 모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agricultural community and the native’s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colonial Korea, and the internal ruptures in Japanese imperialism by reading of Kim Nam-Cheon’s short story “A Beautiful Story(美談)”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diaspora”.
    Kim Nam-Cheon’s short story concerns the diasporization of a colonial Korean peasant, and his ensuing death. Park Wal-Soo -a tenant farmer- becomes the hero of “a beautiful story” due to his diligence. He choices to become a wage-labourer when his agricultural village is reorganized due to Japanese gold mining and rural development policies. His choice induces the potentialization of his diasporic emotions which in turn lead to his excessive actions and ultimate death (a mark of his failure to negotiate his identity). The excessive actions and death of the native diaspora serve to demonstrate both the violence of Japanese colonial control and his double “diasporic intervention” in the modernized=colonized world. First, his excessive actions can be considered attempts to recover a lost home (even though it may be in an imaginative way). and second, the character’s death can be perceived as the implosion of the wage-labourer and the modernized=colonized world both.
    This paper’s emamination of the concept of diaspora and diasporic emotion sheds light on the existence of the modern colonial subject (dislocation), and the rupturability of the imperialist systems within which the native diaspora lives. This point may be the scandal of imperialism, which is hard to capture in terms of national antagonisms or control/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