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수하는 여성들 - 영화 <친절한 금자씨>, <Stoker>, 그리고 <아가씨>를 중심으로 (The Avenging Females - Focusing on Park Chan-wook’s Film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2.02
48P 미리보기
복수하는 여성들 - 영화 &lt;친절한 금자씨&gt;, &lt;Stoker&gt;, 그리고 &lt;아가씨&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76호 / 467 ~ 514페이지
    · 저자명 : 김지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 사유에 근거해 박찬욱 영화의 복수 서사와 그 서사적 주체인 여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복수 3부작(<복수는 나의 것>(2002), <올드보이>(2003), <친절한 금자씨>(2005))이 아닌 복수의 행위자로서 여성 주체가 등장하는 <친절한 금자씨>(2005), <Stoker>(2013), 그리고 <아가씨>(2016)를 본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해당 작품들의 영화적 텍스트가 공유하는 1) 지배 및 권력 구조에 내포된 규범화와 억압의 문제, 2) 그러한 규범화에 반하는 여성 주체의 욕망, 그리고 3) 주체와 타자 간의 연대를 밝힘으로써 해당 영화 속 서사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한다. 특히 본 연구는 서사적 주체가 체험하는 비극적 사건과 복수의 과정을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 이를 분석하는데, 각각의 복수 서사 속에서 여성 주체들이 속하는 사회문화적 구조, 그들의 욕망이자 복수의 동기, 그리고 주체와 타자 간의 관계성을 해석함으로써 그들의 연대의 의미를 규명한다.
    이에 본고의 의의는 해당 작품들이 개인의 복수를 다룰 뿐 아니라 권력과 지배의 매커니즘과 그 역학을 제시한다는 것을 밝히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영화의 서사와 주체를 분석함으로써 사회 내에서 기능하는 특정한 규율이 타자에게 강요되는 데에서 오는 폭력성과 그에 대한 주체의 저항을 규명한다. 그리고 각 작품에서 제시되는 일련의 복수 과정 속에서 여성 주체가 지닌 특정한 성향이나 욕망이 기존의 사회문화의 구조 논리가 아닌 개인의 정체성과 관련된 차원에서 새롭게 포괄된다는 서사적 공통점을 발견한다. 박찬욱의 영화에서 남성에 대한 여성의 복수는 단순히 개인 대 개인의 측면으로만 해석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여성 주체에 의한 복수 3부작의 각 서사와 서사 속 여성 주체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작품들이 지니는 영화사적 의미에 대해 탐색한다.

    영어초록

    This project aims to analyze the narrative of revenge and redemption by female protagonists in movies directed by Park Chan-wook, one of the most prominent directors in South Korea.
    Sympathy for Mr. Vengeance(2002), Old Boy(2003), and Sympathy For Lady Vengeance(2005) make up Park’s original neo-noir “revenge trilogy. However, in this essay, I propose a new trilogy featuring a female protagonist--The Handmaiden (2015), inspired by Sarah Waters’s Fingersmith, Vengeance (2005), Stoker(2013)--which creates an experience that is both revealing and inviting. It probes the dynamics between the inner backlash of the ungovernable rage of oppressed female characters and the society they are part of, leading them to seek revenge rather than become victims.
    The three feature films revolve around deception-based exploitation and violence where the female protagonists encounter a series of injustices by men. I analyze the question of female-to-female solidarity under the guise of retribution, arguing that female revenge should not be interpreted solely as personal attacks. While their roles vary, protagonists have to engage with a misogynist and patriarchal society through violence to seek justice. At the same time, they can fulfill their desire by destroying that “certain type of individual” and that very society that suppresses women. I show how Park portrays the absurdity of a society that suppresses and stereotypes individuals drawing on the narratives and narrative subjects of each fil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