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 카오스모제, 생태적 주체성 그리고 생태민주주의 (Felix Guattari’s Ecophilosophy: Chaosmose, the Production of Ecological Subjectivity and Eco-Democrac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 카오스모제, 생태적 주체성 그리고 생태민주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27호 / 233 ~ 258페이지
    · 저자명 : 박민철, 최진아

    초록

    생태주의는 생태적인 사유와 실천에 이념적 지위를 부여하는 가치관이자 이데올로기이다. 특히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자본주의의 전지구화속에서 발생한 엄청난 생태계의 위기들은 생태주의에 대한 커다란 관심을 불러왔다. 하지만 생태계 파괴는 자연의 오염과 훼손을 넘어서서 근본적으로는 인간의 실존적 생활양식의 파괴라는 점에서 쉽게 지나칠 수 없는 위험이 되고 있다.
    펠릭스 가타리는 이러한 생태위기의 근본원인을 자본주의로부터 찾는다. 그는나아가 현대자본주의 사회의 비판을 토대로 생태위기의 극복을 주체의 해방과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가타리의 생태학적 기획은 자연-사회-인간이라는 세 가지 생태학적 영역의 변혁을 주도할 새로운 주체성의 생산을 핵심으로 삼는다.
    가타리가 주장하는 생태적 주체성은 ‘특이성’, ‘이질발생적 기계성’, ‘무의식적 욕망’의 원리들을 통해 새롭게 구성됨으로써 전복적 힘을 획득하게 된다. 이것이그가 말하는 새로운 주체성 생산이자 ‘다르게 되기’라는 전략이다. 이러한 ‘다르게 되기’는 생태적 주체성들이 만들어가는 생태민주주의 실현의 출발점이 된다.

    영어초록

    Ecologism is a view of values and an ideology that gives the highest priority to ecological thinking and practice. In particular, the enormous crises in the ecosystem amid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globalization of capitalism have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for ecologism.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which not only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but also fundamentally destroys the existential lifestyle of humans, deserves serious attention.
    Pierre-Felix Guattari finds the fundamental cause of such ecological crises in capitalism. In addition, he connects the overcoming of ecological crises with the liber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riticism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Such ecological planning by Guattari focuses on the production of a new subjectivity that will lead a revolution of three ecological areas: nature, society, and humans.
    Guattari’s ecological subjectivity gains a subversive power by constituting new principles of ‘specificity,’ the ‘heterogeneous nature of mechanical property,’ and an ‘unconscious desire.’ This is a new subjectivity production suggested by him and a strategy called ‘being different.’ Lastly, ‘being-different’ becomes the starting point for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democracy by ecological subje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