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양명의 초상과 폐병, 그리고 측달지심(惻怛之心)의 관련성 시론(試論) (The portrait of Wang Yang-ming, Consumption, and Empathy[Cedazhixi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6
41P 미리보기
왕양명의 초상과 폐병, 그리고 측달지심(惻怛之心)의 관련성 시론(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24호 / 291 ~ 331페이지
    · 저자명 : 최재목

    초록

    이 논문은 왕양명의 초상과 폐병, 그리고 측달지심(惻怛之心)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논한 것이다.
    양명학을 보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많은 사상가들의 생전 모습은 대체로 초상화를 통해서 추측해볼 수 있다. 그런데 왕양명의 경우는 좀 특별하다. 어딘가 병을 앓는 듯하다.
    양명의 질환에 따른 고통, 그런 신체감각이 철학사상을 구축하는데 깊이 연관돼 있음을 살펴보는 것도 좋겠다. 양명 스스로 ‘오신지질통(吾身之疾痛)’이란 말을 썼다. 그의 사상의 발신지는 구체적 몸(신체)이지 관념적 머리(정신)가 아니다. 그래서 그의 사상 언어는, 신체가 만들어낸 : 신체감각 즉 ‘체감(體感) 언어’이지, 두뇌가 만드는 개념적 ‘추상(抽象) 언어’가 아니다. 양명이 말하는 ‘신체의 질통’(身之疾痛)은 바로 ‘진성측달지심’(眞誠惻怛之心)이고, 진성측달지심은 ‘양지’(良知)의 활동/전개(=致良知)이다. ‘신체의 질통’(身之疾痛)=‘진성측달지심’(眞誠惻怛之心)=‘치양지’(致良知)는 ‘시비(是非)’, ‘호오(好惡)’를 직관한다.
    왕양명은, 스스로 질병을 껴안고 있으면서 병들고 아픈 세상을 치유하고자 했던 이른바 ‘상처 입은 의사’(wounded healer)’였다. 그래서 왕양명은, ‘진성/성애측달지심(眞誠/誠愛惻怛知心)이 없다면’, ‘양지를 실현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것은 ‘눈’의 진정한 의미는 ‘눈물’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성과 논리(=눈)의 진정한 의미는 구원과 자비(=눈물) 쪽에 있다는 말이다. 왕양명은 그의 치양지(致良知) 철학을, 성애측달지심(誠愛惻怛之心)이라는 ‘구원과 구제의 자비(慈悲)’ 쪽에서,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지혜(智慧)-이성(理性)’을 껴안는 방향으로 구축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rait of Wang Yang-ming, Consumption, and Empathy[Cedazhixin] There are many ways to study Yangming. The life of many thinkers can be guessed through the portraits. However, the case of Wang Yang-Ming is a little special. It seems to be somewhere ill. The pain associated with bilateral diseases, such a sense of body, is deeply related to building philosophical thought. This paper has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Yangyang himself wrote the phrase 'pain in my body(wushenzhijitong吾身之疾痛)'. The source of his ideas is the concrete body, not the ideological mind. So his thought language was the so-called body sensory language created by the body. It is not a conceptual abstract language that the brain makes.
    Wang's 'pain in my body' is the function of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shifeizhixin) and is the zhiliangzhi(Moral judgment and willingness to practice in human beings). Wang Yangmyong was a so-called wounded healer who was hugging himself and trying to heal the sick and sick world. So Wang Yang-ming said that we shall realize zhiliangzhi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sympathy and compassion. This means that the true meaning of the eyes is in tears. The true meaning of rationality and logic is that it is toward salvation and mercy. Wang Yang - ming's zhiliangzhi philosophy sees wisdom and reason in salvation, salvation, and compa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