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 - (A critical review of expressive writing education - Rhetoric, research and identity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자기표현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수사(修辭)와 탐구 그리고 정체성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작문연구 / 33호 / 65 ~ 94페이지
    · 저자명 : 이정찬

    초록

    이 연구는 자기소개서와 성찰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기존의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대해 살펴보고, 서구의 논의를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자신에 대한 홍보와 특정한 목적 달성을 위한 수사로서의 글쓰기 혹은 자아에 대한 탐구와 성찰을 위한 글쓰기를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대표적 유형으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지금의 자기소개서는 상대가 요구하는 특정한 능력과 가치에 따라 필자 자신의 판단과 경험을 선별적으로 드러내는 것을 강요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상대가 가치 있을 것으로 여기는 특정 사례나 경험을 과장하거나 미화하고 나아가 그러한 가치에 스스로를 합리화하는 왜곡된 과정까지도 ‘전략적 소통’으로 포장하고 있는 것이 자기소개서의 이면이다. 성찰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 역시 내적 지향의 자아 탐구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어 필자의 내면적 고백이 ‘자기 확증’에 이를 뿐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나 공동체에 대해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결국 이러한 연구 경향은 자기표현적 글쓰기를 제한적 측면에서만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서구에서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대한 관심은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글쓰기 교육을 거부하고 필자의 의식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을 중시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즉, 자신의 주장과 견해를 과감히 밝히는 적극적 행위로서의 글쓰기가 바로 ‘자기표현’을 지칭하였던 것이다. 결국 이러한 관심의 변화는 글쓰기를 통해 자신과 공동체의 변화 및 발전을 도모하는 적극적 행위를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표현적 글쓰기의 본질을 ‘정체성’ 측면에서 고찰하고, 자기표현 글쓰기를 자신과 세계에 대해 특정한 판단을 이끄는 신념이나 가치관 등을 자각 및 분석하여 이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자기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는 일련의 의식적인 쓰기 행위로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글쓰기 교육 역시 특정 사안에 대해 학습자 스스로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도록 유도하고 그 기저에는 어떤 가치와 신념이 존재하는지, 무엇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왜곡하지 않고 드러내는 것인지를 글쓰기를 통해 확인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자기 점검의 계기로 삼고, 타인과의 불균형을 조율하고 조정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신념과 가치 등에 변화와 발전을 모색하는 순환적이며 지속적인 쓰기 교육 과정을 자기표현적 글쓰기 교육의 모델로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xpressive writing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the self - introduction and reflexive writing, tries to find a new method of expressive writing by reviewing western theories.
    In previous studies, it was considered as publicity for self and tool for achieving a specific goal or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writing mode of search and reflection of the self. But the present self-introduction statements are forcing me to selectively expose my judgment and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pecific abilities and values that depended on opponent's needs. Then, the self-introduction statements are that even the distorted process of exaggerating or beautifying certain experiences that the opponent regards as worthy, and rationalized to such writing, is also being wrapped in 'strategic communication'. Writing for reflection is also criticized because of discussing with the inner self-exploration by confession to cause a resulting self-affirmation, as well as ignoring the society or community. In the end, both studies are approaching limited expressive writing.
    On the other hand, interest in expressive writing in the West began with an emphasis on writer’s conscious and autonomous activities, refusing traditional and customary writing education. In other words, writing as an active act that daringly expresses own arguments and opinions was called 'expressive writing'. In the end, this change of interest emphasized positive action that promotes change and development of oneself and community through writing.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identity, expressive writing was defined as a series of conscious writing activities aiming at self - change and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bases (beliefs and values, etc.) leading to specific judgments about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sharing them with others. Therefore, writing education also induces learners to make judgments and decisions about various issues and issues, emphasize that be placed on checking through writing what values and beliefs exist, what they reveal without distorting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his study also proposed a cyclical and continuous process to change and develop their beliefs and values through the process of coordinating and adjusting the results by sharing them with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작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