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과 계급 사이의 영화비평, 그리고 아메리카니즘 - 해방기 영화비평 연구 (Movie criticism between nation, class, and Americanism : A study on the movie criticism of liberation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11
33P 미리보기
민족과 계급 사이의 영화비평, 그리고 아메리카니즘 - 해방기 영화비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1권 / 3호 / 221 ~ 253페이지
    · 저자명 : 남기웅

    초록

    일제가 패망한 1945년부터 한국 전쟁이 발발하는 1950년에 이르는 해방기 동안 제작된 영화는 다른 어떠한 예술 형식보다 그 시대를 읽어낼 수 있는 역사적 통찰을 가능케 해준다. 거대 자본을 필요로 하는 영화산업의 특성상 당시의 열악한 제작 환경으로 말미암아 해방기에 제작된 모든 영화들은 영화인들의 치열한 대립과 숙고의 산물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작자들이 영화 제작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표출해나가는 동안 다른 한 쪽에서는 글로써 영화와 민족, 국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출하는 중대한 과정들이 진행 중이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다뤄졌던 해방기의 영화비평을 살펴봄으로써 해방기 영화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고자 한다.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건국이라는 상황 속에서 해방 공간의 한국인들에게 정치는 일상이었다. 그러므로 해방기 영화비평의 흐름 역시 당시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보조를 맞추어 나갔는데, 이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해방 직후부터 조선영화동맹이 좌익 중심으로 개편되는 1946년 8월까지의 시기가 첫 번째이다. 이 시기에 영화인들은 건국을 위해 영화가 무슨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골몰하며 민족영화론과 영화 국영화론을 중심으로 비평을 전개했다. 그러므로 비평의 목적은 대립과 반목을 해소하고 화합과 통일을 이루는 데 있었다.
    두 번째는 좌우익의 대립이 심화되며 우익 주도로 정부수립이 이루어지는 1948년 8월까지의 시기이다. 해방 정국이 헤게모니 다툼의 장이 되면서 영화비평은 강한 정치성을 띠게 되었다. 이 시기 영화비평은 종종 자신의 이념을 옹호하거나 상대 진영을 공격하는 정치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었다.
    마지막 시기는 정부수립부터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의 시기이다. 미군정의 지원 하에서 우파 민족주의 정부가 수립되었고, 아메리카니즘에 영향을 받아 ‘민족’과 ‘조국’의 정의와 이상도 수정되기 시작했다. 정부수립 전부터 비판 받았던 미국의 상업주의 영화들은 이제 새로운 ‘민족영화’를 위한 전범(典範)으로 평가되었다.
    이렇듯 해방기의 영화비평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이루어졌으며, 광복이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나타나는 한국 영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첫 번째 단초를 제공함은 물론, 치열한 정치 공론의 장이었던 해방기를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료로서 의미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movie criticism for Korean Liberation Period which was from 1945 to 1950. Basically, film industry needs huge capital. However, movies were made from poor production environment in Korean Liberation Period. Moreover, movie makers were intensely in conflict with themselves because of different ideologies.
    When movie makers expressed their ideology through making movies, movie critics also significantly tried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nation and movie. Based on this special political situation, this study will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movie and society in Korean Liberation Period by investigating movie criticism which was considered less important in that period.
    Because Korea had ideological conflicts and was about to establish a country in this period, politics was daily life and daily life was politics to the Koreans. Also, movie criticism in Korean Liberation Period was influenced by political changes. This period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period is from right after Liberation Day in 1945 to August 1946 when Chosun Film Alliance was reorganized into the leftist force. In this period, critics concentrated on the role of the movie for establishing a country. Then, they developed criticism focusing on ‘Production of National Movie’ and 'Nationalization of film industry'. In terms of theme on discourse, objective of criticism was to resolve ideological confrontations and reach unification.
    Second period is from September 1946 to August 1948. As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re getting intensified, government which the right force lead was established. Liberation political situation became the field where they fight for hegemony, so movie criticism became political. Criticism in this period was used for political movement. For example, it supported certain ideology or attacked other ideology.
    Last period is from the date of establishing government to June 1950 when Korean War occurred. Under U.S. Military Government's support, right-wing nationalism government was established. With the affect of Americanism, the ideal of 'Nation' was also modified. Although American commercial movies had been criticized, after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they started to be evaluated as ‘Classic’ for new ‘National Movie’ in this period.
    In a conclusion, according to political situations in Korean Liberation Period, movie criticism was progress. Of course, it gives the first step to reveal characteristic of Korean Movie and it is meaningful as an important resource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film from 1945 to 1950 which changes a lot polit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