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政治와 祥瑞, 그리고 復古: 南朝 阿育王像의 形式과 性格 (Politics, Auspicious Signs, and Fugu (復古): The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Southern-Dynasties Ashokan Statu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1.12
29P 미리보기
政治와 祥瑞, 그리고 復古: 南朝 阿育王像의 形式과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1272권 / 271272호 / 261 ~ 289페이지
    · 저자명 : 소현숙

    초록

    이 논문은 중국 南朝 阿育王像의 造形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와 같은 형식이 나타나는 배경을 분석한 글이다.
    아육왕상은 일반적으로 인도의 아육왕이 만든 조상으로 알려졌는데, 남북조시대에서 당대까지 중국의 瑞像으로 숭배되었다. 그리하여 아육왕상에 대한 고사와 영험이 다수 집록되어 현존하며, 또한 四川省 成都에서는 ‘(아)육왕상’ 명문을 가진 두 건의 6세기 조상이 출토되었다. 게다가 이와 동일한 형식의 동시기 입상과 頭像도 다수 출토되었다.
    흥미롭게도 이런 아육왕상은 공통된 조형적 특징을 갖고 있다. 즉 通肩 대의는 발목을 드러낸 채 아주 짧게 입고 상체와 하체에 각각 U자형 옷주름을 묘사했다. 그리고 콧수염이 있으며 두발과 육계는 두 가지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이런 특징은 4세기 오호십육국시대 불상과 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성도 아육왕상은 4세기의 復古風으로 제작된 불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복고풍의 출현은 아육왕상이 남조에서 갖는 특수한 성격과 관련이 있다.
    아육왕상은 優塡王像을 비롯한 인도 瑞像들과 달리 경전적 근거가 없고 현재까지 인도나 서역의 발견 사례가 없다. 게다가 6세기 중엽 西魏가 成都와 江陵을 점령하기 이전의 북조에서도 아육왕상 신앙과造像 사례가 없다. 다시 말해 아육왕상은 남조에서 창안된 도상이며, 6세기 중기까지 남조인만의 신앙 대상이었다.
    남조의 아육왕상은 유목민족이 건립한 북조 왕조들에 대해 남조 불교의 우월적 지위와 정통성을 드러내주는 정치적 祥瑞였다. 특히 建康의 長干寺에 봉안된 아육왕상은 4세기 전반 북쪽의 정치 중심지에서 남조 都城으로 이동해온 전승 고사를 가지고 있어 남조 정권과 남조 불교의 정통성을 드러내주는 기념물로 인식되었다. 중국에서는 5세기 말부터 국가의 흥기를 불교와 관련시키는 사상이 출현하는데 이를 가장 잘 활용한 황제는 梁 武帝였다. 무제는 자신의 통치와 남조 불교의 정통성을 드러내주는 아육왕탑과 아육왕상을 적극적으로 이용, 이들에 대해 대대적인 佛事를 한다. 이로 인해 아육왕상 신앙은 四川까지 확대된다. 때문에 성도에서 제작된 아육왕상은 양의 정치적 상서였던 장간사 아육왕상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장간사 아육왕상은 불법이 西晉으로부터 남조로 연면히 이어져왔음을 보여주는 정치적상서, 즉 남조 불교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표지였다. 그러므로 ‘연속성에 의한 정통성의 유지’라는 중국의 전통적 관념의 작용에 의해 6세기 성도 아육왕상은 4세기 형식, 즉 복고풍으로 제작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that are common to Ashokan statues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discusses the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such stylistic characteristics.
    Ashokan statues are said to have been made by King Ashoka of India (ca. 304-232 BCE).
    These statues were worshipped in China as auspicious figures(瑞像), over a long period,from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period to the Tang Dynasty. Many compilations of Ashokan statue-related ancient legends and stories of their supernatural power have survived in China, to this day. In recent years, two sculptures dating from the 6th century,bearing the inscription“King (A)shoka Statue,’have been discovered in Chengdu(成都) in Sichuan(四川) Province. Standing statues and statue heads in an identical style, dating from the same period, have been also discovered in large numbers, in Chengdu.
    Interestingly, these Ashokan statues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in appearance. The robe covering both shoulders is quite short, baring the ankles, and garment folds, present in the upper and lower bodies, are in the shape of the letter U. All of them have a moustache, but their hair vary somewhat, as there are two different styles. Similar characteristics are, in fact,seen in Five Barbarians and Sixteen States-period Buddhist sculptures from the 4th century.
    In other words, Ashokan statues could have been a fugu (returning to the ancients)-style Buddhist sculptures created in the 4th century. Meanwhile, the emergence of such fugu stylehas to do with the auspicious sign(祥瑞) Ashokan statues took on in the Southern Dynasties.
    Unlike statues of King Udayana and other auspicious figures of Indian origin, Ashokan statues have no basis in Buddhist scriptures, and have never been discovered in India or in Central Asia. Also, up until the mid-6th century and before the Western Wei conquered Chengdu and Jiangling(江陵), Ashokan statues were neither made nor worshipped in the Northern Dynasties. The iconography of Ashokan statues was, therefore, created in the Southern Dynasties. As a matter of fact, these statues were only worshipped in the Southern Dynasties until the mid-6th century.
    Ashokan statues of Southern Dynasties were in their nature close to a political sign serving to showcase the Southern Buddhist Dynasties’legitimacy and superiority to the Northern Dynasties which were dynasties founded by nomadic peoples from the north. The Ashokan statue housed in the Changgan Temple(長干寺) in Jiankang(建康), for example, was brought from the political center in the north, when the Southern Dynasties moved down southward.
    For this reason, this statue was considered a memorabilia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the token of their Buddhist orthodoxy. Starting in the late 5th century, the fortunes of a state were increasingly linked, in China, to Buddhism. Emperor Wu(武帝) of the Liang dynasty was arguably the ruler who most effectively exploited this association for his political gains.
    Emperor Wu actively used Ashokan pagodas and statues as symbols of legitimacy of his rule and orthodoxy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m, holding massive-scale Buddhist rites. It is thanks to this that the Ashokan statue cult eventually spread all the way to Sichuan. Ashokan statues made in Chengdu, therefore, appear to have been modeled on the Ashokan statue housed in the Changgan Temple.
    In conclusion, the Ashokan statue of the Changgan Temple was a marker evidencing that the religious tradition of Buddhism continued from the Western Jin to the Southern Dynasties without interruption, serving important political purposes. Continuity, in the traditional Chinese belief system, equaled legitimacy and orthodoxy, and this was the reason why 6thcentury Ashokan statues of Chengdu had to be made in a fugu style, following the style of the 4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