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동학: 심신 조율 그리고 예술치료 ━인도의 춤 미학을 중심으로━ (Kinesiology: Harmony between Body & Spirit And Art Therapy —Centering on Indian Aesthetics of Da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8.09
30P 미리보기
신체동학: 심신 조율 그리고 예술치료 ━인도의 춤 미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6호 / 419 ~ 448페이지
    · 저자명 : 김재숙

    초록

    본글은 신체동학의 대상이 되는 춤ㆍ동작을 통해 심신의 조율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인도의 춤의 미학과 연결지어 살펴보는 글이다. 춤은 신체의 움직임을 매개로 하는 예술형태이며, 그런 움직임을 일으키는 내면세계와의 감응 내지 일치에 따라 동작이 표현되어 나오는 것이기에, 신체와 마음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춤은 몸의 움직임을 통해 심신의 일체감을 추구하는 것에 본래의 목적이 있다. 오늘날의 심리치료보다 더 강력하게 심신통합을 역설했다고 할 수 있는 고대 인도의 전통은 현대 춤ㆍ동작치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도인에게 춤은 육체적 기교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영적 힘에 대한 도구였다. 인도인들은 춤을 브라만신으로부터 받은 신성한 것으로 여기며, 인간의 몸을 신의 춤을 출 수 있는 신성한 용기로 보았다. 인류에서 가장 오래된 춤의 경전 『나티야 샤스트라』에서는 춤의 목적과 효능을 말하고 있다. 춤은 신성에 이르기 위한 중요 매개였다. 춤을 추는 것으로 신과의 교감을 느끼고, 그후 비로소 심신에 새로운 생명력이 가득차게 된다. 이는 춤ㆍ동작을 통해 신인합일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범아일여 사상에 의하면 이는 곧 자신의 아트만과의 합일이다.
    한편 춤은 일종의 비언어 의사소통의 매체이다. 춤ㆍ동작은 ‘생각하고 있는 신체’에 의한 것이다. 고도의 상징기호로서의 인간 몸짓은 인도 전통춤에서 정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도 무용극은 무드라라고 불리는 다양한 손동작 외에 얼굴짓ㆍ몸짓으로 표현되는 상징기호가 무궁하다. 그외 발동작은 대지의 힘을 상승시켜 우주로 확산되는 에너지의 확산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우주의 리듬을 호흡하며 우주의 신체화로서의 춤으로 확대된다. 춤은 성스러운 것의 거울, 몸짓의 거울로서 여겨진다.
    춤ㆍ동작 치료는 말로써 표현할 수 없는 내적 감정들에 접근하는 것에 초점이 가해진다. 억압된 정서는 신체를 제약하고 왜곡시킨다. 춤은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심층적 감정들을 발화된 언어표현보다 덜 왜곡된 방식으로 드러낼 수 있다. 몸심리학에서는 억압된 정서와 정신적 경직성이 근육긴장으로 신체에 축적된다는 근육갑옷 개념을 제기함으로써 몸중심 심리요법을 개발시키고 있다. 인도에서도 춤을 통해 자기에게 있는 감정을 조절하여 평정한 심리정서를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라사(미적 쾌)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가능하다. 라사는 개인적 정서가 아니라 보편적 정서이다. 라사는 정신적 고양의 의미를 내포하는 신인합일의 경지와도 통한다. 춤은 자기 몸에 집중하고 자기 목격, 자기 감지의 능력을 개발시킨다. 자기 호흡을 느끼면서 몸의 감각을 회복한다는 것은 몸의 확장을 통해 자아가 확대되고 평정을 되찾는 것과 연관된다. 그리하여 관습에 젖어 있는 몸을 조율하는 오랜 치유를 거쳐 몸의 ‘자연’을 회복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reatise examined how body movement gives rise to the harmony between mind and body in connection with Indian aesthetics of dance. From the ancient age, dance as the healing art was the archetype of union between body and spirit. In India, dance was the instrument of bringing Brahman into human body and was the mirror of human gesture. Incarnation of Brahman, Siva Nataraja, was a dancing queen. According to Upanisadic philosophy, dance aims at union of Brahman and Atman. To Indian people human body was regarded as holy container to accept the God's gift. Natya Sastra was the oldest canon on dance and the theater in human history. Dance was the important medium to attain the divinity. Traditional Indian dance influenced today's dance movement therapy.
    Dance was the medium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Dance movement was the movement of the 'thinking body'. Indian traditional dance exposed the human gesture as the symbolic sign to a high degree. It revealed hand, foot, face gestures etc. innumerably, but especially hand gestures to be called Mudra were substantial and sensitive sign system. Besides, foot movement showed the ascent of the energy of earth and the diffusion to the sky. Dancer breathed in the cosmic energy and rhythm. And then, dance was not the human bodily movement but cosmic dance. Dance movement therapy focuses on inner feelings and emotions beyond words. Oppressed emotions restrict the human body. Dance can express the oppressed emotions better than spoken words. According to somatic-psychology, oppressed emotion or mental rigidity is stored up in body because of psychological strain.
    In Indian Aesthetics, dance controled one's inner feeling and recovered tranquility of psychological emotion. Dance aroused 'rasa'(aesthetic pleasure). Rasa was not individual and subjective emotion but universal feelings. The concept of 'Rasa' implied emotional pleasure and mental exaltation and religious union. Dance movement therapy developed the abilities of sensory awareness, self-witness and self-awareness. Eventually it leaded to the recovery of the Nature of Cosmic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