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小說’, 자질구레한 이야기?:명청 시기의 ‘小說’ 그리고 그 현대적 해석 (‘Xiaoshuo’ or Small Talk?: The Usage of ‘Xiaoshuo’ in the Fiction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 New Viewpoint of Chinese Fictio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12
44P 미리보기
小說’, 자질구레한 이야기?:명청 시기의 ‘小說’ 그리고 그 현대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소설논총 / 53호 / 85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진곤

    초록

    이 논문은 중국문학사에서 2천 년 넘게 사용된 ‘소설小說’이란 단어가 세상에 떠돌아다니는 비교적 짧고 자질구레한 이야기라는 의미를 지니고 출발하였다는 점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 ‘소설’이란 단어는 나중에 육조 지괴, 당 전기, 설화사가의 한 분파로서의 소설, 연의나 장회와 같은 백화장편소설 그리고 소위 현대소설에도 그대로 사용되어 왔다. 후대 사람들이 소설이란 단어가 처음 등장하던 그때의 지시대상을 잘못 이해하고 지시대상의 범위를 무단히 확대하고 오용한 것인가 아니면 이 소설이란 단어는 한없는 포용력을 지닌 채 최소한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양식들을 포섭하면서 성장해온 것인가. 이 의문점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을 쓰는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위충현소설척간서》라는 작품을 실마리로 삼아 풍몽룡의 삼언에서 찾아낼 수 있는 ‘소설’의 용례 그리고 풍몽룡 시대의 작품이나 작품집의 이름에서 드러나는 ‘소설’의 용례를 찾아내어 그 용례들 사이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따져보고 설명하였다. 그런 다음 이어의 단편소설과 평론문에서 드러나는 ‘소설’의 용례를 찾아내어 그 용례들 사이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따져보고 설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중국에서는 적어도 명말청초시기부터 ‘소설’이란 이름으로 문언단편과 백화장단편 그리고 이들과 유사성을 보일 수 있는 작품들을 모두 포괄하여 지칭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소설’은 야사, 패관, 고사 같은 단어로 대체되기도 할 수 있는 그런 단어였음을 알게 되었다.
    근현대 시기에 이르러 중국소설사를 다루는 다양한 저서는 자질구레한 이야기로부터 출발하였기에 그 출발점에서 온전히 자유롭지 못한 전통 중국의 ‘소설’ 특징과 부르주아 서사시, 즉 노벨로서의 소설 특징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노벨과 가까운 서사체를 중국문학사에서 찾아내고 이렇게 찾아낸 작품들 사이의 근접성 그리고 상관관계를 해명하는 시도를 줄곧 하여왔다. 중국소설사를 서술하는 그 시점의 현재적 소설 개념에 입각하여 전통 중국의 소설을 재구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전통 중국에도 소설을 소설이라 부르던 전통의 힘이 있었고 그 힘이 근현대 시기의 중국소설사 저자들의 그런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 힘이라는 것도 인정하여야 한다. 우리가 중국소설사를 전통 중국의 소설 특징이 노벨로서의 소설 특징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만 파악할 필요는 없다. 필자는 현재적 관점에서 혹은 노벨적 관점에서 전통 중국의 소설을 재구성하는 이런 시도 자체도 중국적 전통에 반하는 시도가 아니며 오히려 거의 모든 이야기체를 소설로 불러왔던 중국적 전통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다. 중국에서는 거의 모든 이야기체를 ‘소설’로 부르는 전통이 적어도 풍몽룡 시대에 확립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앞에서 말한 이런 시도는 관습을 준용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중국에서는 최소한의 공시적 요건만 있으면 그 사적 발전의 단계가 어떠하더라도 모두 ‘소설’로 불렀고 ‘소설’에 포함시켜왔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word ‘xiaoshuo’ used in Chinese literature for over 2,000 years originated in the meaning of a relatively short and not serious story about the world. This ‘xiaoshuo’ has been used for ‘zhiguai’ or ‘strange tales’ of Six dynasties, ‘chuanqi’ of Tang dynasty, ‘xiaoshuo’ in four storytellings of Song dynasty, full length vernacular novel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so-called modern novel. The term of ‘xiaoshuo’ should have been confined to the meaning of small talk, at the time it first appeared, but has it been misused by later users or has the word grown up involving forms that are found to have minimal similarity with the Novel? I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find a small clue to this question.
    Making the Xiaoshuo of Criticizing Wickedness of Wei Zhongxian魏忠賢小說斥奸書 as a beginnig point, I have explored the examples and meanig of ‘xiaoshuo’ of the short stories and criticisms of Feng Menglong and Li Yu. Through this process, I learned from Chinese literary history that at the very least, ‘xiaoshuo’ has covered and named both classical short story, vernacular story, vernacular full length novel and similar works in the name of ‘xiaoshuo’. At the same time, however, I found out that ‘xiaoshuo’ was a word that could be replaced by words such as an unofficial history野史, 稗官, anecdote.
    In the modern era, a variety of books dealing with Chinese novels have attempted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xiaoshuo’ in China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in the Western Europe as an epic of bourgeoisie. As a part of that process, someone has strengthen the novel-like works in Chinese narrative history and deliberlately overlooked the ‘xiaoshuo’-like works. However, I believe that these attempts are not an attempt against the Chinese tradition but instead follow the Chinese tradition that has brought almost all narratives into ‘xiaoshuo’ or fiction. In China, the tradition of calling all narratives as ‘xiaoshuo’ has been established at least in the era of Feng Menglong, so I think it is right to regard customs as being applied. In China, whatever the level of historical development is, it is called ‘xiaoshu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소설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