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기와 터부 그리고 사진 - 현대 사진예술에 나타난 금기의 재현 (The ban, the taboo and the photography : The representation of ban in contemporary photograph ar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06
33P 미리보기
금기와 터부 그리고 사진 - 현대 사진예술에 나타난 금기의 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51권 / 172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경률

    초록

    금기의 재현은 회화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역사적으로 억압된 욕구를 드러내는 금기와 터부는 일부 위대한 화가들에 의해 재현되었는데 대부분 우회적인 방식으로 은밀히 드러나지만 여전히 감시의 그늘에 있었다. 그러나 18세기 인간 본성에 관한내적 탐구가 시작되는 근대 미술에 와서 억압된 욕구는 감시와 통제의 울타리를 넘어점진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19세기 사진발명 이후 사진의 대중화는 단순한 현실의 복제를 넘어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금기의 재현을 가속화시켰다. 왜냐하면 무한 복제가 가능한 사진은 응시자에게 반박할 수 없는 장면의 신빙성(ça a été)을 주면서 오랫동안 대중들이 볼 수 없었던 은밀한 장면을 전파의 형태로 무더기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중과 소통하는 금기의 재현은 사실상 이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진예술에서 금기의 재현은 가장 중요한 예술적 담론들 중 하나가 되었고,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에 속하는 많은 작가들은 실제 사진을 가장 중요한 매체로 활용한다. 왜냐하면 사진은 단순히 이미지의 결과가 아니라 상황설정, 역사적 구성, 미장센, 퍼포먼스 등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실행자가 되기 때문이다.
    현대 사진예술에서 나타나는 금기의 재현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우선정치 이데올로기 영역에서 금기가 집단 사회의 공공연한 비밀이나 역사적 퇴행으로나타날 때, 사회적인 금기는 대부분 대중의 알 권리보다 다수의 행복을 위한 윤리적문제와 선정성에 관계된다. 집단 공동체의 생존과 존속을 위해 가장 오래된 금기는 종교와 성에 관계하는데, 작가들이 재현하는 종교적 금기는 동성애, 낙태, 성적 결정권, 인종 문제 등 교회의 절대 권위와 복종 그리고 교리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에 항거하는예술적 제스처로 이해된다. 끝으로 현대 조형사진가들이 사진을 활용해 노골적으로드러내는 성적 금기의 재현은 집단 사회의 상품화된 성과 경직된 성교육 게다가 성에대한 자기 결정권까지 박탈하는 오늘날 왜곡되고 억압된 성에 대한 숙고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representation of ban has been long enough to be the history of painting. The prohibition and taboo, which reveal the historically repressed desires, were revived by some great painters. It is mostly exposed secretly as a roundabout method, but was still put in the shadow of surveillance. However, with entering the modern art that is begun an internal inquiry into human nature in the 18th century, the repressed desire is gradually unveiled beyond the fence of surveillance and control.
    Especially following the invention of photograph, the popularization of photograph accelerated the reappearance of ban with a different method from the past beyond the simple duplication of reality. That is because the photograph available for infinite replication shows private scenes in a pile, which couldn’t be seen by the public for a long time, in the form of propagation, while giving credibility(ça a été) in the irrefutable scene to starers. Thus, the revival of ban,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can be considered to be from this time in fact.
    The representation of ban in contemporary photograph ar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istic discourses. In particular, many artists who belong to the postmodernism series actually utilize photograph as the most important medium. That is because a photograph is not merely an outcome of image, but becomes a practician in the process of making a work such as situation posing, historical composition, mise-en-scene, performance, etc.
    The representation of ban, which is shown in contemporary photograph art, appears largely with four types. Above all, when the ban in the sphere of political ideology is indicated as an open secret or historical regression in group society, the social ban is mainly related to ethical issue and sensationalism for the happiness of majority rather than a right to know in the general public. The oldest ban for survival and persistiveness in group community is relevant to religion and sex. The religious ban, which is revived by artists, is understood as artistic gesture that fights against the absolute authority and obedience of a church such as homosexuality, abortion, sexual decision, racial issue and against a blind faith in religious dogma. Finally, the representation of sexual ban that the contemporarily modeling photographers plainly disclose through utilizing a photo is also the deliberation on the distorted and suppressed sex of the day that deprives even the self-determination of sex on top of the commercialized sex and the inflexible sex education in group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