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시대, 사회적 고통에 귀 기울이고 응답하는 가톨릭 시민: 혐오 문화, 엘리트주의, 그리고 '모든 형제들'』 (Catholic Citizens Responding to Social Suffering in Times of the Pandemic: Disgust, Elitism, and Fratelli Tutti)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12
43P 미리보기
팬데믹 시대, 사회적 고통에 귀 기울이고 응답하는 가톨릭 시민: 혐오 문화, 엘리트주의, 그리고 '모든 형제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15호 / 27 ~ 69페이지
    · 저자명 : 조민아

    초록

    본고는 팬데믹이 드러낸 사회적 고통의 모습을 불평등과 혐오라는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며, 아울러 혐오와 그리스도교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들과 교회 차원의 돌봄이 필요한 소외 계층에 침묵과 외면으로 일관하고 있는 천주교의 문제점을 진단한다. 이러한 선택적인 사회 참여는 결국 교회 안에 만연한 차별과 혐오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며, 그 뿌리로서 오랜 시간 천주교회를 잠식해온 엘리트주의를 제시한다. 교회의 엘리트주의는 단지 성직자 중심주의라는 구조적인 차원으로 환원될 문제가 아니라 평신도의 순응과 공조를 통해 유지되어 온 만큼, 교회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고민하고 변화해야 할 문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교회의 영성을 점검해야 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프란치스코 교종의 회칙 『모든 형제들』을 통해,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고 팬데믹 시대 사회적 고통에 귀 기울이고 응답하기 위한 천주교 시민의 영성을 제안한다. 우선,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해 교종이 강조했듯, 고통받는 이들에게 다가가 그들의 곁이 되며, 그들과 연대하여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는 ‘고통의 곁에 다가서는 영성’이 필요하다. 또한, 단순히 시혜적인 차원의 선행을 넘어 사랑을 통해 삶의 양식을 변화시키고, 그 사랑을 사회 정치적 차원으로 확장하는 ‘카리타스의 영성’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회의 구성원 모두가 교회 안팎의 고통받는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그들을 품어야 하며, 본당 중심의 신앙생활에서 벗어나 일상에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하고, 지역 사회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신자와 비신자의 구분을 뛰어 넘는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영성이 곧 세상 속에서 하느님을 드러내고 협소한 엘리트주의 질서를 극복하는 영성이며, 팬데믹 시대의 사회적 고통에 귀 기울이는 가톨릭 시민의 영성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Catholic Church’s response to the social suffering reveal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 church has been cooperative with following government guidelines for the pandemic. Never the less it has failed to care for the people at the margins who need attention and help the most. This is evidenced by the church’s willful silence over sensitive issues, such as the debate over the anti-discrimination bill. I argue that this selective response to social suffering reveals the church’s deep-rooted disgust and apathy toward those who do not fit within the church’s implicit and explicit boundaries of neighborliness. I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I suggest that the Church’s elitism is a pervasive problem that fosters contempt and judgment toward the marginalized. However, the elitism of the church is not just a matter of reforming the structural dimension of clergy-centrism. This is an issue that all members of the church must ponder and transform together, because it has been maintained through the conformity and compliance of the lay faithful.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I propose a deeper spirituality for Catholic citizens to help them overcome elitism and respond to social suffering in a more comprehensive way as we move forward from the pandemic. By reading Pope Francis’ latest encyclical Fratelli Tutti, I illustrate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is renewed spirituality. Firstly, The Catholic laity must be able to reach out to their actual neighbors, instead of spiritualizing their suffering. Unless one actively encounters those who suffer in their concrete reality and stand by their side, suffering remains empty and abstract. Without taking action, one cannot alleviate suffering nor uphold the human dignity that is entitled to all human beings. Secondly, the Catholic laity must live out caritas, or Christian love. Caritas, however, goes beyond benevolent good deeds; this virtue is meant to transform one’s lifestyle through love and to extend that love from the individual dimension to the socio-political dimension. To this end, all members of the church must actively recognize and embrace those who are suffer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They need to break away from the parish-centered religious life, and closely work with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build a solidarity that transcends the division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s we move beyond the pandemic, this richer spirituality will direct the Catholic citizens to a more practical and meaningful way of manifesting God’s love in the world and can help to overcome the narrow elitist order in the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