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의 流轉, 그리고 그 성격 (The Last Masterpiece of Baekje Buddhist Sculpture: The Standing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from Gyuam-ri, Buye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11
30P 미리보기
백제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의 流轉, 그리고 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6호 / 6 ~ 35페이지
    · 저자명 : 임영애

    초록

    1907년 부여 규암면 규암리에서 2구의 금동관음보살입상이 발견됐다. 그 가운데 1구는 국보로 지정되어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지만, 다른 1구는 일본으로 흘러가 버렸다. 이 글은 2020년 현재 일본에 있는 ‘규암리 보살상’에 대한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남아 있는 기록을 면밀히 검토하여 1922년 이치다 지로가 보살상을 소장하게 된 내력을 살피고, 2구의 금동관음보살상이 함께 발견된 규암면이 어떤 곳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규암리 보살상이 발견된 장소는 바로 보살상을 봉안했던 사찰 영역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규암리의 2구 보살상은 함께 묻혀 있었지만, 제작 시기는 차이가 있다. 국립부여박물관의 보살상은 7세기 전반이지만, 일본의 규암리 보살상은 의자왕(재위 641-660) 시대인 7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국립부여박물관의 규암리 보살상은 X자형 영락 장식에 커다란 손을 지닌 반면, 일본의 규암리 보살상은 2 줄의 U자형 천의에 적당한 크기의 손, 유연하게 몸을 구부린 진전된 형식 및 양식을 갖췄기 때문이다. 이는 수대 보살상에 초당 보살상의 특징이 더해진 것이다. 주조 기술도 훨씬 발전해 일본 소재 규암리 보살상의 경우 천의와 영락을 한꺼번에 주조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해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일본 소재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은 정확한 출토지를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소중한 작품이다. 광배와 대좌를 잃었고, 몇 군데 손상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이 보살상은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조형미가 탁월한 한국 불교조각사에서 손꼽을 만큼 뛰어난 작품이다. 이 보살입상은 26cm 크기로 금동상 중 중형에 속하는데, 특히 백제지역에는 이 정도 크기의 금동입상의 유례가 많지 않아 더욱 귀한 예이다. 백제 불교미술은 7세기, 특히 의자왕이 다스리던 7세기 중엽이최고 절정기이다. 안타깝게도 백제가 660년에 망하면서 백제 미술은 절정기 이후 내리막길을 맞이하기도 전에 급작스럽게 끝났다. 뛰어난 조형성과 주조 기술을 보여주는 일본 소재 규암리 보살상은 7세기 중엽 절정기에 달했던 백제 불교미술의 마지막 명작이다.

    영어초록

    In 1907, two gilt-bronze statues of the bodhisattva Avalokites´vara were discovered in Gyuam-ri of Gyuam-myeon, Buyeo. One was designated a national treasure and is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Buyeo National Museum, while the other was taken to Japan. This paper focuses on the second ‘Gyuam-ri bodhisattva’ in Japa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discusses the statue’s history through an examination of all extant records, from the possession of the statue by Ichida Jiro in 1922 up until its relocation to Japan.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two statues’ findspot indicates that the area was once a temple intended for the enshrinement of both bodhisattva statues.
    Though the two Gyuam-ri bodhisattva statues were buried together, they were not produced in the same period. The statue in the Buyeo National Museum was created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but the example in Japan was most likely created around the mid-seven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Uija (r. 641-660) of Baekje. The Buyeo bodhisattva features X-shaped ornaments as well as large hands. In contrast, the statue in Japan has two rows of distinctive U-shaped folds in the drapery of the garment and moderately sized hands placed close to the body.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latter example is most likely from a later period than the former, showing greater development in form and style. In other words, the sculptural features present in the bodhisattva statues of the early Tang period are emphasized and more advanced in casting techniques than the examples of the Sui dynasty. Furthermore, with significant developments in molding techniques, the garment and ornament of the statue were cast separately and later added to the main form.
    Gilt-bronze statues of the standing bodhisattva Avalokites´vara produced in the Baekje kingdom are valuable, few in number, and their precise findspots are often unknown. The Gyuam-ri bodhisattva in Japan has damage in the halo and pedestal, but its overall condition is relatively satisfactory. It is an important and rare example of remarkable aesthetic beauty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Within the category of standing statues with heights of approximately 26 centimeters, the Gyuam-ri bodhisattva is of medium size, which is a rarity in the Baekje region. During the height of Baekje Buddhist art in the seventh century, the reign of King Uija in the midseventh century was the peak of Baekje art. Unfortunately, the arts of Baekje came to an abrupt end after this period. The Baekje kingdom collapsed in 660.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exceptional form, aesthetic charm, and casting technique, the Gyuam-ri bodhisattva statue from the mid-seventh century can thus be considered the last masterpiece of Baekje Buddhist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