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편, 혹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 : 이상, 조이스 그리고 지금 여기 (The Universal, or the Event Still to Come : Yi Sang, Joyce and Now/her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06
21P 미리보기
보편, 혹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 : 이상, 조이스 그리고 지금 여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7호 / 55 ~ 75페이지
    · 저자명 : 김석

    초록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흡사 서로를 비추는 두 개의 거울, 내지 “두 개의 태양처럼” 끝없는 해석의가능성을 제기하는 『날개』의 첫 문장은, 한때 그 발화가 선사한 도발적 낯설음만큼이나 낯익은 문구로 어언 화석화되어 버렸다는 점에서 자기반영적,자기예언적 발화의 한 전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은 그와 동시에, 미약하나마 채 소멸되지 않은 울림을 간직한다는차원에서 그것은 단지 문헌학, 혹은 문학비평의 영역으로 환원 불가능한의미를 지닌다는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너무도 낯익은, 해서 이미박제화 되어버린 이 문장이, 소멸되고만 시대의 기억과 경험 너머, 수치화불가능한 시간의 간극 너머 우리에게 다시금 되묻는 것은 무엇인가?감각의 차원에서 접근하자면 그것은 근대의 도래와 함께 상대적으로 특권화될 수밖에 없었던 두 감각, 즉 시각(읽기)과 청각(듣기)의 문제라 할수 있을 것이다. 구술중심문화과 문자중심문화 간의 갈등 및 각축을 표상한다고 해석할 수 있을 이 두 감각의 긴장 관계는 특히나 근대화에 대한강박적 염원이 압축성장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던 비서구의 경우 한층 더 배가된 과잉의 양태로 현현할 수밖에 없었고, 『날개』의 도입부는 피식민지라는 특수 상황에 비추어 이를 압축적으로, 그리고 징후적으로 드러내 보여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그리고 더불어 오늘날 그 어느때보다 사유를 요하는 맹점은 그와 같은 특정 감각의 특권화 과정이 수반하는 다층적 차원에서의 억압과 타자화 현상이다. 『날개』 출간 후 동경을향했던 이상의 경우가 그랬듯, 그리고 지구 반대편 파리로 유사한 탈출을감행한 아일랜드 출신의 모더니스트 제임스 조이스가 그랬듯, 억압된 것은 언제고, 어떤 방식으로든 귀환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상과 조이스가 각기 동경과 파리라는 두 세계주의적 공간에서 맞닥뜨린 실망과 환멸, 그리고 무엇보다 그 회한에 찬 반응을 후각이라는 차원에집중해 술회했다는 사실은 그런 맥락에서 의미심장하다. 누구보다 언어적실험과 텍스트의 한계를, 다시 말해 고도화된 시청각의 활용을 극한까지밀고 나갔던 두 식민지 출신 작가의 증언은 오늘날에도 상식, 다시 말해‘공유된 감각(sensus communis)’이라는 미명하 타자화되어 주변부화된 감각과 존재의 무한한 가능성들을 일깨우기 때문이다. 스스로 법과 규율을창출해내는 독립적 주권자로서의 ‘천재,’ 물화된 동물의 흔적으로서의 박제―그 양 극단의 무엇도 될 수 없는 우리들에게 남겨진 선택은 무엇인가?어떻게 하면 우리는 두 작가가 대면한 존재의 심연을, 그들이 몸소 지탱해낸 주체의 균열과 간극을 되살려낼 수 있을까?보편과 특수의 관계가 지니는 역사적 중층결정성을 강조하며, 지젝은다음과 같이 역설한바 있다. “보편성을 드러내는 모든 특정 예들은 그 보편성에 대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는다.”(Žižek, 240) 지젝의 주장은 한편으로는 그 어떤 실증주의적, 역사주의적 엄밀성도 『날개』의 질문이 촉발한 울림을 동일한 양태로 복원할 수 없음을 시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아직도 일종의 희망의 근거가 남아있음을 암시한다. 사상된 대타자와 그 빈 공간을 메우는 타자의 타자 너머, 냉소적 주체의 관성과 습관적 행위 너머 아직도 도래하지 않은 사건의 사건적 의미를 직시하는 것이그것이다. 상식과 소통이라는 대의민주주의의 근간에서도 배제될 수밖에 없었던 존재, 다시 말해 2008년 여름 서울을 휩쓸었던 촛불의 물결에서조차 소거될 수밖에 없었던,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후쿠시마의 어둠 속신음하는 주인공―이상의 함축적 문장이 오늘날 우리에게 촉구하는 것은바로 그러한 타자화된 존재들과의 대면이 아닐까?

    영어초록

    “Have you heard,” famously begins Yi Sang's short story Nalgae, “of the ‘genius who turned into a stuffed specimen’?” The initiating sentence is so well-known that to anyone familiar with modern Korean literature, it would be difficult to dispell the feeling that the quote has turned into a cliche in its own right, something of a stuffed specimen, in effect, laying bear not only the reified spirit of nascent Korean literary modernism but even the timeworn idea of the literary as such.
    Yet on a closer look, this sense of overfamiliarity belies a set of irresolvable aporias foregrounded by the statement itself or, more specifically, by the deployed quotation marks whose essential ambivalence problematizes not only the authenticity of the reported event (the transformation of the genius into stuffed specimen) but the priority of the interpretive act of reading (the visual) over that of hearing (the auditory) and vice versa.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is further compounded by the possibility that the seemingly self-reflective figure of genius may in fact refer to Akutagawa Ryunoske, the legendary Japanese writer who, according to some critics, is said to have inspired the central motif of genius and stuffed animal and who, furthermore, had become by the time of Yi Sang's writing the mere shadow (i.e., a stuffed specimen par excellence) of a legend after six years following his death.
    Whether such interpretive dilemmas may ever find answers is in itself an additional source of mystery but a more intriguing purview presents itself when one recalls a pair of Yi Sang's later, equally well-known remarks, the remarks which the author made during his fateful visit to Tokyo and which, unlike the earlier statement,highlights the sensory realm of smell: “This city reeks of gasoline ordor,” etc. Indeed,it is as if the long-awaited encounter with the capital of the Imperial Japan had finally triggered the return of the repressed in a writer whose indefatigable strife toward cosmopolitan literature had hitherto primarily privileged the dual sensory registers of the visual and the auditory (the two sensory realms that primarily constitute a literary text) at the expense of other sensory organs. Interestingly, a similar case of the return of the repressed is recognizable in a near contemporary Western modernist,namely, James Joyce, whose youthful flight to Paris provoked a powerful sense of disillusionment and ended up leaving its trace in the form of olfactory description in Ulysses and Giacomo Joyce.
    Uneven development of senses is a phenomenon discussed and analyzed in many areas of study; in terms of literature, it certainly sheds an unexpected new light on the formation of colonial literature and modernism. Yet the more significant question, at least from the dual perspective of Yi Sang and Joyce's exceptional legacies, seems to boil down to how to revive the eventfulness of the traumatic experience that propelled their incommensurable literary oeuvre. Would excavating and recovering the pungent ordor the two authors respectively experienced be possible?Or would we have to find a wholly new medium, not of olfactory this time but perhaps even on an extra-sensory register that may approximately revitalize the intensity of the bygone experience? The present inquiry suggests that two recent events from East Asian region provide the essential paradigm from which such questions may be posed: the late nuclear meltdown in Fukushima and the 2008candlelight rally in 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