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하엘 하네케의 영화 <히든>과 사유 이미지, 그리고 미시정치학 (Das Gedanken-Bild von Michael Hanekes Caché und seine Mikropolitik)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08
23P 미리보기
미하엘 하네케의 영화 &lt;히든&gt;과 사유 이미지, 그리고 미시정치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37호 / 197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형래

    초록

    미하엘 하네케 Michael Haneke는 1989년 데뷔영화 <일곱 번 째 대륙 Der siebente Kontinent>을 시작으로 2017년 칸 영화제에 출품한 <해피 엔드 happy end>까지 12편의 장편 영화를 만들고(TV 영화는 제외) 여러 차례 칸 영화제에서 수상한 오스트리아의 대표적 감독으로서, 영화를 통해 늘 여러 논란을 낳았는데 이것은 그의 영화가 가지고 있는 어떤 정치적인 영향력과 무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의 영화들은 정치적인 사건들을 직접 재현 representation하지 않기 때문에 관객들은 그의 영화들이 가진 잠재적인 정치성을 바로 지각하거나 자각하지 못한다. 즉 그 정치성이라는 것이 직접적 재현이 아니라 미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미시적이라는 것은 첫째, 그의 영화가 어떤 집단이나 그룹의 정치적인 사건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미시적 영역의 사건들을 통해 관객의 사유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며, 둘째, 미학적 형식의 실험을 통해 관객에게 정서적 영향을 주고자 한다는 의미이다. <히든> 역시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정치적인 사건에 개입하는 미시정치학적 시도를 하고 있는데, 하지만 이것만으로 <히든>이 미시정치학적 영화라고 주장하는 것은 충분치 않다. 코몰리 Jean-Louis Comolli와 나르보니 Jean Narboni가 내용이 정치적인 영화와 형식이 정치적인 영화가 있다고 주장하듯이 하네케의 영화는 내용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미학적 형식이 정치적인 영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또한 단순히 정치적인 영화가 아니라 미시정치학적인 영화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그의 영화에서 무엇이 미시정치학적인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히든>의 미학적 형식의 급진성이 관객의 뇌에 분자적 자극을 주어 정서적 변화와 사유의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것이 앞서 언급한 것처럼 들뢰즈가 말하는 미시정치학이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무엇보다 이 영화를 구성하고 있는 시간-이미지인 사유의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유와 이미지의 관계를 들뢰즈의 이론을 통해 알아본다. 들뢰즈는이미지와 사유의 관계를 고전 시네마와 현대 시네마로 나누어 다루는데, 여기서는 현대 시네마의 사유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고전 시네마의 이미지와 사유의 관계를 간단히 다루고 나서 현대 시네마의 사유 이미지를 다루고자 한다. 그러나 현대 시네마의 사유 이미지는 독립적으로 이론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히든>을 분석하면서함께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히든>의 사유 이미지와 미시정치학 및 탈영토화의 관계를 살펴본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eine Mikropolitik von Michael Hanekes Caché(2005), der hier auf der Basis von Gilles Deleuzes Begriff des Bildes des Gedankens analysiert wird. Im Deleuzeschen Sinne bedeutet Mikropolitik folgendes: Erstens, nicht weniger direkt Politisches und Kollektives als Individuelles und Privates. Zweitens, die affektiven Auswirkungen durch das Experimentieren mit ästhetischen Formen. In diesem Sinne wirkt Caché sich, nach meiner Ansicht, micropolitisch aus. Um dies zu beweisen, wird erklärt, was für ein Verhältnis Cinema und Gedanken zueinander haben. Nach Deleuze ruft die automatische Bewegung des Cinemas den geistigen Automaten im Menschen hervor. Dadurch wird eine Verbindung von dem Außen und dem Inneren, also der Bewegung und dem Geistigen hergestellt. Außerdem teilt Deleuze das Gedanken-Bild in zwei verschiedene Arten auf: das des klassischen Cinemas und das des modernen Cinemas. Das erstere, das auf dem sensomotorischen Schema basiert, zeichnet sich dadurch aus, dass Bilder oder Einstellungen durch deren Affinitäten wie Gegensätze und Widersprüche und durch das Prinzip der Kontinuität rational aneinander angeschlossen werden. Dagegen beruht das letztere auf dem Abbruch des sensomotorischen Schemas und dem falschen oder irrationalen Anschluss zwischen Bildern oder Einstellungen. Auf Grund diesesr Basis wird das sogenannte Lücken-Bild hergestellt, das im modernen Cinema fundamental ist und mit dem direkten Zeit-Bild zu tun hat. Auch in Caché können wir die verschiedenen Lücken-Bilder finden: zum Beispiel wie die des geistigen Automaten, die der frei-indirekten Rede und die Kristall-Bilder. Diese radikalen ästhetischen Formen ermöglichen schließlich die Mikropolitik des Films, die das Publikum von seinen konventionellen Affekten und Gedanken befreit oder deterritorialisiert und dadurch ihn von der neuen Welt träumen läs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