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버림받은 자유 그리고 사랑 - 고정희와 사르트르를 중심으로 (Discarded Freedom and Love: Ko Jung-Hee and J. P. Sart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8
32P 미리보기
버림받은 자유 그리고 사랑 - 고정희와 사르트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3권 / 2호 / 23 ~ 54페이지
    · 저자명 : 김동규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서양 멜랑콜리의 한국적 변용 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르트르의 철학(특히 사랑론)과 고정희의 시를 비교하는 데 있다. 상호문화철학적인 관점과 방법이 본 논문의 기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사르트르와 고정희가 공유하는 만남의 지평은 자유와 사랑이다. 사르트르는 자유를 바탕으로 서양의 사랑 담론을 재정립한 철학자다. ‘계약결혼’은 그의 사랑론을 잘 대변해 준다. 실체적 존재론을 바탕으로 사르트르는 자유인들 사이의 사랑을 규명하였는데, 이 사랑에서 필연적으로 멜랑콜리라는 정조가 파생된다. 한편에서 고정희는 사르트르식 자유를 적극 수용하기 때문에 그녀의 시에도 멜랑콜리 정조가 감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그녀는 의식적으로 전통적인 한국 여성의 한을 멜랑콜리에 접목시킨다. 온전히 서양의 자유, 즉 실체적 존재론에 뿌리내린 자유를 시인은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사르트르의 사랑이 근본적으로 자기애에서 유래한 것이라면, 고정희의 사랑은 타자 중심적 사랑에서 유래한 것이다. 사르트르에게 자유가 사랑에 앞서는 것인 반면, 고정희에게 사랑은 자유에 앞선다. 그것은 곧 사랑의 ‘관계’가 실체(주체)에 선행한다는 뜻이다. 시인이 관계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자유와 사랑을 재해석함으로써, 사르트르와는 다른 길을 간다.
    고정희는 사르트르와 결별하는 지점에서 한을 탐구하고, 그것은 놀랍게도 탈근대적 성찰로 이어진다. 그녀의 시, 「드디어 신 없이 사는 시대여」는 서양의 근대적 자유가 얼마나 역설적으로 인간을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버린 것들 속에 이미 버림받음이 있다”는 시 구절 속에서 필자는 “존재유기”를 말한 하이데거와 ‘인간 조건의 망각’을 지적했던 아렌트의 성찰을 읽어내고 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Sartre’s philosophy(especially his love-discourse) with the poems of Ko Jung-Hee in order to pursue the korean change of western melancholy. The basic structure of this paper is constituted with the viewpoint and method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Freedom and love are the dialogic horizon that Sartre shared with Ko. Sartre i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who reestablished the western discourse on love upon the basis of the freedom. The marital contract represents symbolically his own ideas about love. Sartre defines the meaning of love between free persons on the basis of substantial ontology. The mood of melancholy is necessarily derived from this kind of love. In Ko’ poems is also the melancholic mood, because she accepted positively Sartre’s ideas about the freedom. But that is not all the aspects Ko’s poems have. She had grafted consciously the melancholy on the Han(恨) that korean women have embraced traditionally. Because the poet could not accept the western freedom that is based on the substantial ontology. While Sartre’s love is originally derived from narcissism, Ko’s love is derived from the other-centric-love. For Sartre, freedom precedes love, while for Ko, love precedes freedom. It means that the ‘relation’ of love precedes the substance(or subject). Reinterpreting concepts of freedom and love in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al ontology, she could poetize it from a different angle.
    Ko Jung-Hee was interested in Han, when she was confirmed in her opinions, e.g. the western freedom is not perfect. And she had criticized modern freedom in her poems. In a poem, The period when we live without God after all!, she describes that modern freedom forced us to imprison ourselves in the end. “In the discarding there was already the discarded”. In this quotation, we can read insights of postmodern philosophers, e.g. Heidegger and Arend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