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Fiction, Fact, and Historization about the Soviet Union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1.08
37P 미리보기
해방기 소련에 대한 허구, 사실 그리고 역사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34호 / 283 ~ 319페이지
    · 저자명 : 남원진

    초록

    해방 직후 소련은 조선의 ‘해방자’이자 ‘약탈자’라는 양면성을 함께 가지고 있었지만, 1946년 봄부터 소련에 대한 인식은 서서히 긍정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는데, 북조선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나 1947년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이후 소련문화에 대한 선전사업의 확대와 강화로 인해 소련은 ‘해방자’이며 ‘방조자’의 이미지로 정착되었다. 여기서 해방기 북조선의 과도한 소련에 대한 편향은 당대 북조선 지도부나 일반 지식인에겐 보편적인 현상이었는데, 북조선 지도부는 반파시즘적 연대 측면에서 조선과 소련의 친선 관계를 유지하는 것만이 북조선의 자주독립뿐만 아니라 민주건설을 보장하는 기본조건으로 간주했다. 그리고 조선대표단의 제1차 소련 방문의 표면적 목적은 소련을 배우는 것이었으나 잠재된 진정한 목적은 일본에서 갓 해방된 조선의 독립국가건설의 방향성을 찾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당대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란 합리성과 진보성에 기초한 소련을 발견하는 것이자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하는 작업이었다. 북조선의 소련에 대한 인식이 소련을 조선에 적용하려는 자기화의 과정의 일환이었듯이, ‘조쏘친선’을 형상화한 여러 작품을 통해서 볼 때 북조선 문학의 잠재된 뿌리는 ‘소련’으로 말해지는 사회주의적인 것이라기보다 소련을 통해 발견된 ‘항일’이나 ‘혈연’과 같은 ‘피’로 표상되는 민족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품군에서 ‘약탈’이나 ‘친일’과 같은 부끄러운 과거에 대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소거된 자리에 채워진 ‘혈연’이나 ‘항일’과 같은 민족적인 것으로는 북조선의 진정한 미래상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이는 한갓 허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겠는가.

    영어초록

    Soon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e Soviet Union had the both sides of ‘a liberator’ and ‘looter’ of Josun. However, an awareness of the country began to change gradually positively from the spring of 1946. Propagating its culture broadly and strongly caused it to establish itself as the image of ‘a liberator’ and ‘supporter’ after a visit to the country by the intellectuals from North Josun or rupture of US-USSR Joint Commission in 1947. Here, an excessive tendency toward the country by North Josun in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was a universal phenomenon among its leaders or general intellectuals at that time. The leaders regarded only maintaining the friendly relations between Josun and the country from the viewpoint of antifascist solidarity as a basic condition for guaranteeing not only North Josun’s independence but its democratic construction. And the superficial purpose of the first visit to the country by the Josun delegation was to learn the country, but its potential true purpose was to investigate in what direction an independent country would be constructed in Josun which had recently been liberated from Japan. In other words, a visit to the country by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was to discover the country based on rationality and progressiveness and to apply it to Josun and internalize it. The internalization can be confirmed also in a group of works dealing with ‘the amity between Josun and the Soviet Union’. Superficially, such works seemed to reflect something socialist by showing the friendship between Josun and Soviet people. But implicitly they reflected something nationalist which was represented as ‘blood relationship’ by formalizing the friendship as a frame of blood ties. ‘Only’ from such a viewpoint, the literature of North Josun was based on something nationalist represented as ‘blood’ rather than something socialist represented as ‘the Soviet U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