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관들: 내셔널리즘(론), 포스트내셔널리즘(론) 그리고 공유지 (The Scapes of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Theory in the 1990s and 2000s: Exploring the Common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10
41P 미리보기
경관들: 내셔널리즘(론), 포스트내셔널리즘(론) 그리고 공유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9권 / 9 ~ 49페이지
    · 저자명 : 김예림

    초록

    이 글은 1990년대 이래 한국 지식계의 변화를 보여주는 내셔널리즘(론)과 포스트내셔널리즘(론)의 이론적 전개 및 지향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규명한다. 지구화라는 시대적 변화는 무엇보다도 한국 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추동했다. 이 작업은 내셔널리즘의 유효성을 옹호한 논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은 한국 내셔널리즘의 특수성과 역사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배타성과 폐쇄성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로 제시하면서 ‘열린 민족주의’의 도래를 희망했다. 이들의 입장은 ‘내셔널리즘 재구축’이라 요약할 수 있다. 한편 포스트내셔널리즘(론)은 내셔널리즘의 ‘해체’를 주장하며 출현한다. 포스트내셔널리즘은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트랜스내셔널리즘 등의 이론적 유통과 더불어 역사학과 문학연구 영역에 새로운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제공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두 담론의 생산 배경과 인식의 체계를 살펴보면서, 다른 방향을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만나는 지점을 ‘공유지’라는 이름으로 찾아보고자 했다. 공유지는 내셔널리즘과 포스트내셔널리즘이 각각의 언어로 (부)정의와 민주주의를 고민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내셔널리즘 재구축론은 지구화가 낳은 타자, 인권, 차이, 인정, 평등성 등을 거론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국가로의 변화를 전망했다. 포스트내셔널리즘은 국가—국경이 낳은 타자를 역사의 장으로 불러들임으로써 경계의 민주화를 지향했다. 내셔널리즘(론)과 포스트내셔널리즘(론)의 현재적 의미는 정의와 민주주의라는 오늘날의 문제틀에서 새롭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orientation of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which show major changes in the Korean intellectual world since the 1990s, The shifting dynamics of globaliz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droved a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nationalism. This work was undertaken by proponents who defended the validity of nationalism. They ascribed significant importance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nationalism while simultaneously striving for a transformation toward ‘open nationalism’ by overcoming exclusivity. Their position can be encapsulate as ‘rebuilding nationalism.’ Meanwhile, the theory of postnationalism emerges, advocating for the ‘deconstruction’ of nationalism. Alongside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postmodernism, postcolonialism, and transnationalism, postnationalism introduces a new critical perspective and methodology to the field of historical and literary research. I investigate the contextual aspects of two discourses, aiming to uncover a shared point referred to as ‘common,’ where they converge despite following distinct trajectories. Their commonality resides in their shared concern for (in)justice and democracy. The theory of nationalism advocated for a transition into a nation-stat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others arising from globalization, and respecting of human rights, diversity, recognition, and equality. Postnationalism sought to democratize borders by shedding light on the marginalized others abjected by the nation-state.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nationalist and postnationalist theories can be newly discerned within the present framework of ‘justice’ and ‘dem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