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기계비평’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전망 (The History, Status and Prospectives of ‘Machine Critics’ in Kore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2
36P 미리보기
한국 ‘기계비평’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2권 / 1호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강부원

    초록

    ‘기계비평’은 기계적인 지식만을 다루는 비평 방법론이 아니다. ‘기계비평’은 기계와 관련된 인간의 삶과 문화를 총합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과 실천이다. 도구적 인간(호모 파베르)의 등장과 함께 기계는 인간에게 필수불가결한 대상이자 존재 배경 그 자체였다. 근대 사회가 인문부흥과 산업혁명의 복합적 상호 작용의 결과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일반적 상식에 비춰보면 기계를 이해하려는 인간의 이성과 의지는 근대성의 핵심적 구성 원리가 될 것이다. 더욱이 국가와 자본이 기계를 장악하고 그 표상과 작동 원리를 지배와 통치의 메커니즘으로 적극 활용하는 근대국가의 역사를 돌아볼 때, 기계에 대한 해방적 사유는 더 이상 미뤄둘 수 없는 과제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과학기술학’과 ‘기술철학’은 아직 빈곤한 형편이다. ‘기계비평’ 역시 아직 완전하게 자리 잡은 비평 분야는 아니다. ‘기계비평’은 2000년대 중반 이영준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기계비평’은 90년대 이후 한국에서 활성화된 ‘문화연구’의 흐름을 비판적으로 계승한다. ‘문화연구’와 ‘기계비평’은 근대성 비판이나 사회 변화를 향한 기대와 실천 의지를 공유한다. 한편 ‘기계비평’은 기계를 직접 대상화하고 전면적으로 다루는 동시에 그것과 관련된 생활과 문화 그리고 정치와 철학에 대한 종합된 분석을 시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계비평’은 ‘문(文)’과 ‘이(理)’의 구분이 관성화 된 한국 학계의 오래된 전통에 균열을 가한다. 분과학문 간의 장벽을 철폐하고 통섭과 융합을 추구하는 전위적인 지식인 셈이다. 하지만 ‘기계비평’과 관련된 성과들은 아직 성기고 산발적이어서 비균질적으로 관찰된다. 관련 연구논문과 강의, 출판 등이 기존 학문의 일반적 공정과는 다른 형식과 순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 첨단의 양상은 미디어와 학계의 주목을 받기도 한다. ‘기계비평’은 인문학과 공학 사이의 가교를 자처하며 기존 융복합의 한계마저 극복하려는 새로운 도전이다.

    영어초록

    ‘Machine Critics’ is not the only critical methods to deal with mechanical knowledge. ‘Machine Critics’ is a practical effort to understand the human life and culture associated with the machine in a comprehensive way. With the advent of instrumental humans(“Homo Faber”) and the machine is indispensable to human existence itself was a background. In the light of modern society in general knowledge that comes by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s of humanities revival and Industrial Revolution is a key organizing principle of human reason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modernity. Moreover, when the State and the Capital secured the machine and look back on the history of representation and working actively used in modern state governance and the principles governing mechanisms, it is also the reason for the liberation of the mechanical problems that can not be postponed anymore.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and ‘Technology Philosophy’ is still poor, and poverty. ‘Machine Critics’ is also not yet fully caught criticism field position. ‘Machine Critics’ was the first attempt by the Lee Youngjun in the mid-2000s. The critically inherited the flow of ‘Machine Critics’ is enabled in Korea since the 1990s ‘Cultural Studies’. ‘Cultural Studies’ and ‘Machine Critics’ is expected to share the practical critique modernity and social change. On the other hand, ‘Machine Critics’ is a feature that points directly targeted machine and tr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fe, culture and politics and philosophy associated with it at the same time to deal with professionally.
    ‘Machine Critics’ cracks in the old traditions of Korea are separated by academics field that the ‘Human Arts’ and ‘Science and Technology’. Elimination of barriers between discipline system and who will emerge as potential knowledge to pursue consilience and fusion. However, ‘Machine Critics’ performance are still sporadic and is associated with heterogeneously observed. Research papers and lectures, publications are a general aspect of its advanced process and appear in a different format and order of the existing studies are awarded to the attention of the media and academia. ‘Machine Critics’ is a claim to a bridge between the Humanities and Engineering and it is also a new challenge to overcome even the existing convergence lim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