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인지와 프로 ‘문학’의 사이, 그리고 《개벽》 (Between 'the literatur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and proletaria, and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3
34P 미리보기
동인지와 프로 ‘문학’의 사이, 그리고 《개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3호 / 161 ~ 194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수

    초록

    대개의 문학사들은 1922년, 1923년 즈음을 침체기로 규정하면서도 문학의 발표 공간으로서 《개벽》의 역할에 대해서는 인정을 한다. 당시는 1920년대 동인지 문학이 일단의 막을 내린 시기였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신문 미디어에도 문학을 위한 공간은 할애되지 않았다. 미디어에서 문학에 대한 관심을 재고할 수 있는 계기가 있었지만 관심은 지속되지는 않았다. 《개벽》 문예면에 변화가 일어난 것은 1922년 중반인데, 그것은 새로운 필진의 등장으로 나타났다. 문예면에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문예특집’에 가깝게 꾸며진 1923년 신년호였다. 이전까지 문예면의 필진은 ‘개벽사’의 사원이거나 관계가 있는 인물이었다. 《개벽》 문예면의 변화를 주도했던 인물은 방정환이었는데, 그는 천도교의 간부로 일을 하면서 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워갔다. ‘동경’ 유학을 통해 문학이 위상을 새롭게 깨닫게 된 방정환은 《개벽》 문예면의 변화를 견인해 근대문학의 토양을 마련하려 했다. 그런데 1923년 1월 이후 《개벽》 문예면에서 필진의 개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문예면의 변화가 한계를 보인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작용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김기진은 《개벽》에 일련의 글을 발표하면서 조선에 ‘새로운 경향’의 문학을 정초해 나갔다. 그는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문학을 그 도구로 위치시켰지만 곧 환멸에 빠지고 만다. 당시 취업을 위해 ‘매일신보사’를 찾아간 행적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새로운 경향’의 문학에 대한 모색이 《개벽》을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점, 《개벽》 문예면의 개방이 몇몇의 문인들에게 한정되었다는 점 등은 양가적인 성격을 지닌다. 《개벽》 문예면의 음영을 되짚어 보는 작업은 문학과 생활의 관계에 대해 거듭 환기하고자 했던 ‘문인회’의 주장을 떠올리게 한다.

    영어초록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1922 and 1923 are regarded as stagnation periods, bet <Gae-byeok> was admitted as a space for presentation of literature. At that time, the literature of literary coterie magazine in the 1920s almost ended. Also, there was no space for literature in the newspaper media. The media was interested in literature and writers, but it was not persistent. It was in mid-1922 that the literary section of the <Gae-byeok> changed. It was the issue of January 1923 that symbolically showed the change of the literary section. Previously, the writer was an employee or related person of <Gae-byeok>. The person who led the change in the literary section was Bang Jung-Hwan. He took an interest in literature while working as an executive at Cheon-do-gyo. He realized the status of literature anew through studying in 'Tokyo'. Since January 1923, the change of the literary section has not continued. The first reason was that there was no category of ‘literary world’ at the time. The following reason is that <Gae-byeok> was published as a Chon-Do-Gyo's journal.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the opening of the literary section was achieved through human interchange. Kim Gi-jin published a series of articles in <Gae-byeok>, which was the process of pioneering 'new trend' literature in Joseon. He emphasized the proletarian revolution, but soon fell into disillusionment. His visit to <Mae-Il Newspaper> for a job is also related to this. It was contradictory that the claim of revolution was made in <Gae-byeok>, which paid expensive manuscript fees. It is also regrettable that the opening of the literary section was limited to a few people.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the literary section of <Gae-byeok> brings to mind the arguments of the 'Literar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