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문학의 지역성, 그리고 공간 (The Regionality of Jeonbuk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7
21P 미리보기
전북문학의 지역성, 그리고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71권 / 71호 / 329 ~ 349페이지
    · 저자명 : 김승종

    초록

    전북문학은 한국근대문학이 본격적으로 출범한 1920년대 이후 지역의 한계를 넘어 한국문학의 주요 흐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이익상은 계급문학 활동을, 이병기는 국민문학 활동을, 그리고 유엽은 절충주의 문학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전북지역은 신석정, 서정주, 채만식과 같은 걸출한 시인, 작가들을 배출하였다. 해방 후에도 전북지역은 고은, 김용택, 최일남, 최명희, 양귀자, 은희경, 신경숙, 천이두 등과 같은 걸출한 시인, 작가 및 평론가들을 배출하였다. 전북 출신은 아니지만 다양한 연구로 전북지역에 살면서 창작 활동을 한 조병희, 박동화, 박봉우, 안도현, 서정인 등의 문학도 전북문학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최명희의 『혼불』에 제시되고 있는 장소들이 지닌 의미들을 작품에 등장하는 실재, 사물, 인물의 활동 등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매안, 고리배미, 거멍굴 등의 장소는 계급적으로 구별되어 있다. 청암부인은 경술국치를 당하던 해에 청호를 건설하는 강한 지도력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통하여 계급적 갈등을 완화하고자 하였고, 천민인 춘복은 양반 집안의 여성인 강실을 강간하고 임신시킴으로써 계급적 장벽을 과감히 무너뜨리려 하였다.
    전북지역은 조선왕조 내내 ‘창조적 변방성’과 ‘한’의 정신을 실천한 공간이었다. 전북지역은 또한 개방적·포용적·진보적 세계관을 지닌 지역으로서 계층 간의 소통과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선진 문화를 과감하게 수용하였고 수직적·봉건적 인습과 제도가 지닌 폐단과 모순을 가장 먼저 깨닫고 바로잡고자 한 지역이었다. 단지 깨닫고 인식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대동계와 동학농민혁명으로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는 일에 앞장선 지역이었다. 그 때문에 전북지역은 봉건 세력과 일제를 비롯한 외세와 가장 첨예한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었고 참담한 비극을 여러 차례 겪었으며, 차대와 소외 속에서 ‘한’을 품고 살 수밖에 없었던 지역이기도 하다.
    전북지역은 일정한 공간만 차지하는 공간이 아니라, 그곳에서 살아가는 이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교섭하고 소통하는 역동적인 공간이며 차이와 반복의 과정을 통해서 끊임없이 의미를 생산하는 생활세계이기도 하다. 생활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은 하이데거가 말한 대로 ‘세계 내적 존재’이다. 전북지역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죽음’이라는 한계 상황을 ‘선구’함으로써 진정한 삶을 추구하는 문제적 인물이라는 점에 유의하여 전북지역 문학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literature of Jeonbuk got involved the main strea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ctively after 1920s. Lee Iks Sang joined KAPF that is socialistic organization of literatue, Lee Byeng Ki wrote Koran traditional poems, and Yu Yep engaged eclecticism of the those days.
    The poets and writers of Jeonbuk leaded a Korean modern literature from 1930s. Sin Suk Jung wrote a romantic poems that protested Japanese imperialism. Se Jung Ju wrote a poems that succeed to traditional Korean mental world. Chae Man Sik wrote a satire novels that criticizes sharply Japanese colonial capitalism.
    After 8·15 Liberation a lot of poets, writers, critics worked in various fields of the Korean literature. Ko En, Kim Yong Taec, Mun Sin leaded a the world of Korean poetry. Choi Meyng Hye left ‘Hon Bul’, that put cultural heritage of Jeonbuk into this novel. Chyen Ie Du made the theory of ‘Han’ that negative emotion switch over to positive emotion by ‘Sak Im’.
    The place of ‘Hon Bul’ is devided into three areas. The aristocrats lives at Maean, The Middle class of people lives at Goribaemi. And The lowest class of people lives at Gemengul. But Madam Chungam cross the wall of class by construction the Chungho dam. The Chungho dam resolved water shortage of town. And she gave hope to all the people of town at the trying times when lost national sovereignty. Chubok who belongs the lowest class, tried to destroy the wall of class by lapping the lady who is novel woman.
    Jeonbuk was the place where had ‘the creativity as a border area’. The ‘creativity as a border area’ has the highest self regard and higher level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an the capital, Hanyang. Jeonbuk has the supremacy of food culture, sound culture, art culture, cruft etc. Besides Jeonbuk have tried to change the feudal systems into democratic systems. The group of Daedong organized by Jung Ye Lip and the revolution of Donghak dreamed equal world which everybody has equal right.
    Therefor the Literature of Jeonbuk have ‘Han’ and ‘creativity as a border area’. When Jeonbuk went through a terrifying ordeal, the literatur of Jeonbuk didn’t yield that ordeal, but have overcome that ordeal. And the Literature of Jeonbuk always dreams new world where everyone has equal right to happiness and freedom through ‘creativity as a border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