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 판본의 특징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Koryo History(『高麗史』)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11
33P 미리보기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 판본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4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김광철

    초록

    조선 문종 1년에 편찬이 완료된 『고려사』는 단종 1년 4월 경에 처음으로 인출되었다. 그러나 그 인출 규모가 소량인데다 궁궐에만 보관돰으로써, 이후 추가 인쇄와 반포 요구가 이어졌다. 『고려사』의 반포는 상당 기간 유보되다가 성종 초에 을해자본 『고려사』가 간행되면서 비로소 반포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고려사』는 관료와 지식인 사회에 널리 유통되었다. 성종 5년부터 『고려사』는 경연 자료로 채택되었으며, 현안 문제를 논의하는 데에도 자주 활용되었다.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 읽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고려사』를 소장하는 등 민간에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광해군 4년 경에는 목판본 『고려사』가 간행되어 지속적으로 인출됨으로써 민간 유통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었으며, 17세기 이후 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저작에 활용하는 등 그 이해의 폭이 넓혀지고 있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서 『고려사』를 텍스트로 하여 수정, 보완하거나 개편하는 작업도 시도되어 안정복의 『동사강목』과 같은 역작이 나타날 수 있었다.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고려사』 판본의 유통 확대와 그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고려사』 판본을 현재까지 남겨 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 확인되는 『고려사』 판본은 80여 종에 이른다. 그러나 대부분 결본이고 완질의 『고려사』 판본은 동아대학교 소장본을 포함하여 5종에 지나지 않는다. 동아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목판본 『고려사』는 75책의 규모인데, 2권 1책을 기준으로 하여 지와 열전의 경우 그 일부를 1권 1책이나 3권 1책으로 묶은 결과이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서울대 규장각 소장의 목판본 『고려사』 85책과 동일한 판본이다. 다만 규장각 소장본에 비해 자면이나 계선에서 나뭇결의 터짐 현상 혹은 탈락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출 시기가 늦은 후쇄본이거나 보관과 유통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서는 오탈자가 확인된다. 오탈자가 많게 된 것은 편찬 당시 초고에서부터 초간본을 저본으로 한 을해자본의 출현, 그리고 을해자본을 저본으로 복각 목판본을 간행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누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목판본 『고려사』에 오탈자가 많다 하더라도 그 수량은 『고려사』 전체 80여만 자 가운데 극히 일부일 것이고, 이것이 『고려사』 판본의 갖는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다.

    영어초록

    Koryo History(『高麗史』) whose compilation had been finished in the first year of King Moonjong was firstly introduced around April in the first year of King Danjong in the Chosun Dynasty. However, a small quantity was publicized inside palace only, which caused a request of its additional printing and publicizing. It was not until the earlier years of King Seongjong that the circulation of Koryo History was distributed with its publication in type of Eulhae(乙亥) letter after reserving its distribution for a long time.
    Koryo History had been a wide circulation in the society and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since the time of King Seongjong. It had been adopted as a reference text for contests since the fifth year of King Seongjong and frequently used in the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Reading Koryo History spread in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quite a few people owned it individually. Ultimately it began to be distributed in the reading public at large.
    In the fourth year of King Gwanghae its wood block books were printed in quantity continuously and this made their gradual public distribution possible. Since the 17th century intellectuals had conducted their research concerning Koryo History and used many quotations from it in their writing. Many began to understand it in this way. In this environment the attempt was commenced to revise or supplement it adopting Koryo History as text and as a result a masterpiece like Jeongbok Ahn’s Dongsagangmok(『東史綱目』) could be publishe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xpanding the distribution of Koryo History and the broad understanding of it up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period served as momentum for inheriting it to this day.
    There are 80 editions of Koryo History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but it has more cracking and falling off grains in typefaces and lines compared with one owned by Gyujangkak. They were caused by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it proves that the DAU Book of Koryo History was printed later than one owned by Gyujangkak.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In conclusion,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is never diminishes Koryo History printed from woodblocks in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